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 거창하게 말할 만한 사고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지만, 시험공부를 한답시고 도서관 책상에 앉아서 지식사회학 교재를 보고 있자니 문득 제목과 같은 생각이 들었다.



그 발단은 맑스의 소외 개념이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노동자는 자신이 생산한 결과물에 대해 외화(소외와 비슷한 개념?)되고 더 나아가 유적존재(인간 종으로서의 특수성? 여기서는 육체적 욕구를 극복한 의식적 활동을 통해 생산한다는 점)로서의 자기 인식은 생존을 위한 필요성에 따라 강제되는 육체적 노동을 통해서만 가능하게 된다. 그 순간마저도 자기의식은 제한받는다. 철저한 분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생산 활동은 내 식으로 말하면 개인의 전개성, 총체성의 형성 및 발현을 억압한다. 쉽게 말해 인간으로서의 자기발현이란 가능치가 않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소화하기 힘든 언어들을 훑어내려가다 지금 내 상황에 대해 의식하기 시작했다. 나 역시 학습활동으로부터 소외된 상황은 아닌지…중학교 때부터 객관식 문제를 증오하면서도 편한 데 안주했고 점수를 내기 위해 공부해야 하는 상황을 경멸하면서도 그 구조 안에서 놀던 나이지만 이건 너무하다 싶더라. 나는 지적 관심에 따라 이론을 접하고 차곡차곡 쌓아가는 것이 아니라 학점을 잘 받기 위해, 시험을 위해 지금 벼락치기를 한다. 대개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 몰라도 비슷한 상황이리라 생각한다. 내가 학습하는 지식은 분명 내가 눈으로 보고 손으로 쓰며 머리를 굴리면서 내 안에서 놀지만 그것은 시험이 끝나면, 또는 외부에서 필요로 하지 않으면 깨끗하게 머리속에서 사라진다. 나와 그렇게 씨름하던 지식들은 분명 내 안에 있지만 또한 내 밖에 있다. 지식은 내가 관심을 지니고 있어서가 아니라 외부적 필요에 의해서 잠시 머물다 갈 뿐이다. 나는 그것을 주체적으로 찾아다니고 획득해 가는 것이 아니다. 생각보다 그것은 철저히 나와 소외되어 있는 것이다.



맑스의 소외 개념은 자본주의의 분업화된(심지어 생산물조차 그 주체와 분리되어 만드는 사람 따로 있고 소유하는 사람 따로 있는) 생산 양식 및 관계와 구조에 초점을 맞추어 있지만 그것을 양화된 인간 생활 양태로 바꾸어 적용한다 해도 충분히 그것은 설득력이 있는 것 같다. 우리(일반화할 수는 없지만 우리라고 통칭하겠다)네 대학생들 역시 인문계 쪽으로 한정시킨다면 서술형 시험이 주를 이루지만 결국은 그것 역시 0점에서 100점으로 수치로 측정되고, 중고등학교 과정에서는 아예 5지선다형이나 단답형 주관식으로 수학 능력을 측정하지 않는가…한 개인의 지적 능력을 측정한다는 목적 자체의 가부에 대한 시비는 차치하고라도 그 수단으로 이렇게 양화된 방식을 자연스럽게 쓰는 것은 생각보다 심각한 문제가 아닌가 싶다. 그 수치가 과연 그 사람의 총체성을 밝혀주고 그 사람이 무슨 관심을 지니고 있으며 성격이 어떻고 어떻게 행동하고 무엇을 추구하는지를 밝혀줄 수 없다는 것을 뻔히 아는데도 그것은 객관적 신빙성이 있는 평가 기준이 되고 있다.



수업 중에 듣는 흥미롭고 진지한 문제의식들은 충분히 모두들 숙고해 볼 필요가 있는 것들이다. 우리는 얼마나 양화된 지식에 기대어 진실을 말하려 하는가…우리는 얼마나 실적 지상주의적인 생활 원칙의 노예가 되어 있는가. 그 안에서 우리는 얼마나 많은 자연과 관념과 행동과 자아로부터 소외되고 있는가…



분명 할 말 없어 짤막하게 긁적이려 했건만 아귀도 맞지 않는 문장을 또 토해내고 말았네…



아, 시험이라는 데드라인을 앞두고 해대는 이 경박하고 강박적인 공부란 것이 대체 나에게 무슨 의미가 있는지…중간중간 멋진 언어들이 즐비한데 그것을 음미하지도 못하고…





‘…’인간이 물건에 생명을 불어 넣자 그것은 적대적이고 이질적인 것으로서 인간에게 맞선다.’ …소외를 일으키는 것은 자본주의의 경제관계만이 아니며(인간이 맺는 관계 중 가장 심오한 관계, 즉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자본주의 사회의 전체적인 구조 그 자체이다. 자본주의적 사회관계가 더욱 발전되면 될수록 자연의 전유(專有)는 더욱 증대된다. 자연이 점점더 생산의 한 요소로 될수록, 두 가지 중요한 점에서 그것은 노동자의 생활수단이 될 수 없게 된다. ‘감각적인 외부세계’는 상품으로 전유되기 때문에 더 이상 노동에 속하는 대상이 될 수 없고, 그것은 또한 더이상 노동자를 위한 물질적인 생계수단도 되지 않는다. 자본주의적 사회관계의 양식이 초래한 인간-자연간의 상호작용에 있어서의 변화는 노동자를 자신의 생산물의 노에로 격하시킨다. 이러한 노예상태는 결국 노동자는 그가 노동자인 한에서만, 육체적 주체로서 자신을 유지할 수 있고, 육체적 주체로서만 노동자일 수 있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소외는 노동자에게만 영향을 끼치는 현상은 아니다. 소외는 또한 생산과정을 특징지우기도 한다. 다시 말해 생산과정에서 노동의 ‘적극적 외화'(active externalization), 즉 생계 수단을 박탈당한 노동자로부터 그의 생존의 필요성으로 말미암아 노동을 강제로 추출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노동자로서의 인간은 개성을 잃게 된다. 노동자는 자신의 계속적인 생존을 보장해 주는 ‘동물적 기능'(animal functions)을 할 때만, 자신을 개인적인 인간으로서 느낀다. 이것이 인간의 소외이며, 자신을 인간으로 의식하게 해주는 질적인 개성(qualitative individuality)의 객체화(objectification) 및 외화(externalization)이다. 그러나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인간 소외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자본주의 사회의 작용에서 비롯된 더 근본적인 소외 형태가 있다. 즉 ‘유적 존재'(類的存在 : species being : 본질적으로 포이에르바하류의 개념임)로부터의 소외가 그것이다. ‘유적존재’란 인간이 자기 자신을 보편적이며 따라서 자유로운 존재로서 의식할 때 발생한다. … 인간을 자연 및 자기 의식으로부터 소외시키는 가운데, 소외돈 노동은 종(species)을 인간으로부터 소원하게 하며 그것을 추상물(abstraction)로 만든다. ‘유적 생활’은 단지 생존 과정으로만 생각되게 된다. 인간본성은 현실에서 후퇴하여 전적으로 추상적인 개념이 된다. 인간의 사회 관계가 비현실적이며 사회원자론적 관계를 나타내는 것과 마찬가지로, 인간 및 인간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지식도 모두 비현실적으로 되고 원자화된다. …’



사회구조와 사회의식(P.해밀턴) p42~43

댓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