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역사 초기, 영화 기호학이 활발히 연구되던 러시아에서 한 실험이 있었다.
당시 한 유명한 중년 남자 연극배우의 무표정한 얼굴 쇼트를 각기 다른 쇼트와 연결시켜 의미 생성과정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예컨대 소박한 음식 쇼트를 앞에 두고 그 배우의 무표정한 얼굴 쇼트를 붙였을 때, 단촐한 음식이 차려져 있고 한 노동자가 허기진 모습으로 그 음식을 간절히 바라보는 것처럼 보였다.
장례식 쇼트를 앞에 두고 연극배우의 얼굴 쇼트를 배치했을 때에는 엄숙한 장례식이 치뤄지고 있고 한 남자가 망자에 대한 깊은 슬픔과 애도의 표정으로 그것을 지켜보고 있는 것 같았다.
아이들의 천진난만한 놀이 쇼트를 배치한 후 그 쇼트를 두어보니 이번에는 아이들이 뛰어놀고 있고, 이를 한 남자가 행복하고 그윽한 눈빛으로 지켜보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다시 말해 연극배우의 무표정한 얼굴 쇼트를 A라 할 때, 각기 다른 쇼트를 앞에 배치함에 따라 이 A 쇼트의 의미가 달라지는 것이다.
이번에는 두 쇼트의 순서를 바꾸어 보니 주어와 서술어, 즉 지시하는 것과 지시받는 것의 관계가 바뀌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배우의 얼굴 쇼트 다음에 음식 쇼트를 배치하면 한 남자가 무언가를 바라보고 있는데, 다음 쇼트를 통해 바라보고 있는 대상은 음식인 것으로 판명된다)
이는 영화의 각 쇼트가 각기 독립적인 의미를 갖추고 있는 최소단위로 볼 수 있는 근거를 제공했다.
뿐만 아니다.
각 쇼트는 서로 전혀 이질적인 파편에 지나지 않고, 이 이질적인 파편이 어떻게 맞춰지느냐에 따라 의미는 확연히 달라진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두 쇼트 A, B 사이에 의미의 연관성을 담보해 주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쇼트를 연달아 본 관객은 둘 사이에 명확한 (시간적, 공간적, 개념적) 연관성이 있는 것처럼 받아들인다.
(개별 쇼트는 다른 장소, 다른 시간에서 다른 맥락으로 촬영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이 비약은 기계인형 뒤에 숨은 난장이, 다른 말로 보이지 않는 손이 담보하고 있다.
파편들의 혼돈을 종식시키고 안정된 하나의 질서를 구축하려는 서사의 자기 완결성에 대한 욕망이 그것이다.
서사에의 욕망은 파편들의 이질성을 무화시키고 마치 항상-이미 그러했던 것처럼 균질화함으로써 스스로의 질서를 완성한다.
다시 말해 이질적인 쇼트들이 서로의 의미를 보충, 보완할 뿐만 아니라 시간적, 공간적으로도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는 환상이야말로 영화를 그 안에서 움직이게 하는 힘인 것이다.
그리고 이 욕망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는 한에서만 영화는 ‘존재할’ 수 있고 관객은 영화를 ‘볼’ 수 있다.
따라서 파편들에 대한 환상 메커니즘은 자연스러운 것이지만, 때로는 의심하면서 볼 필요가 있다.
나는 이 환상열차에 올라타기 위해 어떤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지, 이 환상열차는 나를 어디로 인도할 것인지 등에 대해.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