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루스트에 의하면 한 개인이 자신에 대한 어떤 像을 획득하는지의 여부와 자신의 경험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 수 있는가 없는가 하는 문제는 우연에 달려 있다고 한다. 그렇지만 그러한 문제가 우연에 좌우된다는 것은 결코 자명한 일만은 아니다. 인간의 내면적 관심사들은 이러한 것이 어쩔 수 없이 지니게 마련인 私的인 성격을 천성적으로 타고 나는 것은 아니다. 인간의 내면적 관심사들이 그러한 사적인 성격을 띠게 되는 것은 주위의 외적인 사실들을 자신의 경험 속에 동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점점 줄어든 연후에야 비로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신문은 바로 그러한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들 가운데 하나이다. 신문의 의도가, 신문이 제공하는 정보들이 독자들의 경험의 일부가 되도록 하는 데 있었다면, 신문은 이러한 의도를 달성하지 못했다고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신문의 의도는 이와는 정반대이며, 그리고 이러한 정반대의 의도는 달성되고 있다. 신문의 본질은 독자들로 하여금 그들의 경험에 영향을 미칠지도 모르는 영역으로부터 제반 사건을 차단시키는 데 있다. 저널리즘적인 정보의 원칙들, 예컨대 새로움, 간결성, 이해하기 쉬울 것, 그리고 무엇보다도 각각의 소식들 사이에 연관성이 없다는 점은 신문의 편집 및 문체와 더불어 그러한 목적에 기여하고 있다. (칼 크라우스 Karl Kraus는 신문의 어투가 그 신문을 읽는 독자의 상상력을 얼마나 마비시키고 있는가를 지칠 줄 모르고 폭로하고 있다.) 정보가 경험을 차단하는 또 다른 이유는 그 정보가 <전통> 속으로 들어가 그 일부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신문은 대량의 발행부수를 가지고 발간된다. 따라서 어떠한 독자도 다른 사람이 갖지 못하는 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자랑스럽게 말할 수가 없게 되었다. 역사적으로 볼 때 여러가지 전달형식들 사이에는 일종의 경쟁관계가 존속해 왔다. 옛날얘기가 정보라는 것에 의해 대체되고 정보가 센세이션이라는 것에 의해 대체되는 가운데 경험은 점차로 위축되어 왔다. 이러한 형식들은 모두 그 나름대로 이야기Erzählung 형식과는 뚜렷이 구별된다. 이야기 형식은 가장 오래된 전달형식들 가운데 하나이다. 이야기라는 것은 사건 그 자체를 단순하게 전달하는 일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정보가 바로 그러한 것을 목표로 삼는 데 반해). 이야기는 사건을 바로 그 이야기를 하고 있는 보고자의 생애 속으로 침투시키는데, 그것은 그 사건을 듣는 청중들에게 경험으로서 함께 전해주기 위해서이다. 그리하여 도자기에 陶工의 손자국이 남아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야기에는 이야기하는 사람의 흔적이 따라다니는 것이다. …”

벤야민이 말하는 경험이라는 단어는 숙고해 봐야 할 문제이다. 아니, 생각한다기보다는 느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내가 내 경험을 내 것으로 하다니, 내가 어떤 상을 획득하다니, 이게 무슨 말인가에 대해서 나는 느낄 수 있는가. 구체적이지만 설명할 수 없는, 상상력과 개입, 접촉이 없이는 성사될 수 없는 것들…우리가 잃어버린 언어들…모두를 포섭하는 보편자에 의해 동일화되고 무미건조하게 짜여진 언어에 의해 분절화됨으로써 생략된 곳, 내가 기거하는 곳…

댓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