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촛불집회 사진.
5월 31일 나는 대학로 – 광화문 – 서대문 – 사직터널 – 삼청각의 경로로 일행을 따라 다녔고 다음날 새벽 처음으로 물대포를 봤다.

낮 12시쯤 대학로 주변 골목길을 산책하고 마로니에 공원에서 대학생들의 집회에 참석한 후 일행을 따라 시청 광장으로 행진.
시청 광장부터 광화문까지 그 일대를 가득 메운 시민들에게 청운동에 일부 촛불집회 참여 학생들이 연행됐다는 소식이 들리고, 이에 흥분한 시민들이 청운동과 청와대 방면으로 행진 시작.
나는 이 때 가장 후미에 있었고 그 위치를 유지하고 싶었지만 갑자기 행진 방향이 반대로 바뀌어 중앙일보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
중앙일보 사옥 근방에서 나는 얼떨결에 가장 선두에 있게 됐는데, 이 때 깃발을 든 일행이 갑자기 소리를 지르며 달리기 시작.
나는 무슨 영문인지 모르고 함께 달리기 시작했는데, 그 달리기가 서대문 – 사직터널 – 경희궁의 아침을 지나 다시 광화문에 이르기까지 멈추지 않았다.
독립문 근처에서부터 전경들과 몇 미터 사이에 두고 추격전이 벌어졌고 순간적으로 여러 갈래로 흩어진 시위대는 당황한 경찰을 따돌리고 다시 광화문으로 집결.
상황은 이미 청운동, 삼청각, 효자동 세 지점까지 시위대가 진출하는 데 이르렀고 각 지점에서 청와대까지 진출하려는 시위대와 전경이 대치하게 됐다.
나는 삼청각 지점에 있었는데 또 얼떨결에 떠밀려 대치점 바로 앞에 섰다.
(전방에서 물러 나오는 여성들이 바로 내 앞에서 흥분하며 남자들이 뭐 하냐고, 앞에 나가 저 전경들 좀 밀어 보라고 질책하기에 나는 전방 투입을 거부할 수 없었다 ㅠ.ㅠ)
나름대로 전경들을 있는 힘껏 밀어 보려 했던 나는 오히려 시민과 전경 사이에 끼어 압사 당할 위기까지 몰려서야 잠시 빠져 나올 수 있었다.
바로 그 때 물대포가 발사되기 시작, 바로 앞에 있던 나는 오히려 다행히 물대포를 맞지는 않았고 경복궁 입구 쪽에서 만화책을 태워 손발을 말리는 일행들의 농담 따먹기를 관전하며 즐거워 했다.
잠시 후 소식을 듣고 찾아 온 사진동호회 친구와 형을 맞으러 뒤로 물러났을 때 나는 놀랐다.
대치 국면의 전방은 그토록 치열했지만 후방은 토론하고 담소를 나누는 친구들, 연인들이 평화로운 해방구를 즐기고 있었다.
나는 바로 그 장면이 감동적이었다.
(필름이 떨어져 그 장면을 찍을 수 없었던 것이 후회된다.)
새벽 다섯 시 경까지 동호회 사람과 대화를 나누다 체력이 소진한 나는 집으로 돌아왔고, 그 때쯤 결찰이 강제 진압에 들어갔다는 소식을 접했다.
많은 가능성이 있었고 흥분하고 감동적이었지만 그만큼 한계도 많았던 시간.
(마지막 사진 세 개는 2008년 6월 10일)


(순서대로) α-7, Ilford Delta 100, APX 400, Proimage 100 / T2, Porta 160VC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101&articleId=1734456



나는 이 분 의견에 공감하는 쪽이다.
시민들이 외치는 ‘민주주의’를 좀더 구체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고 본다.
나는 사실 지금 시민들이 외치는 ‘민주주의’가 이명박에 대한 적대감 이상, 이하도 아니라면 안된다고 생각한다.
(이 상황이 이명박이 물러나거나 굴복하면, 한나라당이 몰락하면, 조중동이 폐간되면 해결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오산이다. 요즘 노무현을 그리워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제 2의 노무현이 나타나도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노무현 역시 경제적으로는 비민주적이었다. 오늘 있었던 재보궐선거에서 비겁한 무소속과 민주당이 휩쓴 것을 보면 시민들의 문제의식이 어디에 닿아있는지 아리송해진다. 물론 일반 시민의 눈에 합당한 대안이 없어 보이기는 하겠지만 말이다.)
이 민주주의라는 구호는 각자가 처한 비민주적인 상황에 대입되어야 한다.
사회 양극화, 비정규직 문제, 갑과 을의 노예관계, 세대간 불평등, 88만원 세대, 경쟁 일변도의 교육 등 각자가 처한 문제에 이 ‘민주주의’를 대입해야 한다.
그래서 각자의 민주주의에 관한 절박한 문제들을 이 해방구적 공간에 쏟아내야 한다.
이미 촛불집회는 광우병만의 문제가 아니게 됐다.
이명박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 총체에 대한 거부와 불복종 운동의 성격을 보이고 있다.
달리 말하면 각자가 처한 지금의 상황에 대한 불만의 폭발이라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 불만을 더 구체화하고 동시다발적으로 쏟아내야 한다.
(그리고 점점 그럴 만한 타이밍이 되고 있다.)
이명박 정부와의 대치 그 이후, 만일 시민이 승리한다면 그 순간 쏟아놓은 문제들에 대한 전격적인 해결을 요구해야 한다.
그래서 10대는 대학 서열 폐지, 평준화를, 20대는 실업문제 해결과 비정규직 철폐를, 30대 이상은 양극화 해소와 갑과 을의 불평등 해소(대기업-중소기업 불균형 해소)를 성취하고…그래서 승자독식 사회로 폭주하는 기관차를 멈춰 세워야 한다.
프랑스 68혁명을 의식하는 건지는 모르겠지만, 이 놀라운 해방구에서 한국사회의 절박한 문제들을 다루지 않고 넘어간다면 더 이상의 기회와 가능성은 없을지도 모른다.
촛불의 외침은 더 다양하고 구체화되어야 한다.

내용 보충 : 글 읽고 바로 드는 생각 갈겼더니 몇 개 빠뜨린 게 았다. 위 글을 쓴 사람은 지금 촛불을 든 시민들을 다중이라고 보고 있다. 다중은 자율적이지만 이질적이고, 이들을 지금 묶어 주고 있는 것은 ‘광우병’과 ‘이명박의 비민주적 독선’이다. 이 핫이슈로 묶여 있지만 사실 이들은 각기 절박한 이유로 거리에 나왔다. 과연 이들 각자의 불만이 이 촛불의 거리에서 다루어질 수 있을 것인가. 그래서 그들 각자의 절박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인가. 이 부분에 대한 회의가 든다는 말인 것 같다. (어쩌면 촛불을 든 시민들은 한국사회에서 다중의 역할과 의미를 묻는 가장 상징적인 사례가 될지도…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