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UGE

감독 :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출연 : 이렌느 야곱
음악 : 반덴 부덴마이어(즈비그뉴 프라이즈너)

 1. 붉은 색은 박애이다. 이것은 이 영화에서 처음부터 규정하고 시작하는 의미이다. 이 영화는 철저히 키에슬로프스키에 의해 창조된 세계이며 그 세계 안에서 이 영화의 의미는 완전해진다. 그야말로 평범하고 일상적이며 극적이지 못한 영화가 그의 세계 안에서 의미심장한 생명을 지니게 된다.

 2. 블루에서도, 화이트에서도 그리고 이 영화에서도 각 영화의 색조는 필터를 통해서든 조명이나 섬광을 통해서든 의도적으로 어느 순간 화면을 장악한다. 문득문득 내던져지는 그 빛은 무슨 의미일까. 나는, 아니 사람들은 궁금해 한다. 이미지에서 의미를 구하려 한다. 그 의미는, 대개 키에슬로프스키의 세계 안에서는 온전한 의미를 지니지만 그의 세계를 벗어나면 아무런 의미도 아니게 된다. 그것은 의미를 원래 지니는 것일 수도 아닌 것일 수도 있다. 어쩌면 우리는 거짓에다 진실이라는 옷을 입히는 것일 수도 있고 진실을 거짓으로 판단해 버릴 수도 있다. 키에슬로프스키는 그것을 알고 있다. 그의 영화는 의미로 가득하다. 각 시퀀스, 컷, 쇼트들은 아무런 의미를 지니지 않으면서 동시에 분명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므로 나는 그의 영화를 보는 동안 한시도 방심할 수가 없다. 그것은 진실을 던져주지만 동시에 거짓이기도 하다. 유의미하면서 또한 무의미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그의 세계는 현실이자 환상이며 참이자 거짓이다. 그는 진실을 탐구하는 듯하지만 동시에 끊임없이 진실을 회의하는 것이다.

 3. 레드에서는, 물론 붉은 색이 문득문득 화면을 뒤엎는다. 그것은 때로는 자연광(햇빛)이 되고 실내등이 되면서 우리 눈을 자극한다. 동시에 발렌틴이 모델인 거대한 현수막 광고를 통해서도 강한 색상의 이미지를 각인시킨다. 그것은 일면 붉은 색, Red가 박애라는 의미로 침잠할 때, 끊임없이 나에게 질문을 던지게 한다. ‘그럼 박애란 무엇인가.’ 그것은 의도적인 색상의 이미지이며 나를 지속적으로 환기시키려는 키에슬로프스키의 점잖은 부추김이고 동시에 극에 대한 몰입을 거스르는 각성제이다. 화면에 던져지는 색조는 영화 속 주인공들의 세계와도 다른 공간이며, 영화를 보고 있는 나와도 다른 공간이다. 그것은, 키에슬로프스키의 공간이며 그러한 방식으로 키에슬로프스키는 영화와 나의 대화 과정에 참여한다.

 4. 그럼 박애란 무엇인가.
 발렌틴은 사랑스러운 여성이다. 아니, 사랑의 존재이다. 그는 자신의 실수로 다치게 된 주인 모를 개를 걱정하고, 타인에 의해 사생활을 침해당하는 익명의 타자들을 보호하려 하며 그러한 넘쳐나는 사랑의 힘으로 늙은 퇴직 판사에게 생의 의미를 되찾아 준다.

 늙은 퇴직 판사는 사랑을 잃어버렸었다. 그는 사랑했던, 여전히 사랑하는 여인으로부터 배신을 당했었고 그때부터 여성에 대한 애정을 완전히 잃었다. 그는 판사였으되 사심에 의해 판사의 권력으로 복수를 했고 그 일로 조기 퇴직을 해 버렸다. 그는 그 때쯤부터 인간이 인간을 심판하는 행위에 대해 회의하게 됐을지도 모른다. 아무튼 인간이 인간을 심판하려 했던 자신에 대해 경멸하는 데 이르렀던 그는 동시에 타인, 아니 타자에 대한 애정도 상실했다. 그러나, 그에게는 타자에 대한 관심이 여전히 잠재해 있었다.

 이 영화는 우연을 말한다. 하지만 그것은 우연이 아니다. 우연은 필연이며 운명이다. 어떤 사건이 아무런 개연성 없이 일어나더라도 그것이 영화 전체의 흐름에 통합되어 있는 것처럼 나와 아무런 상관 없는 것처럼 보이는 인간 또는 존재들도 나와 필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발렌틴은 그러한 우연을 부여잡는다. 그녀는 매순간의 우연적일 것같은 일도 그 자체로 사랑한다. 그녀는 매일 아침 슬롯 머신을 튕기며 하루의 운명을 점쳐 본다. 그렇게 그녀는 우연을 우연 그 자체로, 무의미 그 자체로 보지 않는다. 우연을 부여잡는다는 말은 앞에서 말한 논리에 의해 타자를 부여잡는다는 말과 상응한다. 그녀는 항상 아침에 신문을 보면서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타자들에 대해 관심을 표한다. 이 영화에서 가장 사랑스러운 발렌틴의 표정이라 할 수 있는, 타인의 말에 경청하는 때묻지 않은 진지함의 눈길은 타자에 대한 애정을 단적으로 증명해 준다. 우연에서 운명을 찾는 것은 자신의 존재 사실에 대한 애정에서 출발한다. 바깥에 대한 관심어린 애정은 자신이 이 세상에 존재하는 것은 어떤 필연성이나 운명과도 같은 의미를 지니도록 해 주기 때문이다. 그렇게 그녀는 자신의 울타리를 넘어선 사랑이란 그 울타리 안을 사랑하는 것과 필연적으로 동일한 의미임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박애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거의 근접해 왔다. 그것은 자신에 대한 사랑의 다른 이름이다. 자아와 타자는 분리될 수 있는 그 무엇이 아니며, 자신이 존재한다는 것은 타자의 존재와 무관하지 않다. 개체는 전체와 필연적 얼개 속에서 상관되는 것이며 하나의 주체는 또다른 그 주체를 둘러싸고 있는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유의미해지는 것이다. 결국 박애란 내가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해 주는 요건이 된다.

 자유와 평등은 세상에 나 혼자만 존재한다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 자유라는 가치와 평등이라는 가치는 자아라는 울타리가 타자와 맞닿아 있는 지점에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그러한 의미에서 박애란 하나의 주체가 지니는 가치를 이끌어내는 전제조건이라 해도 지나친 비약은 아닐 것이며, 그러한 의미에서 키에슬로프스키의 세 가지 색 연작은 레드를 통해 진정으로 통합된 결을 지니게 된다.

5. 병을 쓰레기통에다 집어넣으려 애쓰는 가련한 노파는 이 영화에서도 등장한다. 그러나 다른 점이 있다! 이전의 ‘블루’, ‘화이트’에서는 주인공은 그 노파를 지긋이 바라보며 웃음 지을 뿐이다. 그런 관조를 통해 주인공은 문득 하나의 주체적인 결단을 내리고는 했다. 이 영화에서 발렌틴은 그 가련한 노파를 그냥 두고 지켜보지 않는다. 그녀는 노파에게 다가가 그 힘겨운 작업을 도와준다. 그렇게 그 연결 고리는 레드에서 한차원 고양된 의미를 지니게 된다.

6. 앞에서 말한, 자유와 평등이라는 가치의 기반이라는 요지의 말은 마지막 장면에서 증명된다. 세 영화의 각 인물들은 배 조난 사고를 통해 한 화면에 잡힌다. 그들은 아무런 관련도 없는 듯하지만 그렇게 필연적인 고리를 형성하며 진정한 자신의 의미를 드러낸다.

7. 발렌틴의 옆집에 사는 판사 지망생 청년은 극중극처럼 간간이 제시된다. 그런데 잘 살펴보면 그 청년은 퇴직 판사의 젊은 시절이다. 발렌틴과 같은 시공간에 존재하는 퇴직 판사의 또다른 모습은 – 시간과 공간이 존재를 가능케 한다는 의미에서 – 한 존재를 두 겹으로 만들면서 발렌틴에게로 겹쳐 놓으면서 앞에서 말한 존재를 가능케 하는 가치로서의 박애, 우연과 필연의 통합성이라는 말들을 새로운 각도에서 말해 준다.

 퇴직 판사와 예비 판사는 발렌틴에 의해 사랑을 재발견하고 진정한 존재감을 맛볼 것이다. (예비 판사는 조난 사고의 구조 작업에서 발렌틴과 함께 구조됨으로써 그러한 실마리를 제공해 준다.)

8. 발렌틴은 천사이며 동시에 구원이다. 다시 말하자면 존재를 구원해 주는 것은 존재 자체를 사랑하는 행위 뿐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