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이브 마이 카>

가후쿠와 오토가 키스하는 장면이 나는 무척 이상했다. 그 장면에 달라 붙지 않은 목소리가 들려 오기 때문이다. “나리타 9시 출발.” 분명 오토의 목소리이지만, 이 때 카메라는 오토의 입을 가후쿠의 얼굴로 가려 놓아서 오토가 실제로 내뱉은 말인지 확정할 수 없다. 그보다 둘이 입을 맞추고 있는 그 순간 오토가 말을 할 수 있을 것 같지 않아 보인다. 목소리는 어떻게 이 장면에 끼어 든 것일까.

이 말은 오토가 집을 나서는 가후쿠에게 비행기 탑승 일정을 상기시켜 주려는 것처럼 들린다. 그러나 이 장면 다음에, 가후쿠가 비행기에 탔어야 할 그 시각에 오토가 집에서 다른 남자와 정사를 벌이고 있었기 때문에, 이 말은 오토 스스로 가후쿠의 일정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도 있다. 그러니까 오토의 이 말은 가후쿠에게 전하는 오토의 육성과 오토의 머리 속에 떠오른 생각이라는 두 가능성을 모두 지니고 있다. 영화는 단순히 오토의 입을 가려 버림으로써 오토의 말을 어떤 것으로도 해석 가능한 텅 빈 말, 신체 없는 목소리로 만든다.

가후쿠는 다양한 언어로 이루어진 연극 공연을 만들어 간다. 연기하는 배우들은 현장에서 상대방의 육성을 알아 듣지 못하지만 그것이 자신의 언어로 어떤 맥락과 감정을 지니고 있는지 깊이 이해하도록 훈련한다. 이것은 텅 빈 말로부터 인간의 정신적 신체를 발견하거나 부여하는 과정인 것처럼 보인다. 이 영화가 이에 대해 보여 주는 유려한 상징들, 즉 몇 가지 소리를 지운 것—육성을 지니지 못한 유나, 미사키의 고향을 향하는 도로 장면의 묵음—이나 앞서 키스 장면과 같이 소리의 실체를 불명확하게 만든 것도, 목소리의 담지자를 말소한 후 다시 의미의 고정점을 탐색하려는 시도인 것처럼 보인다.

가후쿠는 유나와 재니스의 연기 연습에서 무언가가 일어났다 말하고, 다카츠키와의 대화에서 대본으로부터 그것을 만나 응답하라고 한다. 가후쿠가 말하는 그 무언가는 과연 무엇일까? 앞서 말한 의미의 고정점, 텅 빈 말로부터 각 주체가 타당하다고 확정하고 끝내 드러내게 되는 의미의 고정점은 아닐까? 또는 그 타당하게 열려 있는 가능성의 혼란과 고통을 견뎌 낸 흔적을 말하는 것은 아닐까?

가후쿠는 이를 위해 오토의 연극 대본 녹음본처럼, 또는 연극 공연 리딩 연습 방식처럼 감정이 소거된 로봇과 같은 목소리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믿는 것 같다. 즉 주체의 자기 말소 이후에야 새로운 의미의 고정점을 탐색할 가능성이 열린다는 것이다. 이런 태도가 가후쿠에게서는 실존적으로 드러난다. 오토가 방언처럼 내뱉는 이야기를 기억하고 그대로 오토에게 전달해 주는 일상이나 오토에게 서운한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것, 또는 타인과의 대화에서 반응을 충분히 하지 않는 식으로 말이다. 그리고 다른 의미에서 드라이버 미사키 역시 자기 자신을 무화하려는 인물이다. 미사키는 가후쿠의 자기 말소적 경향에 대해 미학적 태도 외에 다른 이유가 있다는 것을 인식시켜 주는 인물이기도 하다. 아내와 어머니의 상실이라는 트라우마가 이들의 자아를 계속 흔들고 있다.

영화는 이들이 온전히 자아를 무화하도록 내버려 두지 않으려 한다. 이를 드러내는 이 영화의 반복적 투사가 흥미롭다. 체호프의 연극 <바냐 아저씨>의 대사가 여러 인물의 입을 통해 이 영화 곳곳에 반복적으로 기입되면서, 그 대사는 텅 빈 목소리로부터 인물의 내면과 일치하는 심상 같은 것으로 발전해 가는 것처럼 보인다. “진실은 그게 무엇이든 두렵지 않다. 가장 두려운 것은 그걸 모르고 있는 것이다.”, “바냐 아저씨, 우리 살아가도록 해요…….”와 같은 대사가 가후쿠와 미사키로 하여금 각자의 상처를 인식하고 직시하도록 방향성을 가리키거나 그런 도약의 징표가 된 것처럼 비추어질 때, 영화가 텅 빈 주체의 열린 가능성을 동시에 염려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 같은 염려가 영화로 하여금 유나, 윤수 집에서의 저녁 식사 장면을 이끌어 낸 것은 아닐까 나는 생각한다. 어떤 투사나 암시보다도, 우리는 이 장면을 통해 가후쿠와 미사키라는 인물의 변화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어쩌면 사람들 사이 교류를 이상화한 장면이라고 할 법하지만,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이 영화가 필요로 하는 장면이 아니었을까. 영화는 이 두 인물이 구체적 관계를 경험함으로써 전환점을 찾게 하고 싶었던 것 같다. 그들이 자기 목소리를 지니고 대면할 용기를 그들 자신의 관계 안에서 확인시키기 위해.

  공산주의적 대의 명분이 실패한 오늘날, 우리는 그것의 형식적 순수함 속에서 그의 교육극들에 의해 함축된 주체 위치로서, 거절의 몸짓, 포기의 몸짓을 윤곽 그리기 위해서 브레히트로 돌아가야 한다. 키에르케고르적인 용어로 표현하자면, 첫번째 예스는 윤리적 사명의 수준에 남아 있고 윤리적 위임을 떠맡는 행위를 나타내는 반면, 두 번째 예스는 ‘윤리적인 것의 종교적 중지,’ 윤리적인 것의 보편적 차원의 종교적 중지의 방향을 가리킨다. 윤리적인 것에 대한 ‘예스’는 그 극단으로 운반될 때 조만간 우리로 하여금 또 다른, 보다 급진적인 예스, 우리의 발 밑에서 근거를 잘라내 버리는 예스, 윤리적인 것의 종교적 중지에 대한 예스를 취하도록 강제한다. 즉, 진실에 대한 ‘예스’는 진실을 위해 거짓말하도록 우리를 강제하고, 싸움에 대한 예스는 도망치도록 우리를 강제한다. 간단히 말해서, 규칙에 대한 예스는 우리를 규칙의 정초적인 예외로 데려간다. 브레히트 자신이 다음과 같이 말하듯이

    공산주의를 위해 싸우는 자는 싸울 수 있으면서 싸우지 않을 수 있어야만 한다. 진실을 말하면서 진실을 말하지 않을 수 있어야 하고, 약속을 지키면서 약속을 지키지 않을 수 있어야 하며, 위험 속으로 뛰어들면서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어야 하고, 인정받을 수 있으면서 인정받지 않을 수 있어야 한다. 공산주의를 위해 싸우는 자는 모든 미덕을 갖춘 유일한 사람이다. 즉, 그는 공산주의를 위해 싸운다는 것.

 주체는 윤리적 의무에 반대해서가 아니라 그것의 궁극적인 완수로서 출현하는 이 보편적인 것의 ‘주름ply’이 존재하는 한에서만 ‘존재한다.’ 다르게 말하자면, 브레히트가 목표하고 있는 것은 우리로 하여금 우리의 이해 관계를 따르도록, 진실이 아프게 하지 않을 때 진실을 말하도록, 거짓말이 우리에게 이득을 줄 때 거짓말을 하도록 강제하는 표준적인 기회주의적 태도가 아니라, 윤리학의 내재적인 자기-부정, 즉 윤리적 보편성을 중지시키는 윤리적 명령이다. 거절이 현저하게 현대적인 현상인 것은 바로 이 ‘윤리적인 것의 중지,’ 명예와 윤리 간의 이 분열(불명예스럽게 행동하라는 윤리적 명령)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브레히트가 우리는 혁명에 대해 예스라고 말하면서 ‘자신의 얼굴을 감추고,’ ‘당신이 더 이상 당신 자신이 아닌’ 상태를 성취해야만 한다고 단언할 때, 여기서 우리가 갖게 되는 것은 대의를 위한 자기-말소 self-obliteration 라는 통상적인 윤리학이 아닌 것이다. 우리는, 말하자면 또 다른 나사를 돌려 말소 자체를 말소해야만 한다. 즉 자기-희생의 감상적인 몸짓으로서의 말소를 폐기해야만 한다. 이 보충적인 포기가 라캉이 ‘주체적 궁핍 destitution subjective’이라고 불렀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