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일하다 말고 느닷없이 영화 ‘몽상가들’이 생각났다.
느닷없는 이유는 이 영화를 봤을 때 말 그대로 아무런 생각도 느낌도 없었고 급격히 잊혀진 후로 내 머리를 뚫고 나온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오늘 정말 아무런 개연성 없이 머리 속을 뚫고 나온 ‘몽상가들’은 68 혁명이 얼마나 철없는 아이들의 장난과도 같은 소동이었던가를 말하고 있는 것 같았다.
이 생각은 정말 간단한 키워드를 통해 스쳐지나가는 도식적인 연상작용에 불과하다.
– 이 영화는 한 남매가 그들의 부모가 휴가로 집을 비운 사이 벌이는 소동이다.
– 이 남매는 남몰래 서로에게 근친상간적 애정을 느끼고 있다.
– 남매는 헐리웃 영화에 대한 자아도취적인 시네필인데, 동경해 마지않는 헐리웃의 고향에서 온 꽃미남이 등장하자 그를 쟁취하려는 욕망에 사로잡혀 애정에 균열이 생긴다. 근친상간과 동성애가 혼재한다.
– 남매의 갈등은 여자가 미국인과 성교하면서 마무리된다. 이 미숙아 남매는 부모가 부재한 상황에서 미국인 꽃미남을 통해 이성애, 이종교배의 질서를 회복한다.
– 그들은 헐리웃 영화에 대한 시네필적 열정으로 결속돼 있고, 이 미시적 세계 안으로 침잠하면서 거시적 세계의 변화에 대해 무감하다.
– 그들의 한바탕 소동이 마무리될 무렵 부모는 휴가에서 돌아온다. 그리고 이즈음 발생한 프랑스의 68 혁명은 그들에게 미시적세계에서의 근친상간적, 동성애적 욕망의 좌절을 보상받기 위한 한풀이의 장이며, 동시에 그들이 그 상처를 안고 기존의 질서로안전하게 복귀하기 위한 장이다.
– 결국 68 혁명은 미숙아가 뒤늦게 ‘철이 들게 하는’ 길이었고 세계는 바뀌지 않았다…?
폴란스키 감독은 왜 이토록 68년을 비웃고 있는가…라고 생각할 즈음 옆에서 베르톨루치 감독 작품이라고 귀띔해 준다.
그렇다. 느닷없이 튀어나온 연상작용이었던 것이다. 개연성 없이.
어쨌든 문득 나는 68년이 혁명에의 희망과 좌절을 동시에 안겨줬고 이후 많은 이들은 혁명이라는 단어와 이 말이 지니는 상상력을 잃었으며, 68년은 시대를 단절시킨 것이 아니라 가속화한 시점이라는 생각을 하게 됐다.
음? 내가 이런 말을 할 자격이 있는지…?
…
…
…
차치하고 생각해 보면 이런 도식은 누구든 끼워 맞출 수 있을 것 같은 공상이다.
그리고 평소 68 혁명에 대해 깊게 생각해 본 바도 없다.
그런데도 나는 이런 퍼즐 끼워 맞추기를 왜 즐기는지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