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랙 베이: 바닷가 마을의 비밀>
프랑스의 어느 아름다운 해안 마을에 부유한 페테겜 가문 가족이 여행을 온다. 별장에서 한가롭게 휴가를 즐기기에 이 마을은 기괴한 위험을 품고 있다. 이 마을을 찾는 관광객이 연달아 실종되는 사건이 벌어지는 동안 <슬랙 베이>는 이 실종 사건의 장본인인 브뤼포르 가족과 여행 온 페테겜 가족, 그리고 사건을 수사하는 형사 마샹, 말푸아를 지켜 본다.
이 영화에서 사건과 인물의 본질을 가늠하기는 쉽지 않다. 중심 사건이라 할 수 있는 의문의 실종 사건은 범죄 현장 바로 앞에서도 진상이 밝혀지지 않고 소동으로 끝난다. 심지어 이 마을 사람들은 브뤼포르 가족이 저지르는 일을 잘 알고 있을 것임에도 불구하고 바다에서 죽은 사람을 숱하게 건진 구세주라고 추켜 세운다. (때로는 영화가 브뤼포르 부자를 성자의 모습으로 묘사하기까지 한다.) ‘나의 아가씨’라는 뜻의 속어인 마 루트(ma loute)를 이름으로 쓰는 브뤼포르 집안의 첫째 아들이나 성정체성을 오가는 페테겜 집안의 빌리, 사촌이자 동시에 부부인 페테겜 가족의 이력 등 인물들은 우리가 쉽게 추정하는 본질로부터 어긋나 있다. 이 영화는 목가적 마을과 그 곳에서 벌어지는 이상한 사건이 일으키는 강렬한 대비의 느낌 그 이상, 무엇이 본질인지 파악하려 할수록 미궁에 빠지는 세계를 지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가 계급적 적대를 은유하며 사회적 지배 계급과 제도에 대해 조롱의 유머를 꾀하고 있다는 점은 분명히 알 수 있다. 잘 차려입은 여행객들에게 음험한 눈빛을 보이는 브뤼포르 부자와 페테겜 가족으로부터 매번 꾸중 듣는 가사 도우미 나데쥬로부터 분노를 삼키는 노동자의 삶을 상기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그리고 몸이 굽어 이상한 몸짓을 하는 페테겜 가족의 가장 앙드레나 수사가 미궁에 빠질수록 몸이 부풀어 거동조차 어려운 형사 마샹, 어딘가 어리숙하게 말하는 신부에 이르기까지 이 영화에서 웃음을 유발하는 이들이 자본, 국가, 종교, 그리고 가부장 제도에서 상층부에 자리하고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그들은 그들이 처한 자리의 힘을 지니고 있지만 실질로서는 무능한데, 이를 영화는 희화화된 신체적 특질로 표현한다.
브뤼포르와 실종 사건, 페테겜 가족의 여행과 가족사, 마샹과 말푸아의 엉터리 수사, 그리고 마 루트와 빌리의 짧은 사랑과 혐오가 느슨한 매듭으로 배치된 이 영화는 어쩌면 여러 파편으로 이루어진 농담 덩어리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것은 악의적인 비하 또는 조롱이나 윤리적 시험의 경계에 걸쳐 있어 그 자체로 즐길 수 없는 농담이다. 각종 신체적 비하뿐만 아니라 이를테면 고기를 낚던 브뤼포르가 때로는 여행객을 해치고 인육을 먹는 범죄자가 되었다는 것이나, 빌리가 오드 페테겜이 아버지 또는 남동생으로부터 근친 강간을 당하여 낳은 아이라는 사실을 과장된 연기와 농담 같은 이야기 전개로 희석하여 웃으며 넘기기는 힘들다. 마 루트가 빌리를 잔인하게 폭행하는 동안 종교적으로 웅장한 음악이 들릴 때에는 이 악의적 장난에 오히려 웃음기가 사라질 정도다. 그렇기 때문에 이 영화를 보고 나서 기억해야 할 한 가지는 영화 속에 맥락 없이 던져 놓은 크리스티앙의 외마디 외침이다: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지 알지만, 우리는 그것을 하지 않는다(We know what to do, but we do not do.).” 이 영화는 자신이 일으키는 효과와 이에 대해 관객이 무심코 가지게 될 태도에 대해 미리 지적해 놓은 것이다. 우리는 웃어야 할 순간임을 알지만 웃지 않는다.
크리스티앙의 일갈은 (영화적 표현 양식이라는) 이데올로기가 우리를 호명하는 자리에 우리가 응하지 않는 영화적 효과를 뜻하는 것 같이 보인다. 그러나 이 말은 반대로 이데올로기적 호명에 사로잡혀 명료한 진리, 유일한 실천을 고집스럽게 거부하는 상태를 가리키기도 한다. 그리고 이 크리스티앙의 말로부터 유사한 구조를 지닌 문장으로 생각을 이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페테겜의 남자들은 죄값을 치러야 할 것을 알지만 그들은 그리 하지 않는다. 우리는 무엇이 옳은 일인지 알지만 결코 그것을 실천하지 않는다. 우리는 무엇이 진리인지 알지만 진짜로 그것을 알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