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독 리들리 스코트
음악 한스 짐머, 리사 제랄드
출연 러셀 크로우, 조와킨 피닉스, 코니 닐슨, 리차드 해리스, 자이몬 혼수
글라디에이터
영화 좀 좋아한다는 이들은 다 봤을 글라디에이터를 이제서야 보다. 스펙터클은 스크린으로 즐기는 것이 제격임을 아는대도 우습지만 스펙터클은 극장에서 잘 보지 않는 나로서는 비디오로 출시되기까지 기다리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수순.
이 영화를 본 느낌? 역사와 권력에 대한 서사시적 우화. 너무 거창한 것 같으나 느낀 바는 이것이었다.
로마 제국을 배경으로 절대 권력을 쥐고 있지만 권력의 무상함을 체득한, 그러나 이미 늙어버린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와 권력에 대한 거의 본능적이라 할 정도의 탐욕을 지녔지만 아버지가 원하는 네가지 덕목 그 어느 것도 지니지 못한 그의 아들 코모두스, 그 둘은 너무나도 다르다. 아우렐리우스가 절대 왕정을 접고 공화국을 건설하려는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서 막시무스 장군을 적임자로 선택하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일.
그런데 막시무스는 로맨티스트이자 휴머니스트이다. 또한 일면 자유주의자의 모습을 띄는 것도 같다.(나의 자의적인 판단이다.) 그는 권력에 대한 욕구를 눈꼽만치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는 다만 철학자이자 성군인 듯한 아우렐리우스에 대해 신의에 바탕한 충성을 바칠 뿐. 그러나 그것이 코모두스에겐 달갑지가 않다. 그의 누이이자 유일한 사랑인(근친상간은 고대 비극에서도 나오는 것 아닌가) 루실라마저 막시무스의 몫이니 코모두스에게 막시무스는 그의 인생 전체를 아우르는 트라우마이자 컴플렉스이다. 이 두 인물 사이의 갈등관계, 고대 비극에서 볼 수 있는 설정 아닌가…(아님 말고)
이 두 인물을 통해 과연 리들리 스콧이 말하려 했던 것은? 아마도 역사의 거부할 수 없는 흐름…인 듯 하다.(과연 명확하게 정의내릴 수 있는 예술이 어디 있겠는가마는 내가 보기에는) 로마의 황제라면 영화 서두에 나오는 자막과 같이 당시 세계 인구의 25%가 속해 있었을 정도로 거대한 로마 제국의 최고 권력자. 그 최고 권력에 앉고 싶은 욕망이란 누구에게나 잠재되어 있지 않을까. 그러나 그 집중된 권력은 가진 자의 영혼을 피폐하게 하고 그것으로 인해 수많은 사람이 핍박당할 수밖에 없게 한다. 공화정이 성립되어 권력이 한 개인에게 집중되는 것을 막으려는 것은 인류 역사적으로 볼 때에도 자연한 수순.
막시무스는 그 자연적 수순의 역사적 흐름을 이끄는 영웅이다. 물론 인류 역사의 전개라는 것이 변혁이 이루어지려면 고난이 있게 마련. 막시무스는 로마 제국의 대장군에서 노예로 전락하여 비참한 삶을 산다. 그러나 역사는 그 고난을 딛고 새로운 변혁의 기치를 드높이는 법. 콜로세움에서 영웅으로 추앙받으며 군중의 지지를 확보한 막시무스는 끝내 코모두스의 폭정을 그의 손으로 단죄하고 생을 마감한다.
그렇게 역사의 법칙을 영웅적 삶으로 증명해 낸 막시무스는 죽음의 문을 열고 가족의 품으로 가지만 남은 사람은 역사의 흐름을 계속 꾸려나가야만 한다. ‘이제 평온의 세계로 갔군. 그러나 나는 아직 갈 수 없어.’ 살아 있는 우리는 이 역사를 어디론가로 계속 꾸려나가야 하는 것이다. 그렇게 역사는 흐른다.
리들리 스콧은 이런 것을 말하려 한 듯 하다.
사실 영화 첫 전투장면은 그 처참한 살육 광경과 웅장함이 일면 충격을 안겨준다고 하여 기대하였지만, 나에겐 내 눈을 휘감고 뒷통수를 치면서 짜릿하게 할만한 충격은 오지 않았다. ‘라이언 일병 구하기’에서 현대 화기의 무서운 위력을(맞으면 그냥 사지가 터져 나가는) 본 터라 고대 병기, 칼과 방패, 투척기, 불화살 등은 그저 고전적 웅장함의 느낌만을 던져줄 정도였다 – 스콧의 스펙터클한 표현을 백번 인정한다 하더라도. 아무튼 서구인의 무의식에 담겨 있을 로마 시대에 대한 향수의 욕구는 이렇게 웅장하고 고전적이며 영웅적인 서사시를 통해 채워진다.
그런데 이 영화의 함정도 생각해야 할 듯하다. 과연 역사는 영웅이 만들어 가는 것인가. 역사는 위대한 개개인에 의해 변혁을 이루고 발전 – 이 영화는 역사의 발전을 믿는 듯하다 – 하여 왔는가. 아니라고 믿는다. 역사는 우리가 옳다고 믿는 가치들을 수호하려던 사람들에게 승리의 기쁨을 맛보고 죽게 했는가. 아니라고 믿는다. 역사는 그 시대를 산 모든 사람들의 의지에 의해 이끌려 왔으며 그 시대가 지향하는 가치를 수호하려던 사람들을 끊임없이 배반해 왔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권력은 그들 위에 있어 왔으며 역사는 그들에게 주물린다. 막시무스도 뜻은 이루었으나 권력자 코모두스의 손에 같이 죽음을 맞는다. 권력은 무서운 거다.(그리고 더러운 거다) 아, 그러나 권력도 역사의 흐름은 막지 못한다. 막으려 애를 써도 결국은 그 길을 가고야 만다.
이 영웅 서사시는 단지 이 말을 하려는 우화이면 좋겠다.
제가 영화를 보면서 생각한 건 로마시대에 훌륭한 검투사에게 주어진 영예가 사실상 어디까지일까 하는 것이었습니다…그리고 아우렐리우스는 어쩌면 아들이 황제로서 자질이 없는 걸 몰랐을지도 모릅니다. 바쁘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