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념의 언어를 빌려 말하자면 그는 끊임없이 자기 진영을 떠나 상대 진영으로, 적들의 마음 속으로 넘어가는 끝없는 ‘배신’을 하는 셈이다. 그러나 그것은 적대 안에서 다른 편을 드는 게 아니라 ‘편드는 것’을 배신하는 것이다. 이런 종류의 배신을 통해 적의 입장에 서고 그에 쉽게 공감하며 그와 함께 행동하는 것을 통해 ‘공동성’이 형성된다. 이 공동성이야말로 멀든 가깝든 상이한 개체들 사이에 우정을 가능하게 하는 힘이다.

삶을 위한 철학수업, 이진경, p113

댓글 남기기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