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북으로 듣는 김초엽의 소설에 빠져 있다.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를 들으면서 우리가 사랑하는 것은 순수한 것 그 자체가 아니라는 생각에 잠시 빠졌다. 순수한 평화, 순수한 평등, 순수한 자유가 작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마을’ 안에서 데이지는 사랑할 것이 없다. 데이지는 불평등과 억압의 공간 ‘시초지’, 지구에 사랑할 것이 있다고 믿는다. 상처 받고, 문제라고 느끼고, 저항하는 존재가 그 안에서 태어난다. 오직 지옥 안에서만 사랑할 대상이 태어난다.

<헤어질 결심>

해준이 한 말은 정말 서래를 사랑한다는 뜻이었을까. 서래는 그렇게 확신하고 해준은 이를 부인한다. 그 말은 해준이 서래 남편 사망 사건을 종결하고 나서 뒤늦게 서래의 혐의점을 발견하고 서래를 찾아와 한 말이었다. 해준은 자신이 서래에게 빠져 서래의 혐의를 지우는 일을 도와 수사를 망쳤고, 그로 인해 붕괴됐으며, 증거가 될 핸드폰은 바다 깊이 버리라고 한다. 해준은 이 때 수사를 망친 자신을 책망하고 한탄하고 싶었던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서래는 이 말이야말로 해준이 자신을 사랑한다는 것의 통렬한 고백이라고 받아들인다. 해준 자신은 모르는, 자기 말에 담긴 의도 이상의 진실을 서래는 알아차린 것이다. 그렇게 직업 윤리를 저버리고 수사를 망친 이 사태가 모두 서래 자신을 사랑하기 때문이라는 것, 그리고 사랑은 주체의 빈틈을 넓히고 붕괴시킨다는 깨달음까지, 서래는 해준의 말에서 은폐된 사랑의 층위를 발굴해 낸다.

그리고 서래는 해준의 그 억압된 본심에 모든 것을 건다. 나는 서래의 이 태도가 <헤어질 결심>이라는 영화를 성립시킨다고 생각한다. 서래가 사랑에 대해 취하는 방식, 이를테면 해준의 말과 행동을 반영하고 재구성하려는 시도들, 해준을 안심시키고 불안하게 만드는 전략, 그리고 서로를 결속시키기 위해 전부를 거는 선택 같은 것들이 이 영화의 결을 조건 짓는 것처럼 보인다. 그 결은 과잉되었고 동시에 숭고하다.

그러나 나는 서래로부터 분출되는 멜로적 세계의 숭고함에 충분히 빠져 들지 못하는 것 같다. 무언가로부터 방해받는 느낌이라고 해도 될까. 이에 대해 나는 충분히 말할 자신이 없다. 다만 영화가 서래와 해준을 둘러싼 세계에 침잠하도록 가만 두지 않는 것 같다고 말해야 할 것 같다. 달리 말하면 이 영화는 스타일과 서사의 표층부터 심층까지 해석해야 할 정보가 과잉되어 있는 것처럼 느껴져서 서래와 해준의 감정에 집중할 수 없는 것이다. 정보가 차고 넘쳐서 감각 과부하 상태에 빠지는 것 같다고 말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이미지나 사운드를 겹치지 않고 플롯의 구획을 정돈하거나, 카메라-스크린의 망막적 층위를 가시화하는 것을 자제했으면 어땠을까. 또는 초점을 활용한 광학적 수사학이나 표현주의적 미술과 조명의 즐거움을 조금만 드러냈다면……등. 그러니까 나는 이 영화를 보고 다른 영화를 상상하게 된다. 서래와 해준에게는 수사적 소거법이 적용된 영화가 필요하지 않았을까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그랬다면 박찬욱의 영화가 아닐 것이다. 영화를 이루는 모든 요소가 각자 할 수 있는 최대의 수사를 발휘한다고 느끼는 충만감이 박찬욱 영화의 핵심 같기 때문이다.

나는 이 영화에 대해 어떤 지점에서 말하더라도 그것은 너무나 부족한 설명처럼 보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어떤 설명도 존재를 포섭하지 못한다. 그러나 그 자체로 너무도 충만하기 때문에 어떤 말도 더할 필요가 없는 것처럼 보이는 존재라면. 나는 이 영화가 그런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의문을 놓지 못하는 것이다. 서래와 해준의 사랑이 지닌 과잉된 숭고의 가능성이 이 영화의 공백 없는 충만한 세계에서는 영속하지 못할 것만 같아 푸념을 하는 중이다. 과소의 결핍된 세계에 그들의 자리가 있을 것만 같아서.

김혜리의 이 말에 깊이 공감하면서 동시에 김혜리가 지적한 바로 그 반발심이 들었다. 사랑의 정치적 책임을 생각할 겨를은 일상적 안위라는 토대 위에서 가능할텐데 이렇게 한가한 말이라니. 그런데 우리는 토대의 불안 속에서도 간절하게 사랑을 갈구하지 않는가. 이 때 나는 반대로 말하고 싶어졌다. 사랑한다는 것은 우리가 기꺼이 책임을 받아들인 후에 따라오는 부산물이 아닐까. 우리는 이미 책임이 선험적으로 주어진 세계에서 그저 책임을 증명하기 위해 사랑을 찾는 거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