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대한민국

숏컷 | 김봉석 칼럼

‘오마이뉴스’에 들어가 봤더니, 자기 반 학생들이 줄줄이 이민을 간다는 중학교 선생의 글이 있었다. 부모가 그쪽에 일자리를 구한다거나 해서 피치 못할 이민을 가는 것이 아니라, ‘교육’ 때문에 일부러 간다는 이야기였다. 한국의 공교육 자체를 신뢰하지 못할 수도 있고, 아니면 사회에 대한 전망 자체가 불투명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한국에서 정상적인 교육을 받고 무사히 사회에 나간다 해도, 과연 ‘희망적인’ 미래가 기다리고 있을까. 이도 저도 아니면 그저 영어교육 때문일까.

지난주 <시사 매거진 2580>에서는 강남과 강북의 영어교육을 비교하는 코너가 있었다. 영어시간에는 영어만을 사용해서 수업을 진행하라는 지침이 내려온 뒤, 양자의 풍경은 확연하게 달랐다. 강북에서는 떠듬떠듬이라도 자신의 의사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학생이 많지 않았는데, 강남에서는 거의 모두가 능숙하게 ‘대화’를 하고 있었다. 기자가 물어보니 외국에서 살았거나 어학연수 등을 다녀온 학생이 절반을 훨씬 넘었다. 외국을 나가지 않았다 해도 마찬가지다. 요즘 강남에서는 영어 유치원이 인기라는데, 한달 수강료 42만원짜리가 ‘서민적’이라고 비판받는 실정이라고 한다. 한달에 100만원씩 하는 유치원도 많고. 학교에 들어가서도 연수니, 개인교습이니를 받는 것도 당연한 일이다. 그러니 중학교, 고등학교 갈수록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나는 그런 것 자체를 반대하지는 않는다. 부자를 싫어하기는 하지만(그냥 자격지심이다), 그들의 호화로운 행태 자체를 비난하지는 않는다. 그건 그저, 그들이 사는 방식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돈이 많다면, 그 돈을 자신의 욕망을 위해 쓰는 것도 나쁘지는 않다고 생각한다. 물론 그 돈을 사회적 약자를 위해 기부한다면 더욱 좋겠지만 그건 각자의 결단에 달려 있는 문제다. 하지만 원하는 것은 그들이 벌어들이는 만큼, 그들이 소비하는 만큼 ‘정당하게’ 세금을 내야 한다는 ‘당위’다. 그들이 마땅히 내야 할 세금을 내고, 자신들끼리 호화롭게 살아간다면 그들의 ‘호화생활’에 아무런 시비를 걸 생각이 없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이 짐작하고 있듯이, 한국사회는 정당하지 않다. 전직 대통령은 언론사의 ‘세금을 깎아주었다’라고 자랑스럽게 떠벌리고, 망해가는 대우는 수십조의 비자금을 빼돌렸고, 대다수의 기업들이 분식회계를 하고 있다고 한다. 전세는 은행 금리보다 두배는 되는 월세로 점차 바뀌고, 직접세 대신 간접세의 비중이 점점 높아진다는 기사도 어디선가 봤다. 이런데도 한국사회에 희망이 있을까.

영어교육의 문제는 단순한 게 아니다. 영어는 ‘권력’이다. 영어를 할 수 있는가, 없는가에 따라 직업과 직장에는 분명한 차별이 존재한다. 이제는 ‘교육’도 세습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20 대 80의 사회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런 걸 보고 생각하고 있으면 씁쓸하고, 지겨워지다가 잊어버리고 싶어진다. 도피한다고 사회가 변하지는 않겠지만, 적어도 마음만은 편해질 테니. 그 순간만이라도. 아니면 멕시코 ‘사파티스타 혁명군’의 꿈이라도 꿀까. 권력을 접수하지는 않지만 ‘개인의 존엄’을 지키겠다는, 새로운 ‘혁명’의 꿈을. 그러나 과연 가능할까. 나이가 들수록, 세상에는 알 수 없는 일들이 늘어만 간다.

 

lotus@hani.co.kr

 

비트겐슈타인 논리철학논고 서문 영한대역본

 




서문 Introduction

이 책은 아마 이 책 속에 표현된 사고들을-또는 어쨋든 비슷한 사고들을-스스로 이미 언젠가 해본 사람만이 이해하게 될 것이다.이 책의 목적은 이 책을 읽고 이해하는 어떤 한 사람에게 즐거움을 준다면 달성될 것이다.

Perhaps this book will be understood only by someone who has himself already had the thoughts that are expressed in it–or at least similar thoughts.–So it is not a textbook.–Its purpose would be achieved if it gave pleasure to one person who read and understood it.

이 책은 철학적 문제들을 다루고 있으며-내가 믿기로는-이러한 문제들의 문제 제기가 우리의 언어 논리(言語論理)에 대한 오해에 기인한다는 점이 보이고 있다. 이 책의 전체적인 뜻은 대략 다음의 말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좌우간 말해 질 수 있는 것은 명료하게 말해질 수 있다; 그리고 이야기될 수 없는 것에 관해서는 우리는 침묵해야 한다.

The book deals with the problems of philosophy, and shows, I believe, that the reason why these problems are posed is that the logic of our language is misunderstood. The whole sense of the book might be summed up the following words: what can be said at all can be said clearly, and what we cannot talk about we must pass over in silence.

이 책은 그러므로 생각에 한계를 그으려 한다. 또는 차라리, 생각이 아니라 사고의 표현에 한계를 그으려 한다. 왜냐하면 생각에 한계를 그으려면 우리는 이 한계의 양 측면을 다 생각할 수 있어야-따라서 우리는 생각될 수 없는 것을 생각할 수 있어야-할 것이기 때문이다.

Thus the aim of the book is to draw a limit to thought, or rather–not to thought, but to the expression of thoughts: for in order to be able to draw a limit to thought, we should have to find both sides of the limit thinkable (i.e. we should have to be able to think what cannot be thought).

그러므로 한계는 오직 언어에서만 그어질 수 있을 것이며, 그 한계 건너편에 놓여있는 것은 단순히 무의미가 될 것이다.

It will therefore only be in language that the limit can be drawn, and what lies on the other side of the limit will simply be nonsense.

나는 나의 노력이 다른 철학자들의 노력과 어느만큼 합치하는지는 판정하지 않겠다. 사실, 내가 여기에 쓴 것은 개별적으로는 결코 참신성을 주장할 게 없다. 그리고 나로서는 내가 생각한 것을 나 이전에 이미 다른 어떤 사람이 생각했는지 여부는 아무래도 상관없기 때문에, 나는 또한 전거를 제시하지도 않았다.

I do not wish to judge how far my efforts coincide with those of other philosophers. Indeed, what I have written here makes no claim to novelty in detail, and the reason why I give no sources is that it is a matter of indifference to me whether the thoughts that I have had have been anticipated by someone else.

나는 단지 , 나의 사고는 프레게의 위대한 저작들과 나의 친구 버틀란드 러셀씨의 작업 덕택에 커다랗게 자극받았다는 점만을 언급해 두고자 한다.

I will only mention that I am indebted to Frege’s great works and of the writings of my friend Mr Bertrand Russell for much of the stimulation of my thoughts.

만이 이 작업이 어떤 가치를 지닌다면, 그것은 두 가지 점에 있다. 첫째로 , 이 작업 속에는 사고들이 표현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가치는 그 사고들이 더 잘 표현되 있으면 있을 수록 더 커지게 된다. 여기서 나는 가능한 수준에서 훨씬 뒤처져 있음을 자각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나의 능력이 그 과제를 성취해 내기에는 너무 빈약하기 때문이다.-다른 사람이 나와서 더 잘 해주기를!-

If this work has any value, it consists in two things: the first is that thoughts are expressed in it, and on this score the better the thoughts are expressed–the more the nail has been hit on the head–the greater will be its value.–Here I am conscious of having fallen a long way short of what is possible. Simply because my powers are too slight for the accomplishment of the task.–May others come and do it better.

반면에 나에겐 여기서 전달되 사고들의 진리성은 불가침적이며 결정적이라고 보인다. 따라서 나는 본질적인 점에서 문제들을 최종적으로 해결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만일 내가 이 점에서 틀리지 않는다면, 이 작업의 가치는 둘째로, 이 작업은 문제들이 해결됨으로써 이루어진 것이 얼마나 적으냐 하는 걸 보여 준다는 점에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ruth of the thoughts that are here communicated seems to me unassailable and definitive. I therefore believe myself to have found, on all essential points, the final solution of the problems. And if I am not mistaken in this belief, then the second thing in which the of this work consists is that it shows how little is achieved when these problem are solved.

L.W.
1918년 비엔나에서 Vienna, 1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