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어질 결심>

해준이 한 말은 정말 서래를 사랑한다는 뜻이었을까. 서래는 그렇게 확신하고 해준은 이를 부인한다. 그 말은 해준이 서래 남편 사망 사건을 종결하고 나서 뒤늦게 서래의 혐의점을 발견하고 서래를 찾아와 한 말이었다. 해준은 자신이 서래에게 빠져 서래의 혐의를 지우는 일을 도와 수사를 망쳤고, 그로 인해 붕괴됐으며, 증거가 될 핸드폰은 바다 깊이 버리라고 한다. 해준은 이 때 수사를 망친 자신을 책망하고 한탄하고 싶었던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서래는 이 말이야말로 해준이 자신을 사랑한다는 것의 통렬한 고백이라고 받아들인다. 해준 자신은 모르는, 자기 말에 담긴 의도 이상의 진실을 서래는 알아차린 것이다. 그렇게 직업 윤리를 저버리고 수사를 망친 이 사태가 모두 서래 자신을 사랑하기 때문이라는 것, 그리고 사랑은 주체의 빈틈을 넓히고 붕괴시킨다는 깨달음까지, 서래는 해준의 말에서 은폐된 사랑의 층위를 발굴해 낸다.

그리고 서래는 해준의 그 억압된 본심에 모든 것을 건다. 나는 서래의 이 태도가 <헤어질 결심>이라는 영화를 성립시킨다고 생각한다. 서래가 사랑에 대해 취하는 방식, 이를테면 해준의 말과 행동을 반영하고 재구성하려는 시도들, 해준을 안심시키고 불안하게 만드는 전략, 그리고 서로를 결속시키기 위해 전부를 거는 선택 같은 것들이 이 영화의 결을 조건 짓는 것처럼 보인다. 그 결은 과잉되었고 동시에 숭고하다.

그러나 나는 서래로부터 분출되는 멜로적 세계의 숭고함에 충분히 빠져 들지 못하는 것 같다. 무언가로부터 방해받는 느낌이라고 해도 될까. 이에 대해 나는 충분히 말할 자신이 없다. 다만 영화가 서래와 해준을 둘러싼 세계에 침잠하도록 가만 두지 않는 것 같다고 말해야 할 것 같다. 달리 말하면 이 영화는 스타일과 서사의 표층부터 심층까지 해석해야 할 정보가 과잉되어 있는 것처럼 느껴져서 서래와 해준의 감정에 집중할 수 없는 것이다. 정보가 차고 넘쳐서 감각 과부하 상태에 빠지는 것 같다고 말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이미지나 사운드를 겹치지 않고 플롯의 구획을 정돈하거나, 카메라-스크린의 망막적 층위를 가시화하는 것을 자제했으면 어땠을까. 또는 초점을 활용한 광학적 수사학이나 표현주의적 미술과 조명의 즐거움을 조금만 드러냈다면……등. 그러니까 나는 이 영화를 보고 다른 영화를 상상하게 된다. 서래와 해준에게는 수사적 소거법이 적용된 영화가 필요하지 않았을까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그랬다면 박찬욱의 영화가 아닐 것이다. 영화를 이루는 모든 요소가 각자 할 수 있는 최대의 수사를 발휘한다고 느끼는 충만감이 박찬욱 영화의 핵심 같기 때문이다.

나는 이 영화에 대해 어떤 지점에서 말하더라도 그것은 너무나 부족한 설명처럼 보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어떤 설명도 존재를 포섭하지 못한다. 그러나 그 자체로 너무도 충만하기 때문에 어떤 말도 더할 필요가 없는 것처럼 보이는 존재라면. 나는 이 영화가 그런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의문을 놓지 못하는 것이다. 서래와 해준의 사랑이 지닌 과잉된 숭고의 가능성이 이 영화의 공백 없는 충만한 세계에서는 영속하지 못할 것만 같아 푸념을 하는 중이다. 과소의 결핍된 세계에 그들의 자리가 있을 것만 같아서.

댓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