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로 보고 아직 정리도 되지 않았는데 바로 써 버린다.(또 볼 게 있어서…)
저번에도 말했던 군에서 만났던 형이 Identity라는 걸 말하면서 예로 든 영화가 이 영화였다.
내가 나라고, 나와 동일하다고 인식하는 게 아이덴티티(자아 동일성) 아닌감. 그런데 그걸 이해하는 게 처음에는 너무나도 힘들었었다. 그 때 이 영화의 모티브는 그 이해를 도와 주었다.
정말로 나와 똑같은, 그러나 다른 내가 또 있다면…? 나와 똑같기는 한데 내가 보기에 그건 내가 아니라면? 말이 점점 꼬이는 것 같다. 그러니까 내가 나라고 인정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그렇다면 아마도 누구든지 혼란의 늪에서 헤맬 것이다. 그리고 그 혼란 끝에서 해답을 찾지 못하면 나라는 자아는 무너질 지도 모른다.
그런데 이 영화에서 베로니끄는 또다른 자아를 받아 들인다. 그녀는 같은 날 다른 곳에서 태어난, 또하나의 자신일지도 모르는 베로니카를 은연중에 느껴왔고 최후에는 베로니카를 베로니끄 안에 받아들이고 하나됨에 이른다.
그 두, 아니 한 여인의 중심에는 알렉산더(?)라는 인형극을 하는 남자가 있다. 그 남자는 자신의 소설 속에 다른 곳에 존재하는 두 여인에 대한 이야기를 담는다. 그것은 어쩌면 베로니카의 이야기일 것이다. 다시 말해 베로니카는 그 소설 속의 인물인지도 모른다.
아무튼 키에슬로프스키가 이 다층적인 해석의 가능성을 지닌 영화를 통해 무엇을 이야기하려 했는지는…아직 잘 모르겠다. 정리를 못했다. 어렴풋이 유럽의 현실에 대한 이야기일 것이다라고 짐작은 해 보지만 더 생각해 봐야 할 일이다.
이 영화의 느낌을 말하자면…영화 전체에 입혀진, 한편으로는 처량한 멜로디의 음악과 무언가를 찾아 헤매는 베로니카의 여정이, 슬프고 절박함의 느낌을 풍겨내는 것 같다.
어딘가에 숨어 있는 듯한 슬픔과 관능적인 미를 겸비한 것 같은 이렌느 야곱의 매력과, 투명한 공에 굴절되어 비치던 거리의 장면과 스포트라이트 안에서 살아 움직이듯 애잔한 몸짓을 보여주는 인형극의 그 긴장된 장면, 그리고 그 제목 모를(알아 봐야지) 멜로디의 음악이 내 눈 앞의 이미지가 되어 지워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