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쓰 홍당무>

고교 시절 왕따였던 양미숙은 졸업 여행 기념 사진을 찍을 때조차 반 친구들이 곁을 내 주지 않아 무리들 뒤에 파묻힌 존재였다. 학생들은 돌아가며 스크럼을 짜서 양미숙이 파고들 틈을 틀어 막고 밀어 냈다. 영화에서 중요하게 반복되는 대사처럼 사람이 비상식적인 행동을 할 때에는 그럴 만한 이유가 있는 것이다. 양미숙의 비상식적, 병리적 행동의 배경에는 배제되고 멸시 당한 상처의 역사가 자리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미쓰 홍당무>는 양미숙의 역사를 길게 풀어 내며 그를 관객에게 이해시키려 하지 않는다. 영화는 학급 친구들 뒤로 밀려나 가려지는 불쌍한 양미숙이 아니라 그럼에도 무리 위로 뛰어올라 기어코 기념 사진에 찍히고야 마는 양미숙의 악다구니를 보여 주며 시작된다. 졸업 여행 기념 사진 속 양미숙의 얼굴은 독기를 품고 일그러져 있다. 양미숙이라는 인물을 소개하는 방식 만큼이나 영화는 그럴 만한 이유보다 비상식적 행동에 관심이 있다.

영화는 양미숙의 화법으로 양미숙을 보여 주려 한다. 그에게 새겨진 투쟁심, 집착, 교활함, 두려움 등은 이 영화 곳곳의 대사와 양식에 내포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화면 바깥의 목소리를 삽입하는 방식은 너무나 기괴하여 계속 생각하게 된다. 양미숙이 서종철 선생과 모텔에서 잠자리를 가진 날 아침, 서종철이 끝내 양미숙의 마음을 부정할 때 돌연 들리는 학생들의 책 읽는 소리는 서종철이 집으로 가 부인 성은교에게 “사랑해, 여보”라고 말할 때까지 장면과 상관 없이 울린다. 말 그대로 에코, 메아리 같은 이 소리는 순간 아찔하게 정신적 공황을 일으킬 것 같은 순간을 만든다. 교장 선생의 명상 방송 소리, 학교 축제 공연 호출 방송 소리, 양미숙과 서종희의 공연 소리도 포함해야 할 이 화면 바깥의 소리는 이명과도 같이 이야기의 흐름에 정신적 혼미함을 가져 온다. 이경미 감독의 인장과도 같은 이 느닷없이 화면과 어긋나며 울리는 기괴한 목소리는 영화가 양미숙의 신경증적 불안을 드러내는 데 관심이 있음을 보여 준다.

이 영화가 의미 있는 작품이라고 한다면 그것은 여성이 영화의 서사와 욕망 전부를 구성하는 드문 한국 영화라는 점과 더불어 왕따 양미숙(과 서종희)에 대해 말을 하기보다 되도록 양미숙의 말을 하려 한다는 데 있을 것이다. 구성과 리듬이 복잡하고 어지럽지만 이야기가 치고 나가는 힘을 지닌 것은 양미숙이 품은 욕망과 망상의 에너지를 가공하지 않고 표출하려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동시에 이 영화는 양미숙의 욕망과 망상의 에너지로 웃음을 생산하며 앞으로 나아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양미숙의 컴플렉스와 불안이 야기하는 소동극에 대한 웃음과 비웃음의 경계가 아슬아슬한 것은 아닐까 주저하게 된다. 양미숙이 상황을 이해하거나 결핍을 해결하는 비상식적 방식을 충분히 그럴 만하다고 납득하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그 기괴한 감정을 해소하려는 웃음이라는 효과가 자칫 위험해 보이는 것이다. 그럼에도 이 이상한 영화가 끝나고 나면 조용히 양미숙을 응원하는 마음이 생길지도 모른다. 방식은 삐뚤어 이상할지라도 지치지 않고 시도하는 양미숙은 사람들이 자신을 비웃는다는 것쯤은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영화 <미쓰 홍당무>의 소수자성은 이 비웃으며 응원하는 마음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