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루스트에 의하면 한 개인이 자신에 대한 어떤 像을 획득하는지의 여부와 자신의 경험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 수 있는가 없는가 하는 문제는 우연에 달려 있다고 한다. 그렇지만 그러한 문제가 우연에 좌우된다는 것은 결코 자명한 일만은 아니다. 인간의 내면적 관심사들은 이러한 것이 어쩔 수 없이 지니게 마련인 私的인 성격을 천성적으로 타고 나는 것은 아니다. 인간의 내면적 관심사들이 그러한 사적인 성격을 띠게 되는 것은 주위의 외적인 사실들을 자신의 경험 속에 동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점점 줄어든 연후에야 비로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신문은 바로 그러한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들 가운데 하나이다. 신문의 의도가, 신문이 제공하는 정보들이 독자들의 경험의 일부가 되도록 하는 데 있었다면, 신문은 이러한 의도를 달성하지 못했다고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신문의 의도는 이와는 정반대이며, 그리고 이러한 정반대의 의도는 달성되고 있다. 신문의 본질은 독자들로 하여금 그들의 경험에 영향을 미칠지도 모르는 영역으로부터 제반 사건을 차단시키는 데 있다. 저널리즘적인 정보의 원칙들, 예컨대 새로움, 간결성, 이해하기 쉬울 것, 그리고 무엇보다도 각각의 소식들 사이에 연관성이 없다는 점은 신문의 편집 및 문체와 더불어 그러한 목적에 기여하고 있다. (칼 크라우스 Karl Kraus는 신문의 어투가 그 신문을 읽는 독자의 상상력을 얼마나 마비시키고 있는가를 지칠 줄 모르고 폭로하고 있다.) 정보가 경험을 차단하는 또 다른 이유는 그 정보가 <전통> 속으로 들어가 그 일부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신문은 대량의 발행부수를 가지고 발간된다. 따라서 어떠한 독자도 다른 사람이 갖지 못하는 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자랑스럽게 말할 수가 없게 되었다. 역사적으로 볼 때 여러가지 전달형식들 사이에는 일종의 경쟁관계가 존속해 왔다. 옛날얘기가 정보라는 것에 의해 대체되고 정보가 센세이션이라는 것에 의해 대체되는 가운데 경험은 점차로 위축되어 왔다. 이러한 형식들은 모두 그 나름대로 이야기Erzählung 형식과는 뚜렷이 구별된다. 이야기 형식은 가장 오래된 전달형식들 가운데 하나이다. 이야기라는 것은 사건 그 자체를 단순하게 전달하는 일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정보가 바로 그러한 것을 목표로 삼는 데 반해). 이야기는 사건을 바로 그 이야기를 하고 있는 보고자의 생애 속으로 침투시키는데, 그것은 그 사건을 듣는 청중들에게 경험으로서 함께 전해주기 위해서이다. 그리하여 도자기에 陶工의 손자국이 남아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야기에는 이야기하는 사람의 흔적이 따라다니는 것이다. …”

벤야민이 말하는 경험이라는 단어는 숙고해 봐야 할 문제이다. 아니, 생각한다기보다는 느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내가 내 경험을 내 것으로 하다니, 내가 어떤 상을 획득하다니, 이게 무슨 말인가에 대해서 나는 느낄 수 있는가. 구체적이지만 설명할 수 없는, 상상력과 개입, 접촉이 없이는 성사될 수 없는 것들…우리가 잃어버린 언어들…모두를 포섭하는 보편자에 의해 동일화되고 무미건조하게 짜여진 언어에 의해 분절화됨으로써 생략된 곳, 내가 기거하는 곳…

댓글 남기기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