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에서 그려지는 문명의 종말이 무엇에 연유한 것인지 정확히 설명되지는 않는다.

쓰러지는 나무와 우르릉 하는 굉음 소리, 그치지 않는 비와 극심한 추위, 그리고 길에서 만나는 90세 노인의 말에 따르면 그것이 지진과 기후 변화로 요약되는 자연 재앙일 것 같기는 하다.
폐허를 감싸는 중저음의 땅울림과 귀를 찢을 듯한 나무 넘어지는 소리는 이 영화의 주된 감각이다.
나는 이게 인상 깊었다.
소설을(나는 당연히 읽지 않았다) 영화화해야 하는 최소한의 이유는 바로 이 소리 이미지 때문이 아니었을까.
아무튼 영화는 문명이 무너지는 상황에도 간절하게 유지되는 아버지의 자리를 말한다.
말 그대로 문명은 몰락했고 추위와 배고픔에 시달리는 인간들은 심지어 식인을 일삼는 상황에 빠졌으며 절망한 인간들은 자살하기를 서슴지 않는다.
아버지는 동족의 위협과 추위로부터 아들을 어떻게든 보호해야 하고 그 책임감만으로 멈추지 않는 노마디즘을 버틴다.
어느새 나는 아버지의 책임감에 동감할 수 있는 나이가 된 걸까.
아니면 그런 아버지의 자리를 동정하게 된 걸까.
아버지의 돌봄 행위에 나는 어느 정도 감정이입이 되었다.
그러나 아버지의 돌봄은 타인에 대한 적대로 연결된다.
그리고 아버지의 적대와 배타를 순화시키는 것은 아들의 몫이다.
지치고 눈 먼 노인과 생필품을 훔친 흑인을 먹이고 동정하는 아들은 보호하고 지켜야 한다는 관념에 사로잡혀 배척하고 투쟁하는 아버지에게 윤리의 보루다.
(식인을 금기시하는 아버지의 원칙은 갱단인 그들과 가족인 우리를 구분하는 기준점일 뿐이다. 식인 갱단 또한 커뮤니티는 형성하고 있으니까.)
애초에 아버지는 집을 떠나지 않으려 했지만 “추운 이 곳은 아이를 키울 만한 곳이 아니야. 남쪽으로 떠나”라는, 자살하듯 떠나는 아내의 마지막 말 한 마디를 붙들고 정처없이 길을 나섰다.
(세상이 무너지는 상황에서 아이를 낳지 말자 하고, 떠나는 마지막에도 따뜻한 곳으로 아이를 데려 가라 하는 어머니가 자손번식이 인륜지대사라 여기고 어디든 그저 정처하고 보호하려는 아버지보다 더 현실적이다.)
따뜻한 남쪽이라는 아버지의 근거 없는 희망은 그래서 아내에 대한 자신의 (아들을 잘 키울 수 있다는) 마지막 증명이자 어머니의 따뜻함으로…라는 유일하게 남은 환상이다.
죽음의 임박과 책임감의 피로를 느끼기에 충분한 기침 소리, 비고 모르텐슨의 연기도 훌륭했지만 누구나 보호해야겠다는 책임감을 느낄 법하게 연기한 코디 스미스-맥피도 좋았다.
죽은 아버지 옆에서 멍하니 슬퍼하고 두려워하는 아들을 보면서 나는 죽은 어미 고양이 옆에서 떠나지 못하고 울고 있는 새끼가 연상돼 순간 그렁그렁했다.
나는 이 영화가 나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단순히 종말의 순간에도 숭고하게 남아 있는 부성애를 찬미하는 영화는 아닌 것 같다.
아버지의 역할과 피로, 그리고 강박과 그 자리의 한계를 함께 고려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마지막, 아들의 뒤를 따라온 또다른 가족 무리의 어머니가 건네는 “너희를 따라왔단다. 네가 걱정됐어”라는 말은 다소 의미심장하다.
P.S. 1 – 내가 좋아하는 평론가 황진미는 20자평으로 이렇게 썼다. “선악은 인육먹기로 구분되고, 가족구성 여부로 판별된다?” 이 또한 의미심장하다.
P.S. 2 – 코디 스미스-맥피는 영화 ‘렛 미 인’의 헐리웃 리메이크작에 출연한단다. 렛 미 인이 또 번안되는구나. 이 로맨틱한 영화를 제발 망치지 말아줘…

어제 밤에 ‘셜록 홈즈’를 봤는데 어째 저번에 본 ‘락큰롤라’와 비슷한 느낌이었다.
그러니까 스내치를 봤을 때처럼 짜릿한 카운터 펀치의 느낌이 없다는 거다.
아니면 이미 그 펀치에 내성이 생긴 걸지도.
관객을 정신 없이 코너로 몰아 넣는 복잡한 인물 관계와 이야기는 미스테리와 쉼 없는 컷 횟수에 흔적으로만 남은 느낌.
가이 리치의 영화는 항상 신나는 무언가를 기대하게 하지만 이제는 그 기대를 채워 주지 못하는구나.
그래도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는 옆 좌석 아가씨들이 귀엽다를 연발할 정도로 제 2의 전성기를 활짝 열어 젖히고 있고, 산업혁명을 상징하는 거대한 교량 건설 현장 허공에 속임수 투성이 중세적 인물 블랙우드 경이 교수된 채 매달린 마지막 장면은 꽤 괜찮다.
그런데 맨 앞에서 봤더니 눈이 너무 아프군.

전쟁은 참혹하다.

전쟁영화는 서로 죽고 죽이는 대결 속에서 참혹하게도 자아 경멸적인 쾌감을 불러 일으킨다.
그러니까 전쟁영화는 소위 휴머니즘을 설파하려는 와중에도 아군과 적군을 판별하고 죽고 죽이는 관계에 대한 가학적 피학적 욕망을 동시에 분출한다.
전쟁영화를 보면서 사상과 정치적 노선의 옳고 그름, 정의 따위를 고민한다면 그것은 거짓말이고 그 영화는 예선 탈락이다.
다시 말해 전쟁영화에서는 인간의 상징적 질서들이 삶과 죽음 사이의 충동 앞에서 주도권을 잃고 무너져 내린다.
그래서 나는 상징적 질서 스스로가 초래한 붕괴, 인간 문명의 자살적 제스처야말로 전쟁영화가 다루어야 할 어떤 핵심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난징! 난징!>을 보면서 드는 잡념들이다.
남경을 점령하고 나서 학살, 약탈, 강간 등 온갖 파괴적 행위를 일삼는 일본군은 당연히 파괴의 집행자.
살기 위해 난민촌의 동료들을 배신하거나 자존을 포기해 가는 중국인은 무너지는 상징적 질서의 다른 한 측면이다.
삶과 죽음 앞에서 아군과 적군의 질서는 모조리 붕괴했고 이 폐허 위에 다시 무엇을 세울 수 있을지 먹먹하고,
마치 포탄으로 파괴된 현장에서 넋을 잃은 아이처럼 자아를 잃은 카메라는 멍하다.
황량한 건물 뼈대만 남은 남경의 1938년은 삶과 죽음 충동 말고는 아무 것도 없었다.
그리고 가도카와의 말처럼 인간의 질서가 무너진 바로 그 곳에서는 ‘살아가는 것이 죽는 것보다 어려운 일이다.’
그것을 가만히 보고 있자니, 자살할 만한 값어치가 없다는 감정으로 살아간다고 한 벤야민은 자살하기 직전까지 질서의 불안을 무엇으로 견뎌 냈을까…
덧글 :  배신에 대한 역사적, 정치적 처벌이 아직 온전치 않기 때문에 이를 응시할 수 있는 지평이 없는 한국에서는 아직 이런 전쟁영화가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