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shoot pictures…
사진 찍기.
사진을 찍는다는 것은 시간 속에서 이루어지는 행위이다.
시간 속의 뭔가를 도려내 다른 형태로 지속될 수 있도록 전이시키는 것이다.
사람들은 시간으로부터 도려낸 그 무엇이
카메라 ‘앞’에 놓여 있다고 여긴다.
그렇지 않다.
사진 찍기는 양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행위다.
하나는 앞에서, 또 하나는 뒤에서.
그렇다. ‘뒤’와도 상관이 있다.
이러한 비유는 그렇게 어려운 얘기가 아니다.
마치 사냥꾼이 눈’앞’의 맹수를 향해 총을 겨누고 방아쇠를 당기듯,
총알이 발사되는 순간, 반동으로 몸이 ‘뒤’로 밀려나듯,
사진을 찍는 사람 역시 셔터를 누르는 순간, ‘뒤’로 튕겨 나간다.
자기 자신을 향해서 말이다.
그래서 한 장의 사진은 언제나 이중적인 상을 갖게 된다.
사진은 찍히는 피사체를 보여주게 마련이지만,
다른 한편으론 ‘그 뒤에 있는 것’도 보여준다.그것이 바로 ‘대립상’이다.
촬영하는 순간 사진을 찍는 사람 즉, 자신의 상 말이다.
모든 사진 속에 담겨 있는 이 대립상은 렌즈로 포착할 수 없다.
사냥꾼은 자신이 쏜 총알에 맞지 않는다.
하지만 반동의 충격을 느낀다.
그렇다면 사진을 찍는 행위에서 이 ‘반동’이란 무엇일까?
반동을 어떻게 느끼고, 사진 속에 묘사할 수 있을까?
사진 속에 반동은 어떻게 투영될까?독일어에는 이런 상황을 적절히 표현할 수 있는 단어가 있다.
매우 다양한 관계 속에서 터득할 수 있는 단어.
‘태도 혹은 관점 Einstellung’이다.
이 단어는 심리적, 도덕적으로 ‘어떤 대상을 대하는 고정된 상태’를 말한다.
또한 뭔가를 위해 준비하고 그것을 ‘받아들이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사진이나 영화에선 영상의 배치, 세팅
(뷰파인더의 테두리 안 알맞은 위치에 피사체를 두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가 하면 사진가가 피사체를 ‘받아들이는’
순간의 노출값과 셔터 속도를 의미하기도 한다.
하나의 단어가 ‘태도’를 뜻하면서
한편으론 태도에 의해 생산된 상을 의미하기도 한다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모든 ‘태도'(즉, 모든 영상)는 실제로
이러한 영상이 ‘받아들여지도록’ 만든 관점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사냥꾼이 느끼는 반동은 사진에서,
셔터를 누른 뒤 어느 정도 가시화되는 사진가의 자화상에 해당한다.
사진가의 얼굴 표정이 포착되는 것이 아니라 관점,
눈앞의 피사체에 대한 사진가의 태도가 반영되는 것이다.카메라는 일종의 눈이다.
그것도 앞뒤를 동시에 볼 수 있는 눈.
앞으로는 사진을 찍고,
뒤로는 사진을 찍고 있는 사람의 영혼으로부터
그림자 같은 윤곽을 그려낸다.
그렇다. 앞으로는 피사체를 바라보면서,
뒤로는 이 피사체를 포착해야 하는 그 근거를 바라본다.
카메라는 사물들과 동시에 그 사물들을 향한 (사진가의) 바람을
보여주는 셈이다.매순간, 이 세상 어딘가에선
누군가 셔터를 누르며
뭔가를 포착하고 있다.
왜냐하면 그 누군가는
특정한 빛에,
어떤 얼굴에,
어떤 제스처에,
어떤 풍경에,
어떤 기분에
매료됐기 때문이다.
혹은 그저 단순히 어떤 상황을 잡아두고 싶기 때문이다.
사진의 피사체는 명백하게 드러나 있고, 수없이 널려 있다.
매순간 끊임없이 늘어난다.
하지만 이 세상 어딘가에서 누군가 사진을 찍을 때,
그 순간은 모두 일회적이며 고유하다.
시간이, 멈추지 않는 시간이 그 일회성과 고유성을 보장한다.
심지어 수많은 관광객들이 찍어대는 스냅 샷 역시
그들 각자에게는 고유하고 유일무이한 것이다.
관광객들이 흔하디 흔한 스냅 샷을 찍는
가장 진부하고 단순한 그 순간들 역시
유일무이하고 결코 되돌릴 수 없는 시간이다.
이때 정말 놀라운 것은 흔히 사람들이 말하듯
‘시간을 붙잡았다’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사진을 통해 매번 시간은 멈추지 않고, 지속적으로 흐른다는 점이
새로이 증명된다는 데 있다.
모든 사진은 우리 자신의 유한함을 상기시키는 하나의 기억이다.
모든 사진은 삶과 죽음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포착된 모든 영상은 고귀한 아우라를 지니고 있고,
사진을 찍는 이의 시선 그 이상의 것이며
인간의 능력을 넘어선다.
말하자면, 모든 사진은 시간의 저편에서, 신의 시야 밖에서
이루어지는 창조행위다.
또한, 점점 잊혀 가는 신의 계명을 떠올리게 한다.
“너의 우상을 만들지 말지어다…”사진을 찍는다는 것은,
좀 더 정확히 말해서 사진을 찍어도 되는 것은,
‘진실이라고 하기엔 너무 아름다운 것’이다.
동시에 그것은 아름답다고 하기엔 지나치게 진실한 행위다.
사진을 찍는다는 것은 또한 언제나 교만하고 무례한 행위다.
그래서 사진 찍기는 상당히 빠른 속도로
무절제함을 가르치고 겸손함을 잃게 만든다.
(그래서 사람들은 ‘태도 혹은 관점’이란 말을 겸손함보다 허풍으로 더 많이 이해하게 된다.)카메라를 양쪽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앞으로, 뒤로.
그러면 카메라는 두 개의 상을 하나로 융합시킨다.
그러면 ‘뒤’가 ‘앞’에서 사라진다.
그러면 카메라는 촬영을 하는 그 순간 비로소,
사진가가 피사체와 분리되지 않는 것을 허락한다.
이때 사진가는 ‘뷰파인더’를 관통하여 자신으로부터 빠져나와
세상의 ‘다른 면’으로 나아갈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더 잘 기억하고,
더 잘 이해하고,
더 잘 보고,
더 잘 듣고,
더 많이 사랑하게 된다.
(물론, 유감스럽지만 더 많은 경멸을 담게 될 수도 있다. ‘악한 시선’도 존재하는 법이니까.)세상의 모든 사진, 시간 속의 모든 ‘한 번은(once)’,
한 편의 이야기가 시작되는 순간이기도 하다.
‘원스 어폰 어 타임’으로 시작되는 이야기.
모든 사진은 한 편의 영화를 시작하는 첫 장면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다음 순간이 찾아오고,
두 번째 셔터를 누르는 순간 몇 걸음 더 나아가고,
다음 사진이 이어지면서,
고유한 공간, 고유한 시간을 가진 이야기로 발전한다.
시간이 흐를수록 나에게, 사진 찍기와 나의 사진들은 점점 더
‘이야기를 감지하게 해주는 것’이 됐다.
이 책에 한 장 한 장의 사진보다 시리즈 사진들이 더 많이 들어간 이유다.
두 번째 사진부터는 이미 ‘몽타주’가 시작되어,
독자적인 방향으로 이야기가 흘러가면서
치밀한 공간감과 시간감각을 느끼게 해주며,
첫 번째 사진에서 예고된 이야기가 발전해나간다.
가끔은 새로운 인물이 등장하기도 하고,
때로는 주인공인 줄 알았던 인물이 조연에 지나지 않았단
사실을 알려주기도 하고,
어떨 땐 중심이 인물이 아니라 하나의 풍경이었단 사실이
밝혀지기도 한다.나는 풍경이 지닌 서사의 힘을 굳게 믿는다.
도시, 황야, 아니면 산맥, 혹은 바닷가든
풍경들은 ‘자신들의 이야기’를 외치고 있다.
풍경이 주인공이 되고, 그 속에 서 있는 사람들은 엑스트라가 된다.
마찬가지로 난 소품들이 품고 있는 서사의 힘도 굳게 믿는다.
사진 속 한쪽 구석에 무심하게 펼쳐져 있는 신문은
그 어떤 이야기도 들려줄 수 있다!
배경 속에 보이는 광고판도!
사진 모서리에 살짝 잘려나간 모습으로 서 있는 녹슨 자동차!
누군가 방금 벌떡 일어선 게 분명해 보이는 의자 하나!
탁자 위에 펼쳐져 있는 책, 제목이 절반쯤 보이는 책 한 권!
보도블록 위에 버려진 텅 빈 담뱃갑!
아직 스푼이 들어 있는 커피 잔!
사진 속에서 사물들은 즐거워 보일 수도, 슬퍼 보일 수도 있다.
심지어 우스워 보이거나, 비극적으로 보일 수도 있다.홀로 남겨진 옷들도 마찬가지다.
많은 사진에서 옷은 가장 흥미진진한 소재다.
어린아이의 발목에서 흘러내리고 있는 양말 한 짝!
뒤에서만 눈치챌 수 있는, 남자의 셔츠 칼라가 살짝 뒤집어져 있는 모습!
땀으로 얼룩진 옷!
옷에 진 주름들!
해진 부분에 헝겊을 대고 꿰맨 옷!
단추가 떨어진 옷!
방금 다림질을 한 옷!
한 여인의 인생사를 축약해서 보여주는, 고통스런 역사가 담겨 있는 옷!
한 사람의 인생 드라마가 그대로 묻어나는 외투!
옷은 사진 속의 온도를, 날짜와 시간을, 전시인지 평화로운 시절인지
모든 것을 말해준다.이 모든 일이 카메라 앞에서 단 ‘한 번’ 일어난다.
사진은 이 단 한 번에서 영원을 만들어낸다.
사진을 통해 시간이 비로소 가시화되는 것이다.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 사이에서,
만약 이 두 장의 사진이 없었다면 영원이 잊힐 수도 있던
한 편의 이야기가 태어난다.사진을 찍는 순간 우리가 세상 속으로 사물들 속으로 사라지려 할 때,
세상과 사물들은 사진에서 빠져나와
사진을 바라보는 관찰자를 파고들어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야기는 ‘그곳’에서 시작된다.
바로 관찰자의 두 눈 속에서 말이다.이 책이 그런 이야기책이 되기를 바란다.
빔 벤더스 <한 번은(Wim Wenders ‘einmal’)> 서문 ‘To shoot pictures’ 발췌
아직은 아니지만,
독자들이 ‘보이는 것’에게 이야기를 ‘듣고’ 싶어 한다면
그런 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