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독 : 김지운
출연 : 신하균

지난 전주국제영화제에서 디지털 3인3색이라는 제명으로 아시아 3인의 감독이 나름의 디지털 영화에 대한 실험이 있었다.

그리고 여기, 그에 못지 않은 걸출한 감독들의 또다른 디지털 3인3색이 시도되었다. 씨네21을 뒤적거릴 때마다 큼지막하게 광고를 실어놓던 이 영화들을 아무런 생각없이 넘겨 버리다가 이번에 혹하는 마음에 보았다. 사실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데다 컴퓨터 실시간으로 화면도 작으니 감상하는 맛은 떨어지겠지만, 또 나름의 재미가 있으리라 생각하고 – 아무래도 공짜라는 점이 주요하다 – 훌쩍 봐 버렸다.

김지운 감독의 커밍아웃. 분명 이건 동성애 영화일 것이다. 영화는 그 예상대로 차곡차곡 진행된다. 한 사람이 자기 누나에 대해 한 사람과 인터뷰 형식으로 대화를 하는데, 대충 누나가 그런 사람이었다는 게 믿어지지 않는다, 녹화해 놓은 테입을 보아도 안 믿겨진다 그런 얘기였다. 그러다 인터뷰하던 사람이 자료 화면을 보자고 한다. 그러고는 인터뷰하던 사람이 외친다. ‘페이드 아웃!’

누나일 것으로 짐작되는 여자가 차분하고 비장하게 앉아있고 무언가를 폭로할 듯하다. 캠코더로 찍던 화면은 다시 재연화면으로 바뀐다. 이제부터는 극중극이다. 누나는 밥 먹으로 내려오다 말고 캠코더 가지고 오라고, 고백할 게 있다고 한다. 동생은(신하균 역) 또 뭔가 하면서 카메라를 가지고 오고, 누나는 소파에 침착히 앉는다.

누나는 말한다. ‘먼저 저를 키워주신 어머니, 아버지께 죄송하다는 말 하고 싶습니다. ……주절주절……지금 여러분에게 밝히고 외국으로 가려 합니다…주절…사실, 저는……흡혈귀입니다.’

이쯤 되면 동생이나 동생 여자 친구가 황당해 하는 것만큼 보는 나도 황당하다. 아니 당황스럽다. 분명 동성애자임을 밝힐 줄 알았는데 아니다. 그러더니 영화는 영 다른 방향으로 흐른다. 누나는 흡혈귀임을 증명하려고 자기 손목을 물고, 또 전화박스에서 전화하는 여중생 목을 문다. 동생과 동생 친구는 그제서야 사실을 받아들이고 송별 파티를 준비하고, 누나가 영국으로 떠나기 전 날 – 영국에 세계 흡혈귀들이 모여 산단다 – 동생 여자 친구는 자기도 물릴 때 기분을 알고 싶다며 물어 달라고 하고 누나는 그녀의 소원(?)을 들어주며 영화는 끝난다.

김지운 감독의 ‘조용한 가족’을 본 사람이라면 그가 어떠한 상황으로 사람들이 실소를 머금게 하는지 알 것이다. 예를 들어 ‘학생, 학생은 고독이 뭔지 아나?’ ‘저 학생 아닌데요’ 뭐 이런 식이다. 뜬금 없으면서 서로 대화를 하려 해도 대화가 안 되는 상황. 그리고 깡패한테 쫓기다 간신히 모퉁이에 숨었는데 난데없이 핸드폰 벨소리가 울리는 그런 상황. 이 삼사십 분의 짧은 영화에는 그러한 김지운 감독의 스타일이 다 담겨 있다. 우선 흡혈귀가 커밍아웃한다는 설정은 조용한 가족만큼이나 황당하다. 여중생을 물려고 하는데 여의치 않자 누나는 ‘어, 저기 봐.’라고 하고 여중생은 그 쪽으로 쳐다볼 때 누나는 물어 버린다. 물린 여중생은 동생과 동생 친구와 나란히 앉아서 담배 하나 물고는 물릴 때의 느낌을 능청스럽게 얘기한다. 마지막에 동생 친구가 물어달라고 할 때 누나는 아무렇지도 않게 ‘물어 준다’. 그런데 무는 부위가 또 황당하다. 이상 야릇하게 동성애의 은유를 깔아 버린다.(물릴 때 동생 친구가 지르는 괴성은 너무 자극적이라 다시 한번 확 깨게 만든다)
이런 황당한 상황들을 설득력있게 보이기 위해 영화는 극중 재연상황 형식으로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듯하다. 신하균의 연기는 이미 사람들이 그의 말투만 들어도 웃음을 지어낼 정도로 색깔이 굳혀진 것 같다. 이 영화가 얼굴을 정색하고 내뱉는 농담 같이 능청스러움을 갖추는 데에는 신하균의 공도 꽤 큰 것 같다.

나는 디지털 영화로는 이 영화가 처음이다. 이 영화를 보면 김지운 감독은 대중성이나, 만드는 사람과 보는 사람 사이에 이루어지는 어느 정도의 약속 같은 것은 일정 정도 내던져 놓고 만든 것 같다. 그렇지만 그 나름의 대중성이 갖추어지는 것은 아무래도 요즘 유행이라는 엽기 문화 덕분이 아닌가 싶다. 나도 어느새 말도 안되거나 납득하기 힘든 상황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게 된 것 같다.
‘조용한 가족’보다 한 발 더 나아간 부조리같은 코미디를 즐기고 싶다면 이 영화는 그 욕구를 충족시켜 줄 듯.

비디오로 보고 아직 정리도 되지 않았는데 바로 써 버린다.(또 볼 게 있어서…)

저번에도 말했던 군에서 만났던 형이 Identity라는 걸 말하면서 예로 든 영화가 이 영화였다.

내가 나라고, 나와 동일하다고 인식하는 게 아이덴티티(자아 동일성) 아닌감. 그런데 그걸 이해하는 게 처음에는 너무나도 힘들었었다. 그 때 이 영화의 모티브는 그 이해를 도와 주었다.

정말로 나와 똑같은, 그러나 다른 내가 또 있다면…? 나와 똑같기는 한데 내가 보기에 그건 내가 아니라면? 말이 점점 꼬이는 것 같다. 그러니까 내가 나라고 인정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그렇다면 아마도 누구든지 혼란의 늪에서 헤맬 것이다. 그리고 그 혼란 끝에서 해답을 찾지 못하면 나라는 자아는 무너질 지도 모른다.

그런데 이 영화에서 베로니끄는 또다른 자아를 받아 들인다. 그녀는 같은 날 다른 곳에서 태어난, 또하나의 자신일지도 모르는 베로니카를 은연중에 느껴왔고 최후에는 베로니카를 베로니끄 안에 받아들이고 하나됨에 이른다.

그 두, 아니 한 여인의 중심에는 알렉산더(?)라는 인형극을 하는 남자가 있다. 그 남자는 자신의 소설 속에 다른 곳에 존재하는 두 여인에 대한 이야기를 담는다. 그것은 어쩌면 베로니카의 이야기일 것이다. 다시 말해 베로니카는 그 소설 속의 인물인지도 모른다.

아무튼 키에슬로프스키가 이 다층적인 해석의 가능성을 지닌 영화를 통해 무엇을 이야기하려 했는지는…아직 잘 모르겠다. 정리를 못했다. 어렴풋이 유럽의 현실에 대한 이야기일 것이다라고 짐작은 해 보지만 더 생각해 봐야 할 일이다.

이 영화의 느낌을 말하자면…영화 전체에 입혀진, 한편으로는 처량한 멜로디의 음악과 무언가를 찾아 헤매는 베로니카의 여정이, 슬프고 절박함의 느낌을 풍겨내는 것 같다.

어딘가에 숨어 있는 듯한 슬픔과 관능적인 미를 겸비한 것 같은 이렌느 야곱의 매력과, 투명한 공에 굴절되어 비치던 거리의 장면과 스포트라이트 안에서 살아 움직이듯 애잔한 몸짓을 보여주는 인형극의 그 긴장된 장면, 그리고 그 제목 모를(알아 봐야지) 멜로디의 음악이 내 눈 앞의 이미지가 되어 지워지지 않는다.

All About My Mother Todo Sobre Mi Madre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
cast-세실리아 로스 Manuela 마리사 파레데스 Huma Rojo 칸델라 페냐 Nina
안토니아 산 후앙 ‘La Agrado’ 페넬로페 크루즈 sister Rosa
101분 스페인/프랑스 1999년 제작

이 영화는 여성(정확히는 여성성)에 대해 찬미하며 편견에 대해 저항하며 인간에게 희망을 준다.
생명을 아끼고 새로운 생명을 만드는 어머니의 위대함을 이렇게 보여줄 수 있다니. 이런 영화를 만들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겠는가? 여성이 되고싶어 성전환을 한 남성, 임신을 하고 에이즈에 걸린 수녀가 나오는, 그러나 그것에 대한 편견과 거부감은 가질 수가 없게 하고 오로지 인간으로서의, 여성으로서의 그들만이 있도록 – 어떤 과장이나 억지 몰입도 없이 – 할 수 있는 영화가.

세 명의 에스테반을 사랑하고 잉태하며 보듬는 마누엘라나, 모두에게 즐거움을 주기 위해 산다는 성전환자 아그라도나, 타인을 위해 봉사하고 창녀를 감싸며 방황하는 성전환 남성의 아들을 잉태하는 수녀 로자나…이 영화에 나오는 모든 여성에게서 알모도바르가 보내는 구원의 이미지가 느껴진다.

알모도바르는 엔딩 자막에서 여자 연기를 하는 여자배우, 남자 배우와 나의 어머니에게 바친다라는 글을 남긴 것처럼 모든 여성성을 지향하는 이에 대해 찬미한다. 그는 진정 여성성 안에 있는 인간의 가치를 아는 것 같다.

감동 먹고 눈물 좀 글썽거렸다. 참 드문 일이다.

가뜩이나 머리에 든 것도 없는데 더더욱 머리로 쓰기가 싫다. 다른 이가 머리와 가슴으로 쓴 글을 영화 이야기 탐색 게시판에 올려놨으니 관심있으면 그 글을 읽으시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