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EU

감독 :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주연 : 줄리엣 비노쉬
음악 : 즈비그뉴 프라이즈너

소유하는 것은 동시에 반대로 그 소유 대상에 자신이 귀속된다는 것을 뜻한다. 대개 그 소유 또는 귀속이라는 것을 영원하리라 믿고 싶어하고 또 그 영원의 상태를 유지하려 애를 쓴다.
소유하거나 귀속되는 대상은 자신의 의미 또는 본질을 규정해 준다. 그러한 의미에서 소유, 귀속의 영원성이란 하나의 의미 또는 본질로 고착되는 상태를 뜻하기도 한다. 또한 그것은 자신이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규정한다기보다 타자에 의해 규정되는 상태를 뜻한다.

그렇다면 이 영화는 이렇게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줄리는 자신이 소유하면서 동시에 귀속의 대상이 되었던 남편과 딸이 영원할 줄로만 알고 있었고 그 안에서 자신의 아이덴티티의 상당 부분을 규정하고 있었지만, 일순간 그 대상을 동시에 상실한 상태, 그 상태에서 줄리는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규정해 줄 대상을 잃어버려 한동안 그 영원에 대해 집착하면서 방황하지만 특정 계기를 통해 – 남편에게 정부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됨으로써 – 그 영원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는 순간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자신의 선택에 의해 규정하게 된다.(따라서 이 영화에서 줄리가 자유의 상태로, 또는 대자의 상태로 전환되는 순간은 남편의 정부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 바로 그 시점부터 – 물론 충격이 분노로, 분노가 소유 또는 귀속에 대한 집착에서 해방되는 것으로 바뀌는 과정이 더 필요하겠지만 도식적으로 본다면 – 라고 보는 것이 옳을 것 같다.)

이 영화가 자유라는 큰 틀 속에서 움직이는 것이라면 이러한 줄리의 삶의 변화는 자유의 상을 그려내기 위한 소묘 작업으로 볼 수 있다. 위의 말을 반복하자면, 자유는 소유와 귀속에 대한 집착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에서 가능하다. 그것은 자기 아이덴티티를 타자에 기대지 않고 스스로 결정해 나가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동시에 그것은 영원한 불변에 대한 거부이기도 하며 오직 영원히 지속되는 것은 변화일 뿐이라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과 같은 말이다.

이런 것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소유도 귀속도 인간이 살아가는 데에는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상태이다. 소유와 귀속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진정한 자유이다라고 말한다면 그것은 도통한 스님들의 선문답과 같은 말이 될 것이다. 앞에서 말한 것이 소유와 귀속으로부터의 해방으로 들렸다면 위의 말은 위험한, 아니 불가능한 주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나는 나만의 선택에 의해 자신의 본질을 규정해 나간다고 하는 말도 불가능한 임무가 될 것이다. 이 말은 아직까지 나에게는 딜레마이다. 영화 속 줄리도 그러한 질문을 던지는 것 같다. 단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수영장 신이다. 푸른 물만이 존재하는 넓은 공간의 한가운데에 줄리가 자유로이 유영한다. 그는 어느 방향으로 갈지, 어떻게 수영할지 자신이 선택하기만 하면 된다. 그 선택은 고요하고 평화로운 수영장 안에서 이루어진다. 멀리서 잡은 카메라는 수영장 전체를 비춘다. 그 장면에서 줄리는 넓지만 한정되어 있는, 즉 수영장이라는 그녀만의 공간 안에서만 자유롭다는 것을 알아채게 된다. 자신만의 공간 안에서만은 자유란 획득될 수 없고 설령 획득된다 하더라도 한계가 있다. 수영장 바깥의 세계는 그리 고요하고 평화롭지 못하다. 그리고 바깥 세계는 줄리만의 수영장을 너무나도 쉽게 침범해 들어온다. 자유란 그렇다면 어느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것일까, 다시 말해 자유는 도대체 무엇인가 이 원점으로 돌아와 버린 질문은 아직 쉽게 답을 찾을 수가 없다.

댓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