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는 10만 킬로미터의 도로가 있다고 한다. 이는 환산하면 반경 1제곱 킬로미터 내에 1 킬로미터의 도로가 있다는 얘기다. 그래서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도로 밀도가 높은 나라 중 하나란다. 그런데 한국도로공사는 2020년까지 도로를 20만 킬로미터로 늘리겠다고 한다.
한국에 있는 야생동물 중 가장 작은 활동영역을 가진 너구리조차도 1제곱 킬로미터의 영역을 움직이며 산다. 적어도 도로 하나는 생활영역 안에 들어와 있는 셈이다. 한국의 야생동물들은 절대 안전한 제 집을 가질 수 없다.
지리산 인근 88고속도로와 산업도로 등지를 중심으로 로드킬 사례를 조사 연구하는 최태영, 최천권, 최동기 세 사람은 30개월동안 5천 7백여 동물들의 사체를 발견했다. 이들의 표현에 따르면 지리산은 하나의 섬이다. 이 산 둘레를 도로가 완전히 두르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지리산의 야생동물들이 지리산 안에서만 고립된 생활을 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각자의 생활 영역과 습성을 섬처럼 두른 도로가 강제할 수는 없다.
로드킬을 조사하는 이 세 사람은 각 동물들마다 로드킬을 주로 당하는 지역과 시간대 등에 어떤 패턴이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면서 매일 인근 도로를 돌아 다니며 로드킬 데이터를 쌓아 간다. 그러나 결과는 모든 종들이 모든 지역에서 골고루 죽어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줬다. 지도상에 로드킬 지점을 표시하는 점들은 빼곡하게 표시되어 하나의 선을 이루고 있었다. 도로는 동물들에게 전방위적 재앙이다.
세 연구원은 어느 날 88고속도로에서 조금 전 차에 치인 삵 한 마리를 발견한다. 의식은 없지만 다행히 호흡은 끊어지지 않았다. 이 삵을 데리고 와 정성스레 치료한다. 이 삵에게 연구원들은 ‘팔팔이’라는 이름을 지어 줬다. 몇 달 후 팔팔이는 예의 건강을 되찾고 다시 야생으로 돌아간다. 팔팔이에게 부착한 무선 신호 장치로 팔팔이의 생활을 추적하던 세 사람은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된다. 팔팔이는 약 일주일간 고산 지대를 넘어 약 30킬로의 여정 끝에 88고속도로 인근으로 가 버린 것이다. 채 한 살도 되지 않은 어린 삵이, 그것도 사고 당시 기억할 수도 없었을 길을 찾아 고향으로 돌아간 것이다. 팔팔이는 그 여정 중 12개의 도로를 건너는 위험을 감수했다. 본능에 끌려 고향으로 돌아온 팔팔이는, 결국 얼마 지나지 않아 차에 치어 발견된 그 지점으로부터 멀지 않은 곳에서 시체로 발견되었다.
어미가 차에 치여 쓰러지자 이 곳을 떠나지 못하던 새끼들이 어미 주변에서 똑같이 차에 치여 먼지처럼 사라지는 곳. 금슬 좋은 너구리에게 의도하지 않은 이별을 강요하는 곳. 이 곳이 바로 인간이 만든 자동차 도로다.
약 3년 전. 회사에 출근하기 위해 버스를 기다리던 나는 저 편 연신내 로타리 가운데에 거무스름한 작은 무언가가 흐느적거리는 것을 보았다. 처음에는 비닐 봉지려니 생각했다. 계속 시선이 그 쪽으로 가 자세히 보니 그것은 한 마리 개였다. 도로를 횡단하던 중 차에 치인 것이 분명했다. 아직 숨이 끊어지지 않아 반쯤은 땅에 납작하게 붙어 있고 반쯤은 일어나려 애를 쓰는 모습이었다. 그런데 그것은 교차로 한 가운데에서였다. 자동차들이 사방에서 지나갈 때마다 나는 머리 뒤가 찌릿함을 느꼈다. 처참함을 아슬아슬하게 비껴 가고 있었지만 어느 순간에는 아스팔트 바닥에 납작하게 걸레처럼 붙어 사라질 것이 분명했다. 그 개의 무력해 보이는 몸부림이 교차로를 오고가는 자동차들을 멈추지는 못할 것이기 때문이었다. 그 때의 충격이 아직도 생생하다.
나는 이 영화를 보다가 눈물을 참을 수 없었다. 야생동물은 너무나도 무고하지만 그들의 먼지 같은 죽음은 벗어날 수 없는 운명이었다. 더구나 이들은 사람처럼 절규하거나 원망하지도 않고 그들의 방식을 고수하다가 죽음을 맞이한다. 그들의 죽음은 떳떳하고 무고했다. 인간은 이러한 타자의 비극을 모른 채 하고 문명을 키우고 있으니, 문명은 그 자체가 인간의 원죄이고 도로와 자동차, 그리고 자동차 소음은 그 물질적 현현이다. 나는 우리의 원죄를 한 시간 반 동안 똑똑히 지켜봐야 했고 그 앞에서 벌어지는 동물들의 비극은 부정할 수 없는 슬픔이었다.
중간 중간 도로 위의 동물 시체 위로 도로 개발 소식과 이로 인한 경제적 효과를 전망하는 뉴스 멘트가 흘러나온다. 그런데 한국은 여전히 개발이 곧 복음인 곳이다. 이제는 인간의 자연과 생태계에 대한 정복이 불러온 응징의 상징과도 같은 광우병 소도 제 손으로 들여 오고 있고 온난화의 위협은 갈수록 음험해지고 있다. 개발과 성장을 위해 희생되는 인간들에게조차 관심이 없는 이 땅에 한낱 야생동물들의 쉴새 없는 떼죽음을 심각하게 자책하는 것이 과연 어느 정도의 가치가 있을까?
그러나 생각보다 길거리에 내던져진 동물들의 시체가 알리고 있는 것은 동물 애호가의 측은지심 이상이다. 보기 싫어도 볼 수밖에 없는 개발 문명의 살해현장, 공모하고 묵인하고 있는 것의 증거 제시로서 이들의 시체는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상징이다. 아무리 생각해도 야생동물들의 죽음으로부터 가난한 인간의 고난은 멀리 있지 않은 것 같다. 그리고 인간이 특정 지역, 특정 시대에 집중적으로 자원을 퍼다 쓰면서 감당해야 하는 희생의 크기에서 동물들의 죽음이 차지하는 양은, 남한에서만 전국 도로에서 1년에 3만여 마리 그 이상이다. 모든 곳에서 인간의 죄를 발견할 수 있다는 것, 보기 싫어도 보이고 하기 싫어도 행하고 있다는 것을 이 영화는 보여준다. 그래서 도로 한 가운데 바짝 엎드려 야생동물들의 소리 없는 죽음을 지켜보는 시선은 오히려 위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