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생명이 탄생하기 적절하지 않은 버전의 우주, 어느 행성의 황량한 산 위에 돌이 놓여 있다. 이 풍경이 적막에 휩싸여 있는 동안 화면에는 문자가 새겨진다. “여기선 그런 거 신경 쓰지 마. 돌이 되라고.” 그러니까 우리는 지금 단지 어떤 풍경을 조용히 바라보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화면에 표시되는 대화 지문을 통해 알게 된다. 산에 놓인 두 개의 돌은 에블린과 그의 딸 조이이다. 한낱 돌이 의인화된다. 나는 이 장면이 즐거웠다. 영화가 이 두 개의 돌 위에 대화 지문을 제시하고 쇼트와 역쇼트로 두 돌을 번갈아 보여 주면서 너무 능청스럽게 돌이 인물인 것처럼 시치미를 떼는 듯한데, 기꺼이 그 시치미를 믿고 싶지 않은가.

그러나 달리 생각해 보면, 그 순간 우리는 시치미 떼는 듯한 연출을 믿도록 강요받게 되는지도 모른다. 이 불완전한 환상을 완성하기 위해 우리의 믿음이 필요하다고 영화는 관객을 끌어 들인다. 관객이 참여해서 완성하는 환상의 효용성 때문에, 영화는 이렇게 환상의 불완전성을 즐길 만한 것으로 다루기도 한다. 그렇게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가 돌을 음성과 시선을 지닌 인물로 지시하는 장면은 우리가 믿지 못할 환상은 없다는 생각이 들게 만든다.

현실의 감각으로 돌아와서 보면 돌이 대화를 나누는 것은 당연히 불가능하다. 돌, 사물은 감정도 이성도 욕망도 의지도 없다. 즉자적 존재의 수준으로 환원된 에블린과 조이는 정확하게 말한다면 미동도 하지 않고 영겁의 시간을 산 위에 그저 놓여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에블린과 조이가 돌이 된 상태를 보는 것이 아니라, 돌이 에블린과 조이로 치환된 상태를 보고 있다.

인물이 사물화한 것이 아니라 사물이 의인화된 것처럼, 조이의 베이글은 허무주의의 물화된 상징이 아니다. 나는 조이의 허무주의가 이상하다고 생각하는데, 조이는 무기력하지 않기 때문이다. 조이가 자신이 경험한 수많은 평행우주의 자아로부터 진정으로 무의미를 깨달았다면, 다른 평행우주 수많은 버전의 에블린을 찾아 헤매고 세계를 파괴해 대는 조부 투바키가 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조이, 조부 투바키는 간절한 욕망을 지녔다. 이를 이해 받고 싶은 욕망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조이가 평행우주에서 발견한 것은 무의미가 아니라 무의미에 대한 불안의 중핵이다. 무한에 가까운 가능성의 어떤 현실태도 희열에 닿는 것은 불가능한 것 같다는 불안, 그 감당하기 버거운 감정. 조이는 이런 심연의 불안을 이해해 주고 그 늪에서 자기를 구원해 줄 존재를 간절히 찾는 중이다. 그것도 자신에게 그런 곤경에 빠뜨린 어머니 에블린으로부터. 허무주의자는 어머니의 이해를 갈구하지 않을 것이다.

소용돌이치는 베이글의 원은 허무주의보다, 그에 대한 불안과 공황 상태를 시각화한다. 이에 대한 에블린의 대답은 불안에 대항해 의지로 낙관하라는 것에 가깝다. 의지로 희열과 환상의 붕괴를 버티고 욕망하기를 멈추지 마라. 어쩌면 그것이 궁극적으로 직면할 허무와 불안의 끝에서도 우리가 인간으로 존재하기 위한 최후의 조건일지 모른다. 영화의 마지막, 평행우주의 무한 가능성(그리고 동시에 무한의 무의미)을 한꺼번에 견디고 있는 에블린의 얼굴에는 그런 최후의 의지가 엿보인다. 치명적 무의미에 대한, 무지를 향한 의지. 나는 왠지 그 얼굴이야말로 진정한 허무주의자의 것에 더 가깝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빠진다.

<피닉스>

크리스티안 펫졸트 감독의 영화에는 전쟁과 학살의 스펙터클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의 영화에서 스펙터클을 만날 수 있다면 그것은 폐허의 현장일 것이다. 펫졸트 감독은 거대한 폭력을 직접 재현하지 않고 그것의 결과인 폐허를 재현함으로써 폭력의 속성을 드러낸다. 관객들로 하여금 폭력의 현장으로 끌어 들이지 않아도 그것을 경험할 수 있는 가능성을 그의 영화에서 발견할 수 있다.

<피닉스>에서는 곳곳에 부서진 건물의 잔해물로 산을 이룬 베를린 시가의 모습과 미 점령군 치하의 패배감이 감도는 비루한 삶을 만난다. 그러나 이 폐허의 현장을 압도하는 또 하나의 폐허는 넬리의 얼굴이다. 영화는 넬리의 얼굴을 관통한 총알도, 그것이 망가뜨린 넬리의 얼굴도 보여 주지 않지만 우리는 그의 얼굴을 감싼 붕대 뒤의 처참한 그것을 상상할 수밖에 없다. 재현하지 않아도 현현할 수 있는 것이 있다면 이 같을 것이다. 유대인 홀로코스트 생존자인 넬리의 얼굴이라는 폐허는 폭력의 현장이며 그 물적 증거다.

성형수술한 넬리가 붕대를 벗고 수술 흔적도 서서히 사라져 갈수록 우리는 소위 ‘재건’을 기대한다. 다시금 폐허에서 인간으로 넬리를 복구할 희망을 품는다. 이 희망이 영화의 멜로적 감정을 추동한다. 수용소로 끌려 간 반년의 시간을 공백으로 잘라 내고 넬리는 그의 남편 조니와 재회한 후 이전의 삶을 이어 붙이고 싶어 한다. 조니로부터 자신과 함께 한 기억을 전해 들을수록 넬리의 회귀 욕망은 확인 받고 강화된다. 레네가 불타는 복수심과 민족적 부채감에 짓눌려 있는 것과 정반대의 자리에서 넬리는 트라우마를 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 영화가 마련하고 있는 운명은 폐허 이후 우리는 그 이전의 인간일 수 없다는 것을 보여 준다.

마지막 장면 바로 직전까지 조니는 넬리를 결코 알아 보지 못한다. 이는 다소 의아하다. 넬리의 과거 사진은 비록 그 상이 흐릿하지만 성형수술한 후 지금의 넬리와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인다. 조니가 기억하는 넬리의 모습대로 머리를 바꾸고 화장을 하고 옷을 입을수록 넬리는 더욱 또렷하게 사진의 모습을 닮아 갔을 것이다. 그보다 넬리의 육성을 듣는데도, 한 번에 넬리의 글씨체를 똑같이 써 내는데도, 심지어 넬리가 체포된 휴양지의 숙소 주인은 한눈에 넬리를 알아 보는데도 조니는 자신이 데려 온 이 사람이 진짜 넬리라는 것을 알아채지 못한다. 이를 허구적 세계를 구축하기 위한 암묵적 규약이라고 묵인하면 안 된다. 영화는 충분히 알아 챌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니만은 모르는 상황을 의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다시 말해 조니는 수용소에 끌려 간 아내가 이미 죽었다고 확신하기 때문에 자기 앞에 나타난 넬리를 타인으로 확신한다. 또는 다르게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조니는 넬리를 배신한 죄책감으로 진짜 넬리를 대면할 자신이 없다, 조니는 넬리의 유산을 물려 받을 대역만이 필요하기 때문에 진짜 넬리의 존재를 부정하고 있다. 요컨대 조니 역시 자신의 폐허 이후 이전의 조니가 될 수 없는 것이다.

넬리의 회귀 욕망은 조니가 계획한 넬리의 거짓 귀환 연극 안에서만 실현 가능하다. 이 환상 게임은 넬리와 조니를 반대 방향으로 추동한다. 조니에게 폐허 이후 삶을 도모하기 위한 계획이 넬리에게는 폐허 이전의 자신을 재건하는 자양분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어디까지나 가상의 놀이이기 때문에, 조니는 넬리가 그토록 되찾고 싶은 과거의 자신을 기억으로 돌려 줄 수 있다. 우리는 넬리가 얼마나 간절하게 가짜 넬리 연극에 참여하려는지 볼 수 있다. 넬리는 결코 자신이 진짜 넬리라는 사실을 조니에게 알려 주지 않는다. 어쩌면 조니가 자연스럽게 자신을 알아 봐 주기를 바랐는지도 모른다. 조니에 대한 사랑과 서운함, 그리고 장난기까지, 넬리의 얼굴에 언뜻 스미는 조심스럽고 다채로운 표정이 넬리가 이 연극을 진심으로 즐기고 있음을 보여 준다. 조니가 알아 보는 순간까지라는 유보된 시간 동안 넬리는 가짜 넬리 연기를 함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재생하고 자아를 재건할 시간을 벌고 있는 것이다.

나는 마지막 장면, 넬리가 과거 조니와 함께 부르곤 했던 노래 ‘Speak Low’를 부르며 자신의 정체를 알리는 순간까지도 그가 연기를 지속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넬리는 조니에게 내가 진짜 넬리라고 직접 말해 주는 대신에, 이 연극을 준비하는 기간 동안 알려 준 적 없는 이 노래를 통해 조니가 자신을 알아 보기를 또 한 번 바라는 것이다. 넬리는 거짓 귀환 실행의 날 전에 이미 친구 레네를 통해 조니가 자신을 배신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수용소로 끌려 가기 전날 발급된 이혼 서류는 부정할 수 없는 증거다. 그럼에도 넬리는 이 연극을 멈추지 않는다. 이 때 넬리의 심연을 우리는 헤아릴 수 없다. 다만 우리가 확인하는 것은 넬리가 연극을 고집했기 때문에 비로소 이 연극이 거짓이 아니라 진실로 완성되는 순간이다. 진실은 진짜 넬리가 증명되었다는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진실은 폭력의 희생자와 배신자 모두 딛고 서야 할 각자의 폐허가 명료하게 드러나는 것까지 포함한다. 넬리가 멀리 사라지고 초점을 잃은 마지막 쇼트처럼, 폐허를 딛고 선다는 것의 의미를 우리는 정의 내릴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실은 완성되었다. 이 영화의 마지막은 오래 기억되어야 한다.

이 영화에 침잠하게 되는 것은 넬리의 회귀 욕망에 동참하게 만드는 데 있지 않고, 애처롭게 느껴질 정도로 넬리로 하여금 그 욕망을 포기하지 않게 하고, 연극의 동력을 끝까지 밀어 부치게 함으로써 다른 차원의 현실을 만든다는 데 있다. 마지막 순간에 넬리가 열어 낸 것이 레네가 끝내 지키지 못한 생존자의 의무를 수행할 수 있는 최선의 지평일지도 모른다는 감흥에 빠진다. 피해자의 폐허에 머무르지 않고 그 이전으로 돌아갈 수 있을 거라는 헛된 희망마저 무너뜨려 마침내 영점에 자리한 넬리에게 남은 것은 새롭게 자신을 구성할 자유와 가능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