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코라는 사람…의 글은 참으로 난해하다.
프랑스인 특유의 쉽게 이해하기 힘든 문학적 수사는 오르기 힘든 성벽 같은 그의 사상의 언저리를 안개처럼 희뿌옇게 칠해 놓는다.
광기의 역사를 미친 척 읽어보고는 치를 떨었었지만
이번 학기에 듣는 현대철학 탐구라는 과목 교재에 나온 푸코의 철학 해설을 읽으면서
(물론 그게 전부일 리 만무하고 그것이 정확한 푸코의 생각인지도 불분명하겠지만)
그의 언어를 해독하는 데 참으로 많은 도움이 되리라는 생각이 든다.

그의 말대로 지식과 권력은 참 많은 점에서 닮아 있고 또 상호 불가결한 관계이다.
이성은, 또는 지식은 그 본질적인 의미에서 이것과 저것의 다름을 인식하고 구획화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그 구획화가 자의적일 것이라는 것 또한 분명할 것이다.
그리고 그것들은 자신이 구획한 구역 중 어느 하나를 자신의 안식처로 삼고 그 반대편의, 구별되는 것을 배제하거나 통제하고 자신의 의도에 따라 조종하려 한다.
권력이라 할 때의 권의 한자 權은 원래 추의 의미를 지닌단다. 다시 말해 추를 가지고 저울을 달아 경중을 재고 대상을 재단하는 행위나 그러한 현상의 주체와 대상 사이의 관계를 뜻하는 것이리라.
권력 – 국가와 같은 응집체로서의 거시 권력 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 속에서 대상들을 감시하고 통제하며 행위의 준거틀을 지속적으로 생산해 내는, 인간의 사고와 실천 과정 거의 모두에 잠재되어 있다고 보는 것으로서의 권력 – 은 근본적으로 한 힘과 다른 힘의 불균형에서 나타나며 한 힘이 다른 힘을 다스리려 하는 관계 양상에 다름 아니다.
내가 읽은 책에 의하면 권력은 제도도 아니고, 구조도 아니고, 특정한 사람들(흔히 권력자라고 얘기하는)에게 주어져 있는 어떤 권능도 아니다. 그것은 힘과 힘 사이의 관계이다. 푸코의 권력에 대한 추적을 차분히 따라가면서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식이 권력에 대해서 독립성을 갖는다고 믿는 신화도 버려야 하고, 그것이 집중되어 있는 것이라는 생각도 버려야 하며 전적으로 억압하고 금지하는 체계라는 생각도 버려야 한단다.
무엇보다 권력은 대상에 대해 끊임없이 억압하고 금지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실은 대상의 행위와 사고가 자신의 필요성에 따라 작용하도록 유도하고 그러한 지침(?)을 생산하고 체화시키며, – 그렇기 때문에 지적 담론 역시 권력의 구성에는 지식의 장, 담론의 장의 구성이 불가피하며 – 심지어 자신에 대해 반대되는 것들마저 대상의 자신에 대한 공포(?)감 조성을 위해 잘 길들여진 형태로 재생산한다는 구절, 그리고 우리가 진리의 고백을 해방시킬 때 권력이 입을 다물게 한다는 뿌리깊게 박혀 있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는 구절은 눈여겨 볼만 하다.
인식하는 주체 역시 주체인 동시에 예속된 자(sujet라는 불어가 이 두 의미를 동시에 지닌다니…)라는 구절은 포스트 모더니즘의 맥락에서도 이해할 수 있겠고…

이것은 해도 되고 저것은 하지 말아야 할 것이라는 식의 규범적 구획화를 통해(그것은 ‘합리적’ 또는 ‘바람직한’ 등의 수식어로 정당화될테지만 결국은 권력의 ‘자의적’ 구획화일 것이다) 세세한 규율을 만들고 거기에 맞도록 대상을 교정하고 체화시키는 공간의 귀결점은 푸코의 말대로 감옥인 동시에 한국 남성의 대부분이 거쳐 가는 군대라는 곳이리라…(감옥과 군대의 생활 패턴은 거의 비슷하다는 말을 줏어 들었다…대부분의 한국 남성은 일생 중 적어도 2년 2개월 동안은 죄인의 인생을 산다)
이 말이 여기서는 적절치 않겠지만, 상식적으로 생각해 보더라도 그것은 있으나 마나, 있으면 사병들은 더 고로울 뿐인 이상한 규율에 묶여 그 규율에 맞는 생활을 해야 하니…

아무튼…지식의 고고학을 읽으려다 순간 질려 개론적(실은 그렇지 않은 것 같지만) 해설서를 먼저 펼쳐 놓고 보니, 다시 푸코의 언어로 돌아가 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힘겨운 여정이 되겠지만…

[과외] 서울강남·경기새도시 과외비 전국평균 2배

과외비의 양극화 현상이 깊어지고 있다.

교육인적자원부가 3일 발표한 사교육비 실태조사 결과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선 과외비 지출이 줄어들거나 소폭 증가했지만 서울 강남·서초·송파 등 이른바 특`가’지역과 경기도 분당·일산 신도시에서는 도리어 큰 폭으로 늘어났다.

◇ 과외비 부익부 빈익빈 심화=서울의 강남 서초 송파 등 특가'지역은 읍·면지역과 도서지역 가구에 비해 과외비를 3배 이상이나 쓰고 있으며 과외액수의 증가폭도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 대구 등 광역시의 중심지도 과외비가 20% 가량 늘어났다. 그러나 서울 강남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는 오히려 15% 줄어들었다. 특히 대표적인 고액과외로 꼽히는 개인·그룹과외를 받는 학생이 서울 특가’지역에서는 전체 학생의 25.3%, 분당 24.6%에 이르러 다른 지역 평균 11.8%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 또한 가구당 과외비 역시 서울 특`가’지역 438만원, 신도시 441만원으로 전체 평균 192만원의 2배를 넘는다.

◇ 과외비 인플레=연간 30만원 이하 과외는 99년 27.3%에서 16.5%로 줄었다. 그러나 연간 151만원 이상 과외는 24.3%에서 28.7%로 늘었다. 101만원 이상도 13.1%에서 16.9%로 상승했다. 이에 따라 연간 과외비 총액이 125만7천원에서 133만5천원으로 6.2% 증가했다. 지난해 물가상승률 2.3%의 3배 가깝게 오른 것이다.

특히 입시준비를 위한 과외비가 큰 폭으로 올랐다. 개인·그룹과외비가 연간 113만1천원에서 128만8천원으로 올랐고, 입시 및 보습학원비도 115만2천원에서 122만8천원으로 상승했다. 대학입시를 위한 고등학생의 개인·그룹과외비는 1인당 192만4천원에 달했다.

◇ 초등학생 과외비 증가=지난해와 비교할 때 초등학생 과외는 70.1%에서 70.7%로 증가했다. 중학생 62.8%에서 59.5%로, 고등학생 47.2%에서 35.6%로 감소한 것과는 정반대의 현상이다. 초등학생 연간 과외비도 114만7천원으로 12만원 올랐다.

초등학생 과외증가의 주된 요인은 특기·적성교육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특기 재능학원을 다니는 초등학생이 42.4%에 이르고 특기·적성교육비도 연간 77만9천원에서 91만3천원으로 급증했다. 초등학생의 경우 특기·재능학원을 다니거나 학습지 등으로 과외를 하는 기간이 연간 10개월로 중·고등학생보다 긴 것도 한몫을 했다.

◇ 학부모 허리 휜다= 전체소득 가운데 과외비 비중이 20% 이상을 차지하는 가구가 31.8%에서 34.5%로 높아져 `체감과외비’가 크게 높아졌다. 50% 이상을 투입하는 가구도 1.4%에서 1.7%로 높아졌다. 전년보다 과외비 지출이 늘어난 가구는 전체의 38.0%에 이른 반면 줄었다는 가구는 9.5%에 지나지 않았다. 직종별로는 관리·전문직 46.1%, 전문직 42.6%, 사무직 47.9% 등 주로 화이트칼라의 과외비 지출이 늘어났다. 이 때문에 과외비 지출이 가정경제에 부담이 된다는 가구가 54.9%로 전체의 절반이 넘었다.
학부모 58% 교사 72% “보충수업 폐지로 과외비 늘어”

정부가 강조하는 `교육개혁’이 과외비를 줄이는 게 아니라 오히려 늘릴 것으로 지적됐다.

학부모 설문조사 결과 교육부가 추진하는 △대입특별전형도 확대 △수행평가 △보충수업 폐지 △특기적성교육 확대 등 주요 교육개혁 과제의 대부분이 과외비를 증가시킬 것이라는 응답이 우세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쉽게 출제함에 따라 과외비가 증가할 것이라고 대답한 학부모는 22.3%인데 비해 감소할 것으로 내다본 학부모는 32.5%로 더 많았다.

그러나 대입특별전형의 활성화가 과외비를 증가시킬 것으로 보는 학부모는 42.6%로 감소를 전망하는 학부모 17.1%보다 훨씬 많았다. 교사 역시 증가전망이 41.4%로 감소전망 17.6%를 크게 웃돌았다.

2002학년도 대학입시제도 개선 역시 과외비 증가효과를 낳을 것이라는 대답이 학부모 49.5%, 교사 42.9%로 높게 나타났다. 과외비 감소를 기대하는 비율은 학부모 10.6%, 교사 9.3%에 불과했다.

보충수업 폐지의 효과에 대해서는 특히 부정적인 시각이 압도적이었다. 학부모의 57.9%, 교사의 71.6%가 보충수업을 폐지하면 과외비가 증가할 것이라고 응답한 데 반해 감소할 것이라고 대답한 비율은 학부모 6.0%, 교사 3.4%에 그쳤다.

수행평가제도에 관해서도 학부모 46.9%, 교사 35.2%가 증가할 것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감소할 것으로 내다보는 학부모 7.8%, 교사 5.6%보다 훨씬 많았다.

특기적성교육 확대에 따른 과외비에 대해서는 학부모의 경우 증가 30.5%, 감소 24.1%로 나타난 반면 교사는 증가 13.6%, 감소 31.8%로 집계돼 다소 엇갈린 시각을 내보였다.

차기태 기자foliu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