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어”
(에르빈 파노프스키)

현시에서 재현으로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중세의 예술은 감각적 자연의 외적 재현에는 별 관심이 없었다. 감각적인 아름다움의 바탕에 깔려 있는 초감각적 아름다움을 상징적으로 암시하는 것이 중세 예술의 과제였다. 그 결과 중세 장인들의 창작은 자연과의 직접적 대면을 통해서가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무엇보다도 예술가가 자기 내면의 이미지를 재료에 투사하는 과정이었다. “예술은 세 개의 차원 위에 서 있다. 예술가의 마음속에, 도구 속에, 그리고 예술로부터 형태를 얻는 재료 속에.” 라는 단테의 말은 중세의 장인들의 예술의지가 어떤 것이었는지 잘 보여준다.

이에 반해 르네상스의 문헌들은 초기부터 예술의 과제가 현실의 직접적인 모방임을 강조한다. 체니노 체니니는 자연의 습작이 회화를 이끌어주는 “가장 완벽한 지도자”라 불렀다. “산을 잘 그려서 자연적으로 보이게 하고 싶거든, 거칠고 다듬어지지 않은 커다란 바위들을 취해, 네 통찰이 허락하는 바에 따라 거기에 명암을 주라.”(체니노 체니니 <회화론>) 여기에서 회화는 모델의 사용, 즉 자연의 습작과 함께 시작하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 결과 르네상스의 회화론에서는 형식적이고 객관적인 정확성, 즉 진리충실성(verisimilitude)이 강조된다.

“회화는 그것이 재현하는 사물과 최대한의 유사성을 가질 때 상찬할 만한 것이 된다. 그리고 내가 이런 말을 하는 것은 자연의 사물을 개선하고자 하는 예술가들을 반박하기 위해서다.”

자연의 진리충실한 모방이라는 관념과 함께 자연을 극복한다는 생각도 강조되었다. 회화가 자연을 극복하는 방식에는 두 가지가 있었다. 하나는 팬터지를 이용해, 켄타우르스나 키메라처럼 자연이 산출할 수 없는 형상들을 만들어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예술적 지성을 이용하여 현실 속에서는 결코 완전하게 실현될 수 없는 미를 가시화하는 것이다. ‘자연을 충실하게 모방하라’는 요구와 ‘자연에서 아름다움을 선택하여 자연을 극복하라’는 요구. 르네상스인들은 ‘모방자가 되라’는 요구와 ‘교정자가 되라’는 이 두 가지 요구를 대립적이라기보다는 상호 보족적인 것으로 보았다.

“진리충실한 닮음을 만들어내는 데에 그치지 않고 거기에 미를 부여해야 한다 (…) 고대의 화가 데메트리우스가 최고의 찬사를 받지 못한 것은, 그가 사물들을 마음에 들게 하기보다는 자연에 유사하게 만들려고만 했기 때문이다.”

아이디어  

신플라톤주의자 피치노는 미를 “대상과 아이디어의 명확한 일치” 혹은 “물질에 대한 신성한 이성의 승리”로 규정하고, 이를 “신의 얼굴로부터 빛의 방사”로 설명했다. 알베르티는 이런 형이상학적 견해에 반대하며 고대의 순수 현상학적 정의로 돌아가 “미란 부분들 사이의 특정한 일치와 조화”라고 말한다. 여기에서 플로티누스 이래 중세의 미론을 이루었던 요소 중의 하나, 즉 미에 대한 실질적 정의(mateial definition)는 포기된다. 따라서 초기 르네상스 시대에 신플라톤주의가 회화론에 끼친 영향은 미미했다고 할 수 있다. 신플라톤주의가 초기 르네상스 회화에 끼친 영향은 “아이디어”의 개념에서 찾을 수 있다.

피치노에 따르면 ‘아이디어’는 형이상학적 실재다. 그것은 신의 마음속에, 천사의 마음속에 실재하는 것이며, 초감각적인 선(先)존재가 인간의 영혼 속에는 흔적으로, ‘인상'(formulae)으로 존재한다.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아 거의 꺼져버린 이 불은 “교육”에 의해 다시 피어오를 수가 있다. 우리가 세계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은 이 생득관념 혹은 본유관념 덕분이며, 이는 미에 대한 인식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관념과 가장 많이 일치하는 하는 대상은 아름다우며, 우리는 감각적 현상을 우리 내면의 생득적 인상(formulae)과 비교함으로써 양자의 일치를 확인한다.

알베르티는 자연에 대한 습작 없이 미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이 관념을 강하게 비판한다. “아무리 훈련된 정신의 소유자라도 포착하기 힘든 저 미의 관념(=아이디어)은 훈련되지 않은 정신의 품을 빠져나간다.” 이렇게 알베르티조차 신플라톤주의의 어법을 구사하고 있으나, 여기서 그는 ‘아이디어’라는 관념을 변형시켜, 그것을 신플라톤주의에 대립되는 의미로까지 확장시키고 있다. 알베르티가 보기에 미를 포착할 수 있는 정신적 능력은 오직 연습과 훈련에 의해서만 갖출 수 있는 것이었다. 이렇게 예술작품에 대한 평가의 기준을 모방의 적절성에 찾는 견해는 성기 르네상스까지 이어진다.

“아름다운 여인을 그리기 위해 나는 수많은 아름다운 여인들을 보아야 했다 (…) 하지만 아름다운 여인들의 수는 너무나 적고, 또 제대로 된 판정자 역시 별로 없기에, 나는 내 마음 속에 떠오르는 어떤 아이디어를 사용한다. 그것이 어떤 예술적 가치를 갖고 있는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나는 그것을 떠올리려고 매우 열심히 노력한다.”

라파엘로는 자신이 어떤 ‘내면적 아이디어’를 사용하고 있다고 고백하고 있다. 하지만 그는 이 아이디어에 형이상학적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 그것은 그냥 그의 머리에 떠오를 뿐, 그 자신은 이것이 옳은지 그른지조차 알지 못한다. 그에게 물었다면 감각적 경험의 총체가 특정한 방식으로 내면의 정신적 이미지로 전화한 것임을 부정하지는 않았을지도 모른다. 만약 그렇다면 라파엘의 아이디어는 초월적 근원이 아니라 경험적 근원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알베르티에게 경험 없는 아이디어는 존재할 수 없으나, 아이디어가 경험에서 나온다고 얘기하지는 않았다. 라파엘은 사실상 아이디어에 관한 경험주의적 설명을 주고 있으나, 그것의 근원을 명확히 밝히는 데에 주저한다. 바자리는 아이디어가 경험을 전제한다고 얘기하는 수준을 넘어, 아예 아이디어가 경험에서 도출된다고 말한다. “세 예술의 아버지인 디자인은 (…) 많은 사물들로부터 일반적 판정을 도출해낸다. 자연 속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들의 형태나 관념 (….) ” 여기에서 아이디어는 더 이상 예술가의 마음 속에 선천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재규정된다.

주체와 객체의 분리  

그 어떤 상위의 실재를 전제하지 않고 주체가 의식적 노력에 의해 예술적 생산의 법칙을 획득할 과제를 갖게 될 때, 언제, 그리고 어떤 근거에서 예술가가 정확한 법칙을 획득했다고 주장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마니에리스트들이 본격적으로 정식화하게 될 이  주체-객체의 문제가 르네상스 시대에는 아직 정식화되지 않았다. 그리하여 르네상스의 사상가들은 이 문제를 이미 해결된 것으로 간주했다. 고전주의 시대의 사상가들에게 ‘아이디어’는 객체로부터의 주체의 독립을 주장하는 근거 혹은 자연에 대한 주체의 우위를 주장하는 근거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르네상스인들에게 ‘아이디어’는 아직 정신과 자연의 타협으로 여겨졌다. 그들에게 아름다움은 분리된 부분의 외적 결합에 있는 것이 아니라 개별적 경험을 하나의 새로운 전체로 통합하는 내적 비전에 있었다. 여기에서 주체와 객체는 자연스레 상응하는 것으로 상정된다.

르네상스 시대에 ‘아이디어’라는 개념은 이미 후에 고전주의자들에게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상’의 의미를 띠게 된다. 알베르티와 라파엘은 ‘아이디어’라는 말을 자연을 능가하는 아름다움의 정신적 이미지, 즉 ‘미적 이상’과 동의어로 사용한다. 반면 바자리는 이 말을 예술창작의 바로 전(前)단계로서 예술가의 머리 속에 떠오른 ‘관념’, 즉 ‘제재’나 ‘주제’의 의미로 사용한다. 종종 이 두 가지 상이한 어법은 서로 구별되지 않은 채 사용되기도 하나, 양자를 구별하기 위해서 종종 전자 앞에 “아름다운”과 같은 수식어를 붙이기도 한다. 논리적으로는 비교적 명확히 구별되는 이 두 개의 어법은 주체와 객체 사이에는 본질적으로 상응의 관계가 있다고 상정되는 점에서는 서로 일치한다.

한편 ‘아이디어’의 개념이 자연의 관찰과 연결되어 형이상학적 차원을 상실하면서, 서서히 오늘날 ‘천재’라 불리워지는 개념의 구성이 가능해진다. 르네상스 시대에 예술창작은 이미 주체-객체의 모순적 관계로 여겨졌으나, 아직 그들은 창작과정을 지배하는 초주체적, 초객체적인 법칙이 존재한다고 믿었다. 이런 초객체적, 초주체적인 법칙의 존재는 주어진 법칙에 따르기보다는 자기의 재능에 따라 법칙을 부여하는 천재의 개념과 모순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아이디어’의 개념이 거기에 덧붙여져 있던 객관주의적 측면, 즉 형이상학적 차원을 서서히 상실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미 르네상스 시대에 ‘천재론’으로 나아가는 근거가 마련되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