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독 : 김기덕
출연 : 조재현, 서원
이제서야 알았다. 그의 영화들은 유사한 테마들의 변주곡이었다는 것을. 새장 여인숙을 한기(조재현)과 선화(서원) 사랑이 영그는 곳으로 잡은 것, 창녀와 그의 포주 내지 깡패가 등장한다는 것,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사랑한다는 말이 폭력으로만 표출되는 운명적 상황이 담긴 이미지들.
한기는 영화 내내 거의 말을 하지 않는다. 아니, 사실은 성대를 잃었는지 말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인물. 그는 항상 그러하듯 사회의 서출. 어느 한 여대생에게 품은 욕망 또는 사랑의 감정을 창녀로 만들어 자기 주변에 두는 것으로 표현하는 쓰레기 인간.
한 인간의 진심이 다른 사람에게 완벽하게 전달된다는 것이 얼마나 힘든가 하는 것과 인간이 얼마나 폭력적인 욕망의 응집체인가 하는 것을 항상 그러하듯 극단적으로 표현하는 김기덕.
대학생이라는 것이 지니는 사회적 고상함의 표상을 무참히 짖이기고 안정의 테두리를 무너뜨려 혼돈의 삶으로 몰아넣음으로써 상하의 위계질서를 부정하는 김기덕의 파괴적 힘.
그러나 나는 자신의 인생을 송두리째 망가뜨린 한기의 진심을 알고 그를 따라 몸을 팔며 떠도는 선화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모르겠다.
김기덕의 진심은 알겠으나 그의 극단적 비유는 폭력적 상황을 정당화하기 쉬운 위험도 안고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이것도 하나의 아이러니일까.
나와 이 영화 사이에 벌어지는 이 충돌은 한기와 선화의 관계와 닮아 있지 않은가.
욕망과 폭력이라는 바다 위에 떠 있는 배들이 조우하면 정말 한 배가 가라앉아야만 하는 것일까.
追記 : 김기덕의 극단성은 미학적 영역에서 현실을 드러내 주는 데 기능한다. 투박하고 급진적이어서 이중 부정의 강한 긍정으로 오독될 수 있는 것도 여기에 기인하지만, 말 그대로 그것은 강한 부정에 기반하여 영화라는 가상의 현실적 존재성을 확보하는 방편이다. 다시말해 김기덕의 영화는 극단성을 외피로 우리 앞에 비로소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한기는 타고난 부정성의 아들이다. 그에게는 사회의 부정성이 각인되어 있고 부정을 긍정으로 기입한 선화에게 그의 것이 전화됨으로써 그의 어둠 속에 감추어진 진심이 드러난다.
여기서 우리가 품는 단순한 질문은 왜 극단적인 폭력적 촉각이 스크린에 새겨져 있는가보다는 왜 한기가 자신의 사랑을 그런 방식으로밖에 표현하지 못하는가이어야 한다. 유운성씨의 표현대로 이 영화의 가상은 폭력적인 현실의 모방이기 때문이다.
이 영화에 둘러쳐진 절규의 향취 속에서 우리는 우리의 자화상을 확연히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그 저주같은 운명에 대해 체념하기보다는 슬픔을 안고 저항을 꿈꾸어야 할 것이다. 그 때만이 내가 안은 부정성과 영화의 부정성 사이에서 비로소 온전히 소통했다 할 것이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