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락의 해부>

<추락의 해부>의 법정은 나를 혼란스럽게 만든다. 법적 판결이 무엇을 근거로 이루어졌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1층 차양막에 난 핏자국과 사뮈엘 말레스키의 직접적인 사인, 즉 머리 왼쪽의 강한 충격에 대한 인과 관계를 재현 검증한 두 과학 수사관의 증언은 상대방의 의견을 완전히 기각하지 못한다. 4층 다락방에서 스스로 뛰어내렸을 가능성에 대한 논증이 더 설득력 있어 보이지만, 이는 3층 발코니에서 사뮈엘을 누군가 밀치고 둔기로 머리를 가격하는 것이 가능할 개연성이 적다는 것에 따른 상대적 우위일 뿐이다.

이 공판 이후로 법정 공방은 증거주의의 원칙을 잃은 것처럼 흘러간다. 검사는 산드라가 남편 사뮈엘을 정서적으로 괴롭혀 왔으며, 사건 하루 전 크게 다툰 점, 사건 당일 조에와의 인터뷰를 방해한 사뮈엘에 대해 분노했을 가능성을 부각하며 산드라를 몰아 세운다. 과학 수사가 명백하게 밝힐 수 없는 사건의 인과를 심증적 개연성을 통해 드러내는 것은 법정 증거주의의 원칙 위에서는 불가할 것이다. 프랑스의 법정이 다른 원칙을 채택하고 있지 않다면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법적 심리의 관점에서 보면 과학 수사 이후 검사의 논리 전개는 초점을 맞추어 가지 못하고 산개하거나 역행하는 것처럼 보인다. 나는 다니엘의 마지막 증언도 판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어렵다고 생각한다. 영화는 마치 이것이 판결을 이끄는 결정적 증언인 것처럼 배치하고 있지만 말이다. 다니엘 역시 과거 사뮈엘의 심적 상태를 유추할 수 있는 말을 증언했을 뿐이다. 나는 그저 산드라가 사뮈엘을 살해했을 증거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검사의 기소가 기각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그런데 영화는 판결의 이유를 알려 주지 않는다. 과학 수사의 증명 불가능성을 제시한 이후 가능한 법정 공방의 방식은 법리적 다툼이겠지만, 이 영화는 이상하게도 그 과정을 생략한다. 그리고 사건에 대한 판결이 오로지 산드라와 사뮈엘의 관계나 그들의 심적 상태에 달려 있는 것처럼 바라본다. 그러나 이 영화의 법정이 인물의 내면을 향해 무대화되었다고 하기도 어렵다. 이 영화는 법정이 사건과 인물의 표면을 다루는 곳이라는 점을 상기시킨다. 영화는 사건 표면의 진실, 즉 사뮈엘 추락사 직전의 순간을 가려 놓고 산드라의 중립적으로 굳어 있는 얼굴 밑으로 뚫고 들어 갈 균열도 보여 주지 않는다. 아들 다니엘의 마지막 증언도 온전히 믿기 힘들다. 판단하기 어려운 다니엘이 마르주의 조언대로 그저 산드라를 믿어 보기로 결정한 것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공판은 인물 내면의 동기를 향해 전개되지만 정작 인물의 내면은 파악 불가능한 대치 상태가 이 영화를 대하는 곤란함일 것이다. 영화의 중간 지점, 사뮈엘의 추락사 용의자로 산드라가 기소되어 공판이 준비될 때 영화는 1년 후라는 자막 표지와 함께 그 시간을 모두 생략한다. 기소된 시점부터 아들 다니엘과 피의자 산드라의 상호 작용을 차단하기 위해 마르주가 산드라의 집에 파견되었다. 피의자와 아들, 그리고 법무부 파견 직원이 동거하는 1년의 맥락을 가리는 것부터 이 영화를 대하는 관객의 곤란함은 예정된 일이었을 것이다.

영화는 표면에 머물면서 판단을 미룬다. 다니엘의 시각장애 보조견 스눕의 예사롭지 않은 눈빛이 영화가 미루어 놓은 진실의 담지자일 것이다. 그 표면을 뚫고 들어가면 진실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의미심장함이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 서려 있다. 그러나 진짜 곤란함은 사건과 인물의 진실을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라는 통찰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국 판결은 이루어진다는 것이 진정한 곤란함이다. 법적 판결은 맹목적으로 수행적이다. 사건이 있으면 법은 반드시 판결한다. 이 영화도 1심 판결 결과를 마지막 국면으로 삼는다. 이는 불가피하다. 이 영화는 진실의 판별 불가능성을 드러내기 위해 법정을 오해하거나 오용하는 것은 아닐까 의심하게 만드는 면이 있다. 그러나 동시에 판별의 불가피함을 이미 감지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한 측면의 진실은 반대편의 진실이 징후적으로 드러나게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