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독 : 곽경택
사람에게 맹세는 덧없는 것이다. 우리는 영원하리라 다짐하지만 영원한 것은 없다는 사실만 영원할 따름. 조오련과 바다거북이를 두고 일없는 내기를 걸던 꼬마 사총사 일당의 든든한 한울타리도 영원할 수 없다. 도대체 우정은 무엇이며 친구는 무엇인지, 그 단어에서 떠오르는 알 수 없는 든든함을 허무는 것은 무엇인지 이 영화는 말해 보려고 무진 애를 쓰는 것 같다. 준석과 동수를 축으로 그들과 다른 세상에서 관망하는 아니 그보다는 그들의 삶에 조금은 발을 담근 상택의 나레이션으로 풀어내는 친구 단상은 남들이 말하는 것처럼 찡하지도 않았고 공허감마저 느껴진다. 사시미 담그는 소리에 소름 돋는 움찔함의 감각만이 남는다.
우선 든든한 울타리를 허무는 것은 그들을 제압하는 현실인 것 같다. 아버지를 부정하려 하나 끝까지 아버지를 극복하지 못하고 무릎꿇은 삶을 사는 준석과 동수는 아버지로부터 태생적으로 부여받은 결핍과 억압의 굴레를 고스란히 안고 서로 갈등한다. 그들의 우정이 무너지는 것은 이러한 아버지의 윤리가 우스꽝스러운 작태로 나타나는 깡패 세계의 일원이 되면서부터이며 지배 피지배의 관계를 습득하면서부터이다. 부정의 의지는 있으나 끝내 이겨낼 수 없는 대상, 그것에 굴복한 나약함을 애써 감추려는 것이 이 영화에서 그려지는 깡패 친구들의 강인한 외면이다.(상택에게서는 아버지에 대한 부정이나 두려움의 징후를 찾을 수 없다. 차라리 그는 잘 길들여진 순종적인 아들이다. 준석이 상택의 삶을 동경함이 아버지가 가리키는 길로 군말없이 잘 따라가는 천성이나 순종할 수 있는 아버지를 갖추고 있음에 있다면 상택이 그들의 삶에 대한 화자가 되는 것은 탐탁치 못할 뿐더러 가능치도 않은 얘기이다) 이것과는 별개로 나는 어떤 식으로든 아버지를 극복하지 못한, 아버지의 모습을 한 남자들의 세계의 이 무뚝뚝하고 짜세잡힌 면면에서 무언가 뜨거운 친근감을 이끌어낼 이들을 떠올리며 쓴웃음을 지을 수밖에 없다.
그럼 든든한 울타리를 엮어 내는 질료는 무엇인가. 그들 사총사의 우정은 어떤 내용인가. 나는 그것의 정체를 찾을 수 없는 모호함을 느낀다. 어릴 적 몸으로 부대끼며 느끼던 육질의 정감 말고 그들 사이를 이어줄 수 있는 그 무엇이 있는가. 그것만이 시원이자 기반으로 내세워질 뿐 서로간의 소통에서는 실패한 사이가 아닌가. 어머니의 자궁 같은 저 먼 기억의 푸근함으로 돌아가자고 하면서도 현재의 너와 나 사이에서 그것을 회복하려는 노력은 없지 않은가 말이다.(‘우리 친구 아이가’, ‘친구야’ 따위의 대사는 일상 언어에서 가장 닭살돋는 말 중의 하나이다. 그 말은 나와 너 사이의 관계를 영원불멸하게 친구로서 고정시켜 버리는 악수이다. 이 고정된 상태에서 더이상 친구가 되기 위한 노력은 없다) 상택에 대한 준석의, 준석에 대한 동수의 일방향적인 컴플렉스가 극복될 기회를 놓쳐 버린 이들 사총사에 대해 느끼는 감정은 애석함 뿐이다. 이 애석함을 곱씹을 겨를 없이 교복과 사투리, 흑백 사진 같은 70년대로 치장해 버리고는 곧바로 사시미질을 해대는 통에 이 영화에서 제목의 의미를 드러내 줄 주제어가 희미해져 버린 것이다.
화해는 나 자신의 수줍은 노력에서 시작되듯이 우정은 나 자신의 힘겹지만 진지한 대화의 노력에서 시작된다고 믿는다. 대화는 상대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는 것만큼이나 나와 너 사이의 변화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고 믿는다. 언제나 친구가 되기 위한 노력 중에 있어야 친구이며 친구라고 부를 수 있는 사람은 바로 지금 여기서 나와 충돌하고 있는 사람이다…뭔소리 하는 거여…졸려서 원…흐미…
부산말 어려웠어요~ 옥에티가 많은 영화였어요,, 재밌었으니깐 그걸로 보상은 됐지요..
서울사람들은 친구볼때…자막으로 본다는…할말없는 그런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