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다, 모든 것이 퇴행하고 있다

정윤수 칼럼

우리 영화의 퇴행 증후, 지난호 <씨네21> 특집인데, 늦은 감이 있다. 사실 증후가 아니라 확연한 퇴행이다. 문제는 이러한 병리적 퇴행이 단지 영화만이 아니라 우리 문화계 전반의 일이며 나아가 우리 삶의 어떤 측면까지 확대해석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죽음에 대한 과도한 카타르시스는 이미 대중음악쪽에서는 거의 5,6년 전부터 여실한 바 있다. 유승준의 가위춤사위를 받으며 진재영이 죽은 것으로 시작해서 최근의 이미연까지 수도 없이 죽어갔다. TV 드라마의 핑크빛 일상은 말해 무엇하랴. 시청률이나 흥행 같은 상업적 조건을 무시할 수는 없지 않느냐고 한다면 나는 문학마저도 동일한 처지라고 말하고 싶다. 일상에 대한 추구가 우리 문학이 가야할 유일한 길은 물론 아니며 흔히 ‘일상’이라고 요약되는 삶의 어떤 국면에 대한 접근 역시 작가들마다 다를 것이요 응당 백화의 만발로 달라질 때 또한 우리 문학은 더욱 풍요로워질 것이다.

문제는 그 결실이 흡족한 수준은 아니라는 점이다. 예컨대 최영미의 여행기 <시대의 우울>이 그렇다. 90년대 중반 이후 유행했던 작가들의 세계여행기 출간 신드롬을 서평의 틀을 빌려 비판적으로 쓴 일이 있거니와 특히 최영미의 <시대의 우울>, 그중에서 스페인여행이 못내 거슬렸었다. 최영미가 스페인여행에서 사라고사의 광적인 축구열기에 대해 짜증과 환멸을 낸 것에 대하여, 나는 그가 마드리드와 사라고사와 바르셀로나의 축구팀으로 상징되는 스페인의 역사를, 그 통합과 분열과 독재의 역사를 좀더 이해했으면 했다. 더욱이 역사쪽을 전공한 시인이 아닌가. 그 이력에 걸맞게 그는 고야의 도시 마드리드와 피카소의 고향 카탈루냐를 전투적으로 웅변하는 축구팀에 대하여 관심을 두었더라면 좋았을 터이고 아마 그랬다면 얼마 전, 바르셀로나의 미드필더 피구가 마드리드로 이적하여 치른 첫 원정경기에서 바르셀로나 시민들이 그에게 욕설을 해대고 피케팅에 오물 세례를 퍼부은, 그 광란의 그라운드를 흥미롭게 이해했을 것이다.

왜 그랬을까. 혹시 그는 피로했던 게 아닐까. 긴 여정에 지친 게 아니라 역사라는 무게를, 실존의 부담을, 일상에 대한 짐들을 몽땅 덜어버리고 싶었던 게 아닐까. 그런 까닭으로 진지한 여행자의 눈은 물론 작가적 관찰마저도 유보하고 스스로의 눈에 들어오는 것만 주목했던 것은 아닐까.

만일 이것이 하나의 대전제로 승인될 수 있다면 오늘의 작가들이 구체적인 현실과 인간보다는 사물에 유독 집착하는 현상, 인간조차 익명화시키거나 심한 경우 사물의 등가로 치환하는 일이 어디서 연유하는가를 추측해볼 수 있다. 이를테면 배수아의 <나는 이제 니가 지겨워>가 그렇다. 이 소설은 주인공 유경의 신경질적인 독백으로 이어진다. 키워드는 결혼과 섹스이고 그것에 대한 다양한 해석남녀가 유경의 주변에 배치된다. 재미있는 것은 유경이 그들을 자주 특정한 사물(상품)과 연관짓는다는 점이다. DKNY, 에비앙, 96년식 모리스, 쁘와종 등이 그것인데 유경의 친구도 자신의 남자친구를 삼성, 메디슨, 차병원 식으로 부른다. 물론 이것은 사물과 인간의 친연성 회복과는 거리가 멀고 배수아 역시 그것을 목표로 하지 않았다. 그것들은 김승옥이 <서울의 달빛 0장> 주인공이 새로 구입한 차를 모럴의 한 상징으로 ‘하얀 차’라고 썼던 시대로부터 우리가 상당히 멀어졌음을 일러주고 있으며 동시에 사물과 인간의 위상차가 얼마나 좁혀졌는가를 보여주기도 한다.

이 소설은 그러면 그럴수록 로버트 제임스 월러의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를 줄곧 연상시키는데, 마치 그 소설의 주인공 킨케이드에 대한 묘사가 흡사 버버리나 랠프 로렌의 카달로그 문구나 진배없었던 것처럼 사물의 인상, 특히 그것의 카피적 감수성으로 말미암아 유경과 그 주변인에 대한 관심을 확실하게 차단시킨다. 아주 명료하되 단순화된, 또는 실체적 접근이 상실된 유경과 그들의 일상은 마치 제품 사용설명서처럼 요약될 뿐이며 그것은 지금 이곳의 결혼과 연애와 섹스에 대한 사유의 의지를 가로막는다. 양말을 세탁기 안에다 넣어만 준다면 훨씬 행복해질 텐테, 하는 주부의 말을 어리광이라고 유경은 말하는데, 아마 유경은 결혼이든 동거든 그 누구와도 자질구레한 일상을 나누어본 일이 없기 때문에 그것을 어리광이라고 말했는지 모른다. 그러나 무심코 뒤집어 벗어놓은 양말이나 제때 사오지 못한 분유 때문에 두 남녀가 어떻게 서로를 할퀴고 고통스럽게 만들고 그러다가 겨우 사랑이란 미몽으로 삶을 유지해나가는지 유경은 조금도 모르고 있다.

‘오직 절망만이 우리를 구원할 수 있다’고 아도르노가 말했지만 실로 ‘절망적이게도’ 우리는 절망할 일이 없는 시대에 살고 있는지 모른다. 그럴진대 김수영의 표현대로 일종의 포즈와 제스처가 절망의 대역이 되어 과잉소비되는 작금의 현실이 표백제로 말갛게 씻어버린 기획영화의 한 장면으로 호출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비극이 아닐는지….

정윤수/ 문화평론가 prague@naver.com

댓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