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을 앞둔 지난 주 어느 학생이 내 교재를 훔쳐갔다. 내 눈앞에서 벌이진 일이지만 정말 믿기지 않는다. 이 사건을 말하기 전에 지난 학기의 사건을 먼저 얘기해야겠다.

교양 과목을 가르치는 신촌 부근의 어느 대학에서 일어난 일이다. 황당하게도, 출석을 부르고 나면 학생들이 휭하니 나가버리는 것이었다.
출석을 부르기 위해 고개를 숙일 때 빠르게 움직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모욕감과 당혹감 때문에 일일이 대응하기가 힘들었다. 속은 부글부글 끓어도 참는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어느 날은 이래서는 안되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하필 그날 왜 ‘대학을 살려야 한다’는 어처구니없는 찰나의 결심을 했는지 나도 알 수가 없다. 한 명이 나가고 나서 또 한 명이 앞문으로 나가는 순간이었다. “야, 서!” 그 학생은 더 빠르게 문을 통과하였다.

나는 마이크를 던지고 도망치는 학생을 뒤쫓아 뛰었다. 2층 강의실을 나와서 아래를 보니 그가 건물을 빠져나가는 것이 보였다. “그래, 저 정도 거리라면 잡을 수 있다. 내가 얼마나 산에서 단련된 몸인데…” 그런데 왜 하필이면 그날 따라 넥타이를 메고 불편한 구두를 신었는지, 여하튼 그 학생과 옆으로 3미터 정도의 거리를 띄운 채 뛰었다.그는 건물 서너개를 지나 어느 건물로 들어서서 주위를 두리번거리더니 숨을 고르며 걸었다. 나는 다가가서 그 학생의 팔짱을 끼었다. 새하얘진 얼굴은 보기가 안쓰러웠다.

“가자, 공부하러…” 그러고는 강의실로 압송하였다. 호기심과 긴장으로 가득찬 강의실은 여기저기서 가벼운 탄식들이 터져나왔다. 그의 이름을 확인하고 나니 그는 자리에 가서 앉았다. 나는 나가라고 하였다. 그러고는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강의를 진행하였다. 하지만 내 마음도 정상일 수가 없었다. 간신히 강의를 20분 가량 하고 난 후, 체포 작전의 과정을 설명해주니 학생들은 크게 소리를 내며 웃었다. 나는 이렇게 말했다. 여러분들은 정말 싸가지없다, 하지만 여러분들을 그렇게 만든 이 사회의 기성인으로서 또 대학에서 가르치는 사람의 한 명으로 미안하게 생각한다는 말을 덧붙였다. 이후 그런 위험한 탈출을 감행하는 학생은 없었다.

점점 강의실에 들어가는 일이 힘들어진다. 나는 대학생들의 목줄 근육 중 한 줄기를 움켜쥐고 있는 전임 교수가 여전히 아니다. 시간 강의를 하고 있는 나는 그들의 목줄 근육 한 오라기에 살풋이 손을 대고 있을 뿐이다. 그마저도 그 학기에만 힘을 쓸 수 있는 한시적인 것이지만. 대학에서 가르치는 사람들끼리 만난 저녁 자리에서 “내일 수업이 있어서 일찍 들어가야…” 하다가는 당장 비웃음을 산다. 자기가 얼마나 준비를 한답시고 티를 내느냐는 힐난이라기보다는, 요즘 대학 뻔한데 낡아빠진 수법 쓰지 말라는 비아냥이다.

물론 선생마다 다르고 과목마다 다르겠지만, 교수가 강의 준비를 많이 해가면 대학생들은 싫어한다. [교수신문](177호)에는 [워싱턴 포스트]에 실린 미국 대학교육의 실상을 탄식하는 한 미국 교수의 글을 요약하였는데, 대충 이렇다.

미국의 대학생들은 쉽게 가르치면서도 상냥한 교수, 수강하기 수월한 과목, 공정한 학점을 주는 교수를 선호한다고 한다. 만약 까다롭게 가르치면서 학점마저 짜게 주면 당장 ‘기피인물 1호’로 낙인찍힌다고 한다. 학생들에게 수강 부담율을 10% 올렸을 경우, 학생들의 교수에 대한 강의 평가는 5% 가량 낮아진다고 한다. ‘강의에 물을 타야만’ 지위를 유지할 수 있는 미국 대학 교수의 실태는 실제 연구 조사에서 확인된 것이다. 미국만 그런 것이 아니다. 한국 대학의 경우에는 그러한 문제가 다른 문제들과 얽히고 설켜서 복합적으로 농축되어 있다. 한국 대학의 문제는 대학 건물에 박혀있는 못 숫자만큼이나 많을 것이다.

나는 결코 “요즘 대학생…”하며 싸잡아 비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지난주에 인터넷 한겨레에 실린 ‘학점에 혈안이 된 대학생’이라는 글을 읽으면서도 “아닐 것이다. 전부 다는 아닐 것이다.”라는 말로 스스로를 위로했다. 직접 확인한 것은 아니지만, 피라미드 안에도 그 시절의 낙서 중엔 “요즘 젊은것들은 안된다.”는 투의 말이 적혀 있다고 하지 않는가? 하지만 지난 학기와 이번 학기를 거치면서 나는 점점 의욕을 잃어가고 있다. 강의를 하면 할수록 실력이 떨어진다는 느낌이 들고, 내가 낑낑대며 공부하는 것은 강의실에서 펼치지도 못한다.

아무튼 그 일은 나에게 반성의 계기가 되었다. 교양과목이라고 소홀히 한 것은 없는지, 소수의 작태를 핑계로 나의 게으름을 합리화하지는 않았는지. 그래서 이번 학기는 쉽고 친절하게 그리고 열심히 강의에 임했다. 그러니 강의가 덜 힘들었다. 그러나 친절이 너무 지나쳤던가?

이번 사건 역시 같은 대학이었다. 첫 시간에 지난 학기의 사례를 소개하면서 강의 계획과 함께 몇 가지 주의 사항, 예컨대 모든 통신기기의 전원을 꺼야 한다, 제발 문자 메시지 받고 보내는 일들을 하지 마라 등을 주지시켰다. 말하자면 지겹게 괴롭히지는 않을테니 제발 규칙을 지키면서 공정한 게임을 하자는 애원이었다. 또 교무처에 부탁을 하여 수강 인원이 백 명이 넘지 않도록 제한을 했다. 한 달을 넘기자 이제 강의실이 완전히 장악이 되었다. 학생들도 편법은 아예 포기하고, 그냥 열심히 듣자고 작정을 한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다시 사건은 터졌다. 5/6교시의 강의를 마치고 7/8교시가 시작되기 전에 담배를 피우기 위해 잠깐 자리를 비우고 돌아와보니 출석부와 함께 교탁에 뒀던 내 교재가 사라진 것이었다. 휴식없이 강의하고 그만큼 일찍 끝내는 수업인지라, 강의실이 완전히 빈 것을 확인하고 나갔고, 또 들어와서 보니 다음 강의를 듣는 학생 서너명만 있는 상태에서 책이 없어진 것이었다.

평가의 객관성을 위해서 70퍼센트 정도의 단답형 문제를 내겠다고 미리 친절하게 말해줬던 것이 화근이었다. 학점에는 관심이 많지만 강의 시간에 딴 일을 했던 학생이 책에 쓰여졌을 메모와 밑줄을 참고하려고 가져 간 것이 분명했다. 그것도 내가 화장실이라도 갈 것이라는 예상을 하고 잠복을 했던 것이다. 그 가증스러운 행위가 계획적으로 일어났다는 생각에 나는 잠을 설쳤다. 하지만 나는 결코 낙담하지 않을 것이다. 대학생에 대해 신뢰도 기대도 하지 않는 대신에 나와 똑같은 사람으로서의 젊은이들에 대한 신뢰와 기대는 저버리지 말자는 생각 때문이다. 어쩌면 이것은 대학의 존립 근거가 무너지고 있다는 것을 알리는 작은 예에 불과할지 모르겠다.

자본주의 사회의 대학은 언제부터인가 그 사회가 요구하는 지배적 가치관과 표준적 행동 양식 그리고 역할 수행을 위한 기능 교육을 받는 곳으로 자리매김되었다. 안정적이거나 지배 권력의 이데올로기가 굳건하게 자리를 잡고 있는 사회라면 대학의 그런 기능에 대한 의문이나 저항은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한국 사회는 모두가 알다시피 얼마나 부도덕하고, 비능률적이며 게다가 폭력적인가? 그래서 나는 대학생들이 대학의 권위와 체계를 부정하는 것을 부정할 수만은 없다. 언젠가는 학문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아카데미가 생겨날 것이고, 지금의 대학은 이상한 형태로 자리를 잡을 것이다. 옛날 사진관들이 간이 현상소로 바뀐 것처럼 말이다. 그렇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나는 내 책을 훔쳐간 그 학생의 민첩한 이기심과 대담한 승부욕을 용서할 수 없다.

같은 강의를 듣는 몇 학생들이 메일을 보내왔다. “너무 슬퍼마세요. 우리들은 그렇지 않습니다.” 그래, 이것이 바로 남루한 계몽주의자의 운명이다. 슬퍼하지 말자.

초청칼럼니스트 이효인nalkal@hani.co.kr/사회문화비평웹진
[자객]www.kofilm.com편집장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