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성(性)
시몬느 드 보봐르
여자란 얼마나
불행한 일인가?
더구나 여자이면서,
자기가 그 한 사람임을
진실로 모름은 한 층
나쁜 불행이다.
“키에르케고르”
늙은 여성이 보통 평온을 발견하기는, 그 여자의 일생의 끝무렵, 깨끗이 포기했을 때, 죽음의 접근이 그 여자로부터 미래의 고민들은 없애 버릴 때이다. 그 여자의 남편은 대개 그 여자보다 손위이며, 그 여자는 남자가 늙어 가는 모양을 입밖에 내지 않는 기쁨을 느끼면서ㅡ 옆에서 주시하고 있다. 그것은 그 여자의 복수이다. 남편이 먼저 죽으면, 그 여자는 그 죽음을 즐겁게 참아 간다. 말년에 홀아비가 되는 편이, 과부되기보다 더 불행하다는 점은, 자주 주목되고 있다. 남자는 여자보다도 훨씬 결혼에 이익을 얻고 있으며, 그리고 특히 말년에 있어서 그렇다. 그 이유는, 그 시기가 되면 세계는 가정의 범위 안에 집중되기 때문이다. 그의 현재의 나날은, 이미 미래를 향해 넘쳐 흐르려고 하지 않는다. 그 나날에 단조로운 리듬을 확보하여 주며, 그를 지배하는 것은 아내이다. 공직을 잃으면 남자는 완전히 쓸모 없게 된다. 여성에게는 적어도 살림의 지휘라는 것이 있다. 남편에게 있어서 그 여자는 팰요한 존재이지만 남편 편은 오직 성가신 존재이다.
늙은 여자들은 자기들의 독립에서 자존심을 끌어낸다. 드디어 이 시기에 그 여자는, 세계를 자기 자신의 눈으로 바라보기 시작한다. 여자로서 일평생, 속고 배반 당해 왔던 것을 깨닫기 시작한다. 이성적으로 의심이 많게 되고 가끔은 인생을 날카롭게 풍자한다. 특히 <살아온> 여자는, 어떤 남자보다도 남자를 더욱 잘 샅샅이 알고 있다. 왜냐하면 그 여자는 남자의 공적인 모습이 아니라, 남자가 동료가 없을 때 무십코 보이는 우연적인 개인을 옆에서 잘 보아 왔기 때문이다. 그 여자는 또 그 여자가 여자끼리만 보이는 숨김없는 모습도 알고 있다. 무대의 뒤를 알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경험은 속임수와 거짓을 폭로시키기는 해도, 진리를 발견하기에는 경험만으로는 부족하다. 재미있건, 쓴맛이 있는 것이건, 늙은 여성의 지혜는 한갖 완전히 소극적이다. 그것은 이의이며, 항의이며, 거부이다. 생산하지 않는 지혜이다. 그 행동에 있어서도, 그 사고에 있어서도, 기생적인 여성이 얻을 수 있는 최고도의 자유는 극기적인 도전이나 또는 회의적인 비꼼이다. 일생의 어느 나이 시절에도, 효과적이며 독립적인 존재로서 여자는 성공하지 못한다.
반 가량은 희생
반 가량은 공포,
전체인 자(者)인 것처럼
“J,P,샤르뜨르”
여자는 여자로 태어나지 않는다. 여자로 만들어질 뿐이다. 인간의 암컷이 사회 안에서 차지하고 있는 꼴은 결코 어떤 생리적, 심리적, 경제적 숙명이 이를 정하고 있지도 않다. 문명의 전체가 수컷의 거세된 것과의 얼치기를 만들어, 그것에 여성이란 이름을 주고 있을 따름이다. 자기만을 위해 존재하고 있을 동안, 어린 여자아이는 자기를 성적 차별이 있는 것으로서 생각하지 못한다. 계집아이의 경우에도 처음에는 육체는 주체성의 발현이며 바깥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기구다. 어린애들은, 세계를 생식기를 통해서가 아니라 눈과 손을 통해서 이해한다. 출생의 연극도 젓 떼는 연극도 갓난애에게 있어서는 남녀가 모두 똑 같다. 젖 빨기가 우선 맨처음에 그들의 가장 큰 쾌감의 근원이된다. 어어서 항문기에 넘어가서도 남녀에 공통인 배설작용에서 가장 큰 만족감을 끌어낸다. 그들은 같은 호기심과 같은 무관심한 태도로 제 몸을 살피고, 음핵과 남성기에서 똑같이 막연한 쾌감을 끌어낸다. 그 감각이,벌써 명확한 범위에서 어머니 쪽으로 향하고 있다. 왜냐하면 부드럽고 매끄럽고도 포동포동한 여성의 살은 성적 욕망을 자극하며, 성적 욕망은 그 무엇을 잡으려고 하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