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무단으로 복사하여 올린 것입니다. 문제가 되면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군대를 가지 않기 위해서는 여러 방법이 있다고 한다. 어느 웹 사이트에서 본 것인데 그다지 신통한 것은 아니다. 오른쪽 검지를 자르는 우수 단지술, 오른쪽 어깨를 빼는 우견 탈골술, 척추 디스크 하나를 빼는 척추 탈판술, 여군과 결혼하여 면제받는 여군 유혹술, 여동생이나 누나를 군에 입대시키는 여제 권유술, 염색체 중 하나를 빼거나 더하는 염색체 변형술, 애 셋을 한 번에 낳는 일발 삼득술, 밀링머신으로 발바닥을 평평하게 깎는 평족 조작술, 시력 약화술, 국부 절단술 등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 모든 방법은 원상회복이 안 되거나 여형제들로부터 맞아 죽을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사실 이 모든 것들보다 더 확실한 것은 백과 돈이다. 이것은 최근 병무청비리 사건에서 드러난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이다. 과거 내가 징집 연령이었을 때는 참 미련한 방법들이 많았다. 살찌우기 혹은정반대로 굶어서 체중 초과 혹은 미달로 징집을 피해가는 것이다. 내 주변에서도 이 방법을 더러 사용했었다. 대부분 실패했지만 그래도 몇몇은 성공하는 것도 봤다. 어떤 미련한 놈은 신체검사 전날 잉크를 마시면 폐를 찍은 엑스레이 필름이 시커멓게 나와서 면제될 수 있다면서 통째로 잉크를 두 병이나 마셨다. 당연히 그 녀석은 복통과 설사로 고생은 고생대로 하고 군대는 군대대로 끌려갔다. 또 몇 달 전부터 목욕을 하지 않은 채 검사를 가서 암내로 면제받으려고 시도하거나 굉장히 무리한 운동을 해서 허리를 다치는 자해술을 강행하는 녀석도 있었다. 그런데 아직까지도 군대를 안 가려고 꾀를 부리는 젊은이들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나는 참 실망했다. 요즘 군대야 먹을 것도 잘 주고 시설도 좋고 웬만해서는 패지도 않는다던데. 게다가 북한이 언제 쳐들어올지 모르는데 징집을 거부한다는 것이 말이나 되는 소린가? 군대 가 있는 동안 집안 식량 축내지 않고 용돈 안 쓰는 것만 해도 얼마나 기특한 일인가? 얼마 안 되지만 그래도 평생 처음으로 국가기관에서 주는 월급도 받겠다, 운 좋으면 군인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할 수도 있고, 재워주겠다, 입혀주겠다 뭐가 불만인가? 또 삽질, 망치질, 미션 하우스 등 평소에 형광등 하나 못 갈아 끼우던 팔불출에서 전문 생활인으로 거듭날 수 있는 기회이지 않은가? 사실 군대 가서 규칙적으로 생활하고 훈련받은 후 고질병 고쳐 나오는 사람도 많이 봤다. 이건 군대가 아니라 국립 기도원이다. 또 공짜 여행에 가까운 훈련은 얼마나 보람찬가? 명산을 감상하며 땀을 흘리고 몸과 마음을 갈고 닦는 군생활을 하다 보면 저절로 산행의 맛을 익혀 평생 등산이라는 건전한 취미활동을 할 수도 있다. 또 이런 생활의 와중에 평생토록 기억할 아름답고 용감한 추억도 지닐 수 있다. 제대 군인들이 들고 나오는 앨범은 그 시절의 추억이 못내 그리워 졸병들을 들볶으며 만든, 이름하여 ‘추억록’이라는 것이다. 군대 갔다 온 한국 남자들의 90% 이상은 군대생활을 통해 자신의 저서 또한 갖게 된다. 이 얼마나 복된 일인가? 나야 게을러서 추억록을 만들지는 않았지만 나에게도 자랑스런 군대 시절의 추억이 있다. 제대를 위해 휴양소에 가기 전날 벌어진 축구시합에서 세 골이나 넣은 것이 바로 그것이다. 그날 따라 이상하게 상대측 수비들이 걸핏하면 넘어지거나 내가 오른쪽에서 돌진하면 왼쪽으로 뛰어갔고, 골키퍼는 눈이 삐었는지 엉뚱한 쪽으로 손을 좍좍 뻗기만 했던 덕분이었다. 하지만 이 모든 것들보다 더 긍정적인 현상은 군대를 갔다 와야 ‘사람이 된다’는 점이다. 군대를 갔다온 사람들의 공통점은 기상 시간이 빠르다. 적어도 3일 혹은 한 달간은 예닐곱 시에 기상을 해서 이부자리를 정돈하고 세면을 하고새벽 공기를 쐬며 운기(運氣) 및 운동을 한다. 걸음걸이도 단정하며, 자기보다 나이 많은 사람이 질문을 하면 큰 소리로 절도 있게 “네, 그렇습니다”라고 대답한다. 대학생이었다면 복학을 해서 수강과목만으로는 성에 차지 않아 영어회화, 토익, 중국어 등 세계시민이 되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는다. 이제 여자를 사귀어도 강제로 헤어져 고무신 거꾸로 신는 여자를 만날 일은 없다. 특히 예비군복을 입으면 또 얼마나 근사한가. 훈련이 끝나면 사나이답게 말술을 마시며 군시절의 추억 특히 구타, 항명, 훈련, 축구 등을 화제로 이야기꽃을 피울 수 있다. 술집을 나와 군복을 풀어헤치고 전봇대에 오줌을 누더라도 행인들은 그것을 결코 불쾌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왜? 자신들을 지키기 위해 밤낮으로 애썼던 ‘군인 장병 여러분’이기 때문이다. 사실 겉으로 내색은 안하지만 나는 군대를 면제받은 사람들을 경멸한다. 친구처럼 지내기는 하지만 사실 동등한 인간으로 취급당하는 것이 불쾌하다. 그래도 방위 출신들은 군대 맛이라도 봤으니까 어느 정도는 인정할 수 있다. 하지만 그래도 방위는 방위다. 이렇게 말하다보니 뭔가 찔리는것이 없잖아 있다. 사실은 나 역시 군대 가는 것이 끔찍하게 싫었고, 지금도 군대 갔다 온 것이 가끔은 창피하기 때문이다. 내가 입대할 당시 나의 친구들은 거의 모두 감옥에 있었다. 구차한 얘기지만, 조직의 엄명에 의해 후배 관리라는 명목으로 ‘디D를 칠때’ 빠졌는데, 그것이 영원히 나를 군필자로 만들고 말았다. 내가 여전히 만나는 대학 동문 중에 군대 갔다 온 사람은 나밖에 없다. 또 내 고향친구들 그룹 중에도 군대 갔다 온 녀석들은 거의 없다. 그들 역시 신의 아들도 아니며 가진 것이라곤 두 쪽밖에 없는 친구들이었다. 그런데 문제는 그 병역 미필의 친구들이 미필이라는 사실을 너무나 떳떳하게 여기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군필자들을 (마음속으로는) 경멸한다는 사실이다. 심지어 방위 출신들까지. 게다가 아름다운 청춘 시절의 얘기가 나만 못하느냐 하면 그렇지도 않고, 사람의 무게와 깊이로 따져도 나는 한참 뒤켠이다. 등산이면 등산, 돈이면 돈, 사업이면 사업 막힌 게 없다. 세상물정도 나보다 더 훤하고 빵깐에서 얼마나 책을 읽었는지 박학다식하기조차 하다, 기분 나쁘게스리. 하지만 그보다 더 심한 자책이 드는 순간은, 혹시 내가 옛날에 성벽을 쌓거나 이집트에서 피라미드를 쌓을 때 동원됐던 노예처럼 군대에 끌려간 것이 아닌가라는 자문을 하는 때다. ‘한겨레 21’에 실린 러시아 출신이면서 한국인으로 귀화해서 노르웨이의 한 대학에 근무하는 박노자 교수의 이 문제에 대한 역사적 해명과 유럽인들의 노력은 나를 더욱 소침하게 만든다. 그의 주장에 의하면 유럽에서 징집제가 시행된 것은 19세기 초였으며 그때부터 징집을 거부하는 양심적인 세력이 있었다는 사실이었다(물론 한국에서도 80년대에 징집 거부를 위한 운동이 있었지만 이것은 정권교체를 향한 민주화운동 중 작고 일시적인 갈래였을 뿐이다). 살생을 거부하는 종교인, 부르주아들을 위한 전쟁놀음에 반대하는 사회주의자들이 당시에 그 운동을 주도했는데 지금은 평범한 젊은이들 사이에서도 징집 거부 운동은 광범위하다고 한다. 물론 그들 중엔 극단적인 입장도 있지만 그들은 진작부터 사회적 합의에 의해 그것을 조정해왔다. 그것은 바로 ‘대체 근무’다. 우리처럼 공익근무를 생각할 수도 있는데, 호스피스, 소방관, 출신 학교 근무 등을 떠올려도 된다. 결정적인 차이점은 그들은 자신의 신념에 의해 필요한 곳에 가서 일을 한다(노르웨이의 병역 기간은 8개월이며, 대체 근무자는 16개월이라고 한다). 노르웨이에서도 완전 거부자들이 연간 100-200명 정도 나타나는데 그들은 90일 혹은 180일간 구금을 당한다고 한다(우리는 적어도 3년이다). 러시아와 동구 등 유럽 대부분의 민주법치국가들이 수용하는 대체 근무를 무조건 한국 사회에 적용하기에는 좀더 사회적 합의가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그들은 전쟁기간 중에도 신앙과 양심의 명령에 의한 집총 거부는 인정했다는 사실을 명념할 필요가 있다. 심지어 대만에도 30명의 종교인이 대체 봉사요원으로 복무중이다. 현재 한국에는 1,371명의 양심과 신념에 의한 징병 거부 수감자들이 있고, 올해 징집 예상 인원은 38만 명이라고 한다.

2001.04.07 / 이효인(영화평론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