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9월11일 화요일. 1914년 사라예보의 총성이 20세기를 실제로 맞이했듯이 이날은 21세기를 실제 맞이한 날로 기록될 것이다. 특히 `본토에 대한 진주만 공격’으로, 최강의 경제력과 군사력의 상징에 대한 강타로 인식할 미국으로선 더욱 그러할 것이다. 위기 상황에서 온갖 선언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부시 미국 대통령은 동시 다발 테러를 “자유를 공격 목표로 한 전쟁 행위”라고 평가하면서 “악에 대한 선의 전쟁”을 선포했고, 콜린 파월 국무장관은 “미국에 대한 전쟁이 아니라 문명에 대한 전쟁”이라고 말했다.

충격을 표현할 말의 부족을 느꼈다는 <르몽드>의 콜롱바니 주필은 “우리는 모두 미국인이다. 1962년 베를린에서 스스로 베를린인이라고 선언했던 존 에프 케네디처럼 우리는 모두 뉴욕인이다”라는 말로 시작해 “광기는, 그것이 비록 절망에서 비롯되었다는 핑계가 있다 하더라도 세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이 되는 것은 아니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오늘 우리는 모두 미국인이다”라고 칼럼을 끝맺고 있다.

무고한 사람을 수없이 희생시킨 테러행위는 그 누구의 동의도 끌어낼 수 없다. 하지만 그것이 절망과 증오의 광기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그처럼 원한에 차고 증오심으로 불타게 만든 근본 원인을 규명하는 일이 필수적이다. 가령 지금까지 미국은 보복 행위의 실천에서조차, 특히 팔레스타인-이스라엘 관계에서 편파적이었다는 칼럼리스트 윌리엄 파프의 지적은 타당하다. 또 좀더 넓은 시각에서, 호혜평등과 인권의 보편적 가치라는 수사 너머 실제 세계에서 힘의 논리 아래 빚어지는 인간 차별과 존엄성 무시와 굴욕 강요에 관한 근본적 성찰이 요구된다. 콜롱바니의 `우리는 미국인이다’라는 선언이 제1 세계의 영역을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보이는 까닭이다.

<시엔엔>을 비롯해 세계의 모든 매체를 통해 우리가 거의 일상적으로 느끼는 것은 지구상의 모든 인간의 가치는 각 인간의 에너지 소비량에 비례한다는 점이다. 걸프전쟁 이래 미국의 `제로 사망’ 전술도 이 점과 무관하지 않다. 이 전술은 코소보 전쟁에서 거듭 확인되었는데, 부시 행정부의 등장과 함께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분쟁에서의 편파적 거리 두기 국제경찰 노릇과 미사일방어(엠디) 전략의 신고립주의로 나아갔다. 이와 같은 부시의 전략전술에는 실상 커다란 구멍이 뚫려 있었다. 제로 사망, 대량 폭격 전술과 미사일 방어전략은 아무튼 얼굴 있는 적을 대상으로 한 것인데, 이번에 `얼굴 없는 전쟁 상대자’를 만난 것이다.

테러 행위의 강력한 용의자로 지목받는 오사마 빈 라덴이 미국 중앙정보국(CIA)의 재정 지원까지 받았다는 사실은 중대한 시사점을 남긴다. “어떻게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을 지원할 수 있느냐?”는 자신의 질문이 미국쪽의 “그들은 공산주의자들과 싸운다”라는 단 한마디로 일축되었다는 클로드 셰이송 프랑스 전 외무장관의 술회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미국은 이슬람 근본주의도 세력 관계에 이롭게 작용한다고 판단되면 장기판의 알로 이용했다.

부시 행정부가 기존의 전략전술, 특히 미사일 방어전략을 수정할지는 미지수다. 또다른 나라와 달리, 본토에서 단 한 번도 외침의 불행을 겪어보지 않은 미국에게 이번 테러가 자기성찰의 계기가 될지도 분명치 않다. 그들의 단순한 선악 구분법과 오만이 걸림돌이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테러를 막는 방어는 전쟁이 아니라 정의”라는 어느 평자의 지적은 진리임을 미국은 알아야 한다.

한편, 이번 기회를 통해 우리 한국인은 미국인과 자신을 동일시하여 사회 현상을 바라보도록 특히 언론이 작용하지 않는지 돌이켜봐야 할 듯하다. 유럽인들처럼 우리가 아무리 “오늘 우리는 모두 미국인이다”라고 선언해도 미국은 결코 우리를 유럽인들처럼 바라보지 않는다. 멀리 되돌아갈 것 없이 최근의 매향리, 독극물 유출 사건만 봐도 알 수 있다. 오늘 우리가 `뉴욕인이다’라고는 말할 수 있을지언정 `미국인이다’라고 말할 수 없는 까닭은 그렇게 간단한 것이다.

홍세화/<아웃사이더> 편집위원

댓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