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어질 결심>

해준이 한 말은 정말 서래를 사랑한다는 뜻이었을까. 서래는 그렇게 확신하고 해준은 이를 부인한다. 그 말은 해준이 서래 남편 사망 사건을 종결하고 나서 뒤늦게 서래의 혐의점을 발견하고 서래를 찾아와 한 말이었다. 해준은 자신이 서래에게 빠져 서래의 혐의를 지우는 일을 도와 수사를 망쳤고, 그로 인해 붕괴됐으며, 증거가 될 핸드폰은 바다 깊이 버리라고 한다. 해준은 이 때 수사를 망친 자신을 책망하고 한탄하고 싶었던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서래는 이 말이야말로 해준이 자신을 사랑한다는 것의 통렬한 고백이라고 받아들인다. 해준 자신은 모르는, 자기 말에 담긴 의도 이상의 진실을 서래는 알아차린 것이다. 그렇게 직업 윤리를 저버리고 수사를 망친 이 사태가 모두 서래 자신을 사랑하기 때문이라는 것, 그리고 사랑은 주체의 빈틈을 넓히고 붕괴시킨다는 깨달음까지, 서래는 해준의 말에서 은폐된 사랑의 층위를 발굴해 낸다.

그리고 서래는 해준의 그 억압된 본심에 모든 것을 건다. 나는 서래의 이 태도가 <헤어질 결심>이라는 영화를 성립시킨다고 생각한다. 서래가 사랑에 대해 취하는 방식, 이를테면 해준의 말과 행동을 반영하고 재구성하려는 시도들, 해준을 안심시키고 불안하게 만드는 전략, 그리고 서로를 결속시키기 위해 전부를 거는 선택 같은 것들이 이 영화의 결을 조건 짓는 것처럼 보인다. 그 결은 과잉되었고 동시에 숭고하다.

그러나 나는 서래로부터 분출되는 멜로적 세계의 숭고함에 충분히 빠져 들지 못하는 것 같다. 무언가로부터 방해받는 느낌이라고 해도 될까. 이에 대해 나는 충분히 말할 자신이 없다. 다만 영화가 서래와 해준을 둘러싼 세계에 침잠하도록 가만 두지 않는 것 같다고 말해야 할 것 같다. 달리 말하면 이 영화는 스타일과 서사의 표층부터 심층까지 해석해야 할 정보가 과잉되어 있는 것처럼 느껴져서 서래와 해준의 감정에 집중할 수 없는 것이다. 정보가 차고 넘쳐서 감각 과부하 상태에 빠지는 것 같다고 말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이미지나 사운드를 겹치지 않고 플롯의 구획을 정돈하거나, 카메라-스크린의 망막적 층위를 가시화하는 것을 자제했으면 어땠을까. 또는 초점을 활용한 광학적 수사학이나 표현주의적 미술과 조명의 즐거움을 조금만 드러냈다면……등. 그러니까 나는 이 영화를 보고 다른 영화를 상상하게 된다. 서래와 해준에게는 수사적 소거법이 적용된 영화가 필요하지 않았을까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그랬다면 박찬욱의 영화가 아닐 것이다. 영화를 이루는 모든 요소가 각자 할 수 있는 최대의 수사를 발휘한다고 느끼는 충만감이 박찬욱 영화의 핵심 같기 때문이다.

나는 이 영화에 대해 어떤 지점에서 말하더라도 그것은 너무나 부족한 설명처럼 보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어떤 설명도 존재를 포섭하지 못한다. 그러나 그 자체로 너무도 충만하기 때문에 어떤 말도 더할 필요가 없는 것처럼 보이는 존재라면. 나는 이 영화가 그런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의문을 놓지 못하는 것이다. 서래와 해준의 사랑이 지닌 과잉된 숭고의 가능성이 이 영화의 공백 없는 충만한 세계에서는 영속하지 못할 것만 같아 푸념을 하는 중이다. 과소의 결핍된 세계에 그들의 자리가 있을 것만 같아서.

박찬욱의 스타일은 수식이 많은 것 같지만 본질적으로는 무뚝뚝하다. 이미 출간된 동명 소설을 읽어보면 현상현 신부와 태주의 관계, 그들이 흡혈귀와 팜므파탈로 만나 치정극의 얼개를 짜는 것이 그리 이해하기 어렵지 않다. 이 스토리가 영화로 옮겨지면 박찬욱은 이야기의 얼개를 짜는 것보다는 단속적이고 폭발적인 인상들에 훨씬 집중한다.
……
그중에서도 압권은 영화의 클라이맥스에서 상현의 본격적인 흡혈 행위를 보여줄 때다. 3분 넘게 지속되는 이 장면에서 상현 역의 송강호는 어떤 흡혈귀 영화에서도 보여주지 못한 격정적인 행동을 이어간다. 물리적인 표면의 극한까지 파고드는 이런 것이 박찬욱 연출의 진심이다. 슬프게 탐닉하는 행위, 짐승처럼 헐떡거리면서 상대의 육체를 남김없이 핥고 빨며 다시 수혈해주는 동류의 행위, 타락하면서 제어할 수 없지만 궁극에 파멸로 귀결될 것임을 아는 행위, 이런 장면의 물리적 직접성이 연출자에게는 캐릭터 묘사를 대치하는 것이다. 나는 불편하면서도 쾌락적인 이런 장면에 어떤 낭만적인, 또는 감상적인 윤기를 입히지 않은 것이 박찬욱 영화의 본령이라고 생각한다.

– 씨네21 <김영진의 점프컷 – 그게 박찬욱의 예술적 자유다> 중

박찬욱의 영화를 볼 때마다 과시적인 스타일이 이야기와 신화, 흥미로운 영감들을 갉아먹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하지만 생각해 보면 나는 바로 그 때문에 박찬욱의 영화를 본다. 박쥐는 절제와 이타심이 욕망과 이기심과 충돌하는 이미지를 격렬하게 표현한다. 박찬욱은 어쩌면 화가나 사진가의 욕심을 갖고 있는 감독인지도 모른다. 이미지로 서사를 종결짓고 싶어 하는 것 같은 욕심을 나도 조금은 느끼는 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