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서 정연한’ 법은 정의상 ‘맹목적’이고, 무지하며, 특수한 열정들 위에 일으켜 세워져 있다. 공동체는 궁극적으로, 어떤 특수한 것도 의미하지 않는 한에서 ‘모든 것을 의미’하고 그럼으로써 각각의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그 속에서 그/그녀 자신을 인지할 수 있게 해 주는 하나의 기표를 통해서 결합된다.

天地不仁

…파괴적 성격은 단 하나의 구호만을 알고 있는데, 그것은 공간을 만드는 일이다. 그리고 파괴적 성격은 단 하나의 행동만을 알고 있는데, 그것은 공간을 없애는 일이다. 맑은 공기와 자유로운 공간에 대한 그의 욕구는 어떠한 증오보다도 강하다.
파괴적 성격은 젊고 쾌활하다. 왜냐하면 파괴한다는 것은 우리들 본래의 나이의 흔적을 없애 버리는 것이기 때문이다. 파괴한다는 것은 사람을 쾌활하게 하는데, 왜냐하면 모든 것을 없애버리는 것은 파괴하는 자에게는 자기 자신이 처한 상황의 완전한 환원, 아니 자기 자신이 처한 상황의 말살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파괴적 성격은 지속적인 것을 전혀 알지 못한다. 그러나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그는 어느 곳에서나 길을 보게 된다.
…또 그는 어디에서나 길을 보기 때문에 그 자신은 언제나 교차로에 서 있다. 어떤 순간에도 그는 다음의 순간이 무엇을 가져다 줄지에 대해 알지 못한다. 현존하는 것을 그는 파편으로 만드는데, 그것은 파편 그 자체를 위해서가 아니라, 그 파편을 통해 이어지는 길을 위해서다.
파괴적 성격은 인생이 살 값어치가 있다는 감정에서 사는 것이 아니라 자살할 만한 값어치가 없다는 감정에서 살아가는 것이다.

‘…(중략) 이러한 면이 번역과 원문의 관계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를 알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비유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마치 접선이 원을 살짝, 그것도 단지 한 점만을 건드리고 또 이러한 건드림이 무한대의 직선으로 이어지는 접선의 법칙을 규정하는 것처럼, 번역 역시 살짝, 그것도 단지 의미의 무한히 작은 점들만을 건드림으로써 언어적 움직임의 자유 속에서 충실성의 법칙에 따라 그 스스로의 고유한 길을 추적하는 것이다….’

Walter Benjamin <번역가의 과제> 중에서

그의 비유는 무한한 상상력의 영역을 건들면서 그가 말하는 순수한 언어의 영역에 우리 영혼의 직선이 살짝 접하도록 해 준다. 그가 말하는 아우라가, 또는 시각의 무의식적 세계가, 또는 역사적 유물론이 신학과 만나면서 밝아오는 구원의 가능성은 이처럼 잠시 원을 스쳐 지나가기만 하는 하나의 접선이 그 일회적이지만 영원한 순간을 기억하면서 나름의 길을 가는 것과 같다. 그 순간은 결코 머무르지 않으며 섬광처럼 지나갈 뿐이다. 그가 멜랑콜리한 것은 인간은 결코 그 원을 ‘획득’할 수 없기 때문이며 살짝 스쳐 지나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멜랑콜리커의 노스탤지어는 결코 퇴행적이지 않다. 과거가 아름다웠다고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가 원에 접하지 못했음을, 비상사태가 진정한 비상사태가 되지 못했음을, 실패와 패배 속에서 나타나는 바로 앞의 원과 접할 수 있었다는 것의 증명 속에서 쓸쓸히 현재를 과거와 연관시키는 감성으로서 노스탤지어를 지닌다.
과거가 아름다웠다고 느끼는가? 그것은 과거가 너무나도 추했기 때문이다.

사람들 말에 의하면 어떤 장기 자동기계가 있었다고들 하는데, 이 기계는 어떤 사람이 장기를 두면 그때마다 그 반대 수를 둠으로써 언제나 이기게끔 만들어졌었다. 터어키 의상을 하고 입에는 水煙茼을 문 인형이 넓은 책상 위에 놓여진 장기판 앞에 앉아 있었다. 거울로 장치를 함으로써 이 책상은 사방에서 훤히 들여다볼 수 있다는 환상을 불러일으키게 하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장기의 명수인 등이 굽은 난장이가 그 책상 안에 앉아서는 줄을 당겨 인형의 손놀림을 조종하였다. 우리는 철학에서도 이러한 장치에 대응되는 것을 상상할 수가 있다. 항상 승리하게끔 되어 있는 것은 소위 <역사적 유물론>이라고 불리어지는 인형이다. 이 역사적 유물론은, 만약 그것이 오늘날 왜소하고 못생겼으며, 그렇기 때문에 어떻게 해서라도 그 모습을 밖으로 드러내어서는 안되는 신학을 자기의 것으로 이용한다면, 누구하고도 한판 승부를 벌일 수가 있을 것이다….more

첨부파일 다운

역사철학테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