감독 : 박찬욱
1963년 생
서강대 철학과 졸업
영화 <달은 해가 꾸는 꿈>(1992), <3인조>(1997)
비평집 [영화보기의 은밀한 매력](1994)
제작 : 이은, 심재명(명필름)
출연 : 이병헌, 송강호, 신하균, 이영애, 김태우
되도록이면 돈을 아낀다는 명목으로 영화는 최대한 비디오로 해결한다는 생각을 하고는 있지만 가끔 꼭 극장에서 봐야 한다고 찜해 놓은 영화가 있다. 공동경비구역 JSA(이하 JSA가 그러했다.
같이 지내는 세진이와 꼭 보자는 약속을 해 놓고는 차일피일 미루다가 드디어 오늘 보게 된 JSA.
우선 대중들이 왜그리도 입소문이 지독히도 났는지, 왜 쉬리의 초반 흥행 돌풍을 앞질렀는지 이해하게 되었다.
나는 박찬욱이란 감독의 이름이 생소하다. 그 감독의 작품을 봐두었던 게 전혀 없다.(사실 한국 영화 자체를 본 게 별로 없다) 그러므로 감독에 대한 이미지에 고착되어 색안경을 끼고 볼 필요가 없었다.(사실 요즘 나오는 영화 대부분이 그렇다)
영화는 분단의 현실 속에서 가장 첨예하게 대치하고 있는 한반도의 판문점. 그 곳에서 남과 북의 병사 사이에 싹튼 우연한 우정을 담고 있다. 그러나 표면적으로는 남한 병사와 북한 병사 사이에 벌어진 살인 사건에 대한 미스테리적 요소를 취하며 관객의 호기심을 잡는다.
포스터 문구대로(여덟발이 아니라 열한 발이었다. 왜 여덟발이라 했는지 잘 모르겠다.) 그들 사이에 열한 발의 총성 안에 담겨 있는 진실을 – 사람들의 입소문으로 대충은 알고 있었지만 –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 중심축으로 삼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영화는 그 미스테리적 요소보다도 영화에서 진실이라 보이는, 남북 병사들의 우정, 바로 그 원인이자 과정인 부분에 더 비중을 두고 만든 영화가 아닌가 생각한다.
20자평에서 본 글처럼 냉전 이데올로기로 몰아 붙이려는 사람들에 대한 저항 같기도 한 이 영화는 우리네 사람들의 거시적인 현실을 네 명의 병사에 투영한 것처럼 보인다. 왜 우리는 서로를 기만하고 위장하며 이 대치 상황을 지키고 있는가. 무엇을 위한 일이며 누구의 잘못인가. 우리는 북한을 괴뢰 정부로, 우리를 정통성을 확보한 정부로 인식하고 어떠한 상황에도 이러한 공식을 대입하여 판단한다. 그러나 누가 알겠는가. 제3자인 스위스 중령 이영애의 눈에는 양자 모두 거짓만을 얘기할 뿐이다. 우리도 그들을 기만하고 우리 자신과 세계를 속이며 그들도 우리를 기만하고 그들 스스로를 속이며 세계와 문을 닫은 것이다.
영화 속 병사들은 대사처럼 분단의 반세기, 오욕의 세월, 그 상처를 뛰어넘어 – 한 뼘 정도 밖에 되지 않는 경계선을 넘어 – 그렇게 우정을 키우고 이데올로기의 가면을 벗었지 않던가.
어쩌면 간단한 것이다. 그들도 우리도 스스로가 쳐 놓은 울타리를 허무는 것은 말이다. 분단의 현실이란 타자에 의해서만 주어진 것도 아니요, 어쩌면 우리 스스로가 그 함정 속으로 뛰어든 것일지도 모른다. 우리 스스로가 자기 배반의 역사를 선택한 것인지도 모른다.
이 영화는 어쩌면 우리네들의 자아 동일성이라는 문제를 한편으로는 우스우면서도 조그만 자극만 줘도 터져 버려 비극이 되어 버리는 판문점의 한 이야기를 통해 제기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우리의 노선도 그들의 노선도 아닌 그 경계선이나 그 바깥에서.
그런 의미에서 중립국 스위스 장교이자 과거 북한군의 딸로 설정된 이영애의 위치는 이 영화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말할 수 있다. 어쩌면 군더더기 인물인 것처럼 보일 지도 모를 그 역할은 실제로는 이 영화를 어떤 이데올로기적 틀로도 해석하지 말아달라는 감독의 의도가 숨어있는 것이다. 스위스 장교 소피 중령은 양대 이데올로기 사이에서 희생된 우리 민족의 슬픈 운명을 표상하기도 한다. 북한 포로 중 포로 교환 때 그 어느 진영으로 가는 것도 거부한 그녀의 아버지는 결국 중립국에서도 받아주지 않는 세계의 고아가 되어 버린 그녀의 가족사가 그것을 말해 준다.
영화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이 있다. 남한 병사와 북측 병사 사이의 그 문제의 사건이 일어나는 장면. 김광석의 ‘부치지 않은 편지’가 배경에 깔리면서 총격이 벌어진다. 남한 병사가 북측 병사를 권총으로 죽이는 장면이다. 어쩌면 우리가 역사의 죄인이라는 의미인지도 모를 그 장면은 우리 민족의 역사적 현실에 대한 처절한 상징이다. 진정으로 돌아오지 않는 편지 속 사연의 주인공들이 아직도 그러한 모습으로 남아 있는 것이다.
지금 우리는 과연 우리가 바라는 것이 무엇이며 무엇을 지키고 무엇을 버려야 하는지를, 지금까지 가져 온 것들을 훌훌 털어버리고 다시 바라봐야 하는 시기라는 것을 암묵적으로 말하고 있는 이 영화.
초반에 남측 병사가 투신할 때 스톱모션을 비롯해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장면이나 지뢰밭을 제거할 때 스크린 양쪽에서 불꽃놀이 하듯 번쩍이던 섬광을 처리한 효과 같이 조금 영화 색깔과 어울리지 않는 과잉 기교도 보이기는 하지만 침착하게 내용을 전개시키는 힘이나 미스테리와 드라마 사이에 균형을 잃지 않고 유지하는 연출은 뛰어나다. 박찬욱 감독은 3년만의 신작에서 작품성과 흥행성 두 마리의 토끼를 잡는 저력을 보여줬다. 그의 차기작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