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영상자료원 개관영화제에서 상영하게 된 ‘나의 사랑, 나의 영화’를 봤다.
(명박이 쇠고기 수입, 공기업 민영화 등등에 대한 걱정은 어떡하고…? ㅡ.ㅡ;)
예매율이 저조해 일종의 관객 동원을 당한 셈인데 사실 내심 궁금하기도 했다.
한국 영화에 대한 한국 영화감독들의 오마주를 기획한 건 처음이기 때문이었다.
(사실 ‘한국’ 영화라는 것에 대해 나는 무심한 편이다. 위대한 영화는 있어도 위대한 한국영화라는 것은 성립하지 않는다. 다만 지역적 특수성과 그것의 연속성은 고려해야 하겠지.)
이 영화는 열다섯 명의 감독들이 각자 특정 감독, 작품들에 대해 나름의 방식으로 애정을 표시하고 있었다.
이 첫번째 시도가 의미 있고 각별한 느낌을 갖게 하지만 전반적으로 성글고 더 많은 회고와 말들이 필요하다는 느낌이었다.
그리고 게스트로 초대된 (아마도) 이두용 감독의 말처럼 언급되어야 할 더 많은 감독들이 있었을 게다.
다른 얘기는 차치하고 나는 이 영화를 보면서(라기보다는 그 후에) 두 가지 생각이 들었다.
왜 (내 느낌이 과장되지 않았다면) 우리 세대에게 90년대 이전의 영화는 지루하고 촌스러운 암흑으로 느껴지는가.
그리고 왜 이 노감독들이 지금은 더이상 영화를 찍지 않는가(또는 못하는가).
계획하지 않았지만 관객과의 대화 시간 동안 자리에 앉아 있자니 초대된 노감독들의 말들에서 ‘검열’과 ‘리얼리즘’이라는 단어가 잔상처럼 머리 속에 남았다.
우리 또래에게 한국영화가 90년대부터 기억되는 것도, 90년대 이전 감독들이 최근 거의 영화를 찍지 못하는 것도 공히 검열이라는 상상력의 거세에 원인이 있다는 당연한 이야기.
그런데 이것이 당대, 그리고 후대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그리고 얼마나 거대한 단절을 야기하고 있는지에 대해 새삼 생각하게 됐다.
한 관객의 당시 검열과 관련된 에피소드에 대한 질문이 이유일 수도 있었겠지만, 초대된 이두용, 이장호, 배창호 감독의 입에서 나온 검열이라는 말은 어떤 무게감이 느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장호 감독은 리얼리즘을 얘기하기도 했다.
우리 일상에서 쓰는 만큼만의 욕이 표현되는 영화가 그 이상(또는 반대로 전혀 쓰이지 않는 경우도 해당되겠지만)이 표현되는 영화보다 더 좋은 영화라는 농 섞인 말은 리얼리즘에 대한 그의 신념을 보여주는 것 같았다.
어쩌면 검열의 시대에 투쟁하는 무기로, 이데올로기로 당대의 감독들은 리얼리즘을 택했고 그럴 수밖에 없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이 리얼리즘은 거세된 상태로서만 가능한 것이 아니었을까?
당대의 영화는 검열의 추격을 따돌리거나 붙잡히는 일종의 검열과의 게임을 통해 성립 가능한 것이었고, 관객 또한 이 내부에 기입돼 있는 검열의 룰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이 아슬아슬한 게임을 즐길 수 있었지 않을까?
그리고 이 게임의 룰을 90년대 이후의 관객들은 알지 못하기 때문에 표피의 남루함만 보이고, 이 게임의 룰을 벗어나기 힘들기 때문에 당대의 감독들은 지금 영화를 만들기가 어려운 것은 아닐까?
(정치권력의 사회 통제를 위한) 검열의 시대와 이후 시대로 단절해 볼 수 있을까?
(아니면 이전과 이후가 어떻게 연결되고 있다고 봐야 할까?)
그렇다면 역시 과거 한국영화에 대해서는 온전히 미학 자체만을 다루는 것이 불가능한 것일까?
혹시 검열과 같은 사회적 통제가 영화에 미치는 영향, 영화의 검열에 대한 수용과 위반을 미학적 수준에서 다룰 수는 없을까?
물론 단상에 불과하고 내게 답은 없지만 말이다.

XD-11, 24mm, Portra 160VC / T2, Vista 100

@ 영상자료원 보존실

영상자료원에서 시나리오 정리 아르바이트를 하게 됐다.
시나리오뿐만 아니라 비디오 테이프, 사진집, 온갖 잡지, 온갖 음반, 심지어 영화 시상식에서 받아가지 않은 트로피까지 엄청난 자료들이 쌓여 있고, 상당수는 아직 정리되기를 기다리고 있다.
남자 둘, 여자 둘이 하게 됐는데 죽이 잘 맞는데다 일 자체가 재미있어 상당히 즐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