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혹성탈출 : 진화의 시작>을 보는 내내 나는 이 영화가 < 혹성탈출>의 프리퀄이 아니라<12몽키즈>의 다른 판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12몽키즈>에서 제임스 콜이 인류 파멸의 원인을 오인한 지점, 그러니까 ’12몽키즈’라는 공상적 동물 보호단체의 동물 해방 퍼포먼스는 이 영화에서 침팬지 시저가 인간에 대항해 혁명을 일으킬 것이라 기대했던 부분과 정확히 겹친다. 그리고 <12몽키즈>와 마찬가지로 이는 오인에 지나지 않았다.
<12몽키즈>의 결말 부분과 마찬가지로 < 혹성탈출 : 진화의 시작> 역시 인간의 파멸은 공항에서 암시된다. 이는 심증을 굳히는 장면이다.
하지만 영화를 보고 오자마자 검색해 본 결과 이미 수많은 사람들이 이 영화를 <12몽키즈>에 대한 기시감 속에서 봤다는 것을 알게 됐다.
그래서 이 영화에 대해 말하기 싫어졌는데, 덧붙여 말하고 싶은 것은 앞서 말한 것처럼 이 영화는 원숭이의 인간에 대한 혁명을 말하는 게 아니라는 점 정도다.
시저는 인간의 손에 길러졌고 그에 대한 애정을 여전히 갖고 있다. 시저의 목표는 삼나무 숲이라는 원숭이의 해방 공간을 만드는 것, 그의 각성한 동료들과 함께 자치구를 형성하는 것이었을 뿐이다. 이 영화에서 벌어지는 원숭이와 인간의 대립 양상은 그러한 원숭이 자치구를 위한 투쟁으로 요약된다.
어쨌든 이 영화에서 인간은 원숭이에게 대립되는 타자로 ‘아직’ 등장하지 않았다. 원숭이는 인간과 공존할 수 없다는 최종적인 각성에 ‘아직’ 들지 않았고, 인간을 죽음으로 내몰 약품 ALZ113의 확산은 ‘일찍’ 암시되고 있다. 요컨대 원숭이의 해방구는 만들어졌지만 혁명은 임박하지 않았고, (이게 가능한 표현인지 모르겠지만) 인간이라는 대립물의 파멸은 일찍 찾아올 것 같은 암시. 이것이 이 영화의 원숭이 혁명에 대한 적절한 타협점이다. 작가는 각성한 타자의 혁명보다는 차라리 인간 자신의 과오에 의한 멸망이 더 받아들이기 쉽다고 판단했던 것일까?
아무튼 이 영화가 원숭이들의 ‘혁명의 시작’이 아니라 ‘진화의 시작’이라는 이야기. (원제는 ‘Rise of the Planet of the Apes’, 원제가 오히려 정직하지 못한 경우다.) 그리고 오랜만에 12몽키즈를 떠올려 반가웠다는 이야기.
내일부터 여름휴가가 시작이고 제주도를 갈 계획인데 아직 전혀 실감이 나지 않아 이렇게 밍기적거리고 있는 중. 설레지 않는 여행이라니…하지만 대부분의 내 여행은 그랬고 이게 내 방식이겠지.
추신1: 이 영화에서 시저가 처음으로 하게 되는 인간의 말은 ‘No’다. 시저는 인간에게 통제 받는 운명을 거부함으로써 각성한 주체가 된다. 주체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거부하는 용기다. 그리고 나는 여전히 일상의 운명을 거부하지 못하는 조종당하는 주체에 지나지 않는다.
추신2: 이 기회에 12몽키즈를 한 번 보시라. 아마 테리 길리엄의 영화 중 가장 이해하기 쉬울 것이고 다양한 이야기의 가능성을 발견할 것이며 덤으로 브래드 피트의 놀라운 연기력과 매들린 스토의 매력에 빠질지도 모른다. 아, 브루스 윌리스 형님은 이 영화에서도 대머리니까 기대하지는 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