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부터인가 말하기가 너무나 어렵고, 또 두려워졌다. 내 능력에 대해 자신이 없어서이기도 하지만 라깡과 지젝을 얄팍하게 만나면서부터 침묵을 바라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내 머릿속을 채우던 생각들이 공허하게 떠 버리고, 폐허 위에는 ‘인간으로서’ 생존하기 위해 필요한 임기응변 몇가지 정도만 남은 듯하다.
여기서 나는 긴장해야 한다. 소위 포스트모던 시대에 나도는, 사적으로는 무법자이나 공적으로는 순응하는 자가 될 것인가 상징적 질서에 저항하는 ‘파괴적 성격’의 소유자가 될 것인가가 이 지점에서 판가름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내가 어떻게 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몸이 굳어버린 듯한 상태에서, 도무지 이 말이 흘려 지나가지 않는다.
“파괴적 성격은 인생이 살 값어치가 있다는 감정에서 사는 것이 아니라 자살할 만한 값어치가 없다는 감정에서 살아가는 것이다.”

댓글 남기기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