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 디셈버>

영화를 보는 동안 나는 엘리자베스를 향해 당신은 왜 그렇게까지 하는지 묻고 있었다. 어쩌면 이건수신자가 잘못된 질문인 것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엘리자베스를 경유하여 그레이시에 대해 질문해야 할 것 같기 때문이다. 그레이시의 내면은 도대체 어떻게 생겼길래 엘리자베스가 그토록 이해하기를 욕망하는가.

그러나 욕망의 대상, 그레이시보다 우리에게 그것을 매개하는 엘리자베스가 더 중요할지도 모른다. 엘리자베스가 그레이시를 미스터리한 대상으로 바라보도록 우리를 이끈다. 엘리자베스의 욕망은 영화 속 엘리자베스의 말과 같이, 도덕의 회색 지대에 속한 것처럼 보이는 그레이시라는 인물이 왜 그러한지 알아내는 것이다. 엘리자베스는 20여 년 전 36세의 그레이시와 13세 미성년 조 사이에 벌어진 사건을 재현하는 영화에서 그레이시를 연기할 예정이며, 엘리자베스는 그레이시를 이해하는 것이 자신이 할 연기의 핵심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

다시 말해 엘리자베스는 재현이 대상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해 가능하다고 믿는 것 같다. 엘리자베스가 그레이시를 집착적으로 수사하는 것은 그 사건을 잘 재현하는 연기를 하고 싶기 때문이다. 엘리자베스의 욕망은 그가 그레이시 자체가 되어 그때 그 사건을 그대로 모방하고 싶어 하는 것이다. 그것이 엘리자베스에게 얼마나 강렬한 욕망인지는 그가 사건을 상상하며 연기 연습하는 두 장면에서 잘 드러난다. 과거 그레이시와 조가 정사를 벌이다 발각된 펫샵 창고의 현장 귀퉁이에서 성교의 몸짓을 연기하던 엘리자베스는 만족스러운 미소를 짓는다. 조가 전해 준 과거 그레이시의 편지를 낭독하는 연기를 하고 나서는 희열에 이른 듯 전율하는 모습을 보여 준다. 낭독하는 나탈리 포트만-엘리자베스는 심지어 줄리안 무어-그레이시의 입술 모양까지 그대로 닮은 듯해 보인다.

이렇게 엘리자베스가 그레이시와 일치한 것처럼 보이는 순간을 영화는 희열적 장면으로 제시한다. 영화가 엘리자베스의 욕망에 우리를 끌어 들이려는 노력은 영화 속 시간의 간격에서도 찾을 수 있다. 사건이 벌어진 1992년에 열세 살이었던 조는 이제 당시 그레이시와 같은 나이인 서른여섯이 되었다. 엘리자베스 역시 조와 같은 나이이며, 당시 그레이시를 연기하려 한다. 세 인물은 생물학적 나이로 과거의 시간과 그레이시를 향해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보인다.

시간적 구조도 엘리자베스의 욕망에 동참시키기 위해 고안된 것처럼 보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가 그 욕망에 대해 반성적으로 보이는 것은, 도무지 그레이시의 내면이 어떠한지 알 수 없는 채로 끝나기 때문이다. 여러 각도의 중첩된 거울로 인해 공간의 구조를 분간하기 힘든 옷가게 장면의 모호함이 이를 탁월하게 은유한다. 이 장면에서 우리는 그레이시를 담은 두 개의 이미지 중 무엇이 거울상이고 무엇이 직접적 실체인지 파악하기 힘들다. (물론 직후에 카메라는 그레이시의 딸 매리를 따라 들어오면서 이 공간을 반추해 준다. 이때 그레이시는 오직 거울상으로만 제시되었음을 깨달으며 짧은 혼란이 지나간다.) 뿐만 아니라 영화는 사건의 다른 당사자 조의 내면도 묘사하기를 피하고, 그 사건에 대한 의미화도 완성하지 않는다. 영화는 금기를 어긴 인간의 내면적 실체가 무엇인지 파고들 것 같지만 결국 결론 내리지 않는다. 달리 말하면 영화는 금기 너머의 심연은 없는 것처럼 이들을 보여 준다. 금기를 어긴 인물의 내면은 알 수 없고, 당사자와 이들을 둘러싼 다양한 양태의 금기에 대한 긴장과 두려움만이 도처에 잔존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영화 말미에 조는 집을 떠나 대학을 가는 쌍둥이 아들 찰리를 부둥켜 안고 운다. 대마를 하고 감정이 격해져서이기도 하겠지만, 조는 나쁜 일은 어쩔 수 없이 일어나기도 하고 우리가 나쁜 일을 하기도 한다며 찰리를 걱정하는 것 같기도, 억누른 감정을 터뜨리는 것 같기도 한 말을 한다. 나는 이 말이 영화가 그레이시와 조가 어긴 금기에 대해 암시하는 메시지의 전부인 것처럼 느꼈다. 그레이시와 조는 각자 과거의 사건이 야기하는 현재적 긴장 속에서 청교도적 규범을 지키며 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아니, 반대로 그들은 청교도적 삶의 방식을 통해 외상적 과거를 계속 현재에 소환하고 견디는 삶을 살고 있다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어쩌면 금기를 위반하는 인간의 특별한 면모라고 할 수 있을지도 모를, 엘리자베스의 욕망의 대상을 영화는 끝내 그에게 쥐어 주지 않는다. 그레이시의 실체에 대한 충실한 모방은 엘리자베스의 오인된 환상에 근거함을 영화는 반성적으로 드러낸다. 그렇기 때문에 영화의 마지막 장면, 드디어 촬영에 들어간 그레이시 사건의 재현 영화에서 엘리자베스의 그레이시 연기가 그렇게 엉터리처럼 느껴지는 것일지도 모른다. 재현은 현실의 충실한 모방이라기보다, 모방의 불가능함과 이것이 만드는 대안적 가능성을 드러내는 일일 것이라고, 엘리자베스의 연기를 보며 생각하게 된다.

댓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