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의 붕어빵

도정일 칼럼

북미 원주민의 어떤 신화에 ‘실패하는 조물주’ 이야기가 있다. 이 조물주는 세상 만물을 만들어내면서도 막상 인간을 만드는 대목에 가서는 서투른 견습공처럼 연거푸 실패한다. 그는 진흙으로 두 형상(남자와 여자)을 빚어 도자기 가마 같은 데 집어넣고 공을 들이는데 나흘 만에 거기서 나온 것은 그가 구상했던 ‘사람’이 아니라 암수 개 한쌍이다. 그는 다시 진흙을 빚어 가마에 넣고 이번에는 열사흘 정성을 쏟는다. 그러나 결과는 또 실패다. 나흘의 세배나 되게 시간과 정성을 들였건만 가마에서는 암수 뱀 한쌍이 쉿쉿거리며 기어나온 것이다. “두번씩이나 실패했으니 사람을 어떻게 만들꼬?” 그는 고민에 잠긴다. 인간 만드는 일이 제 혼자 힘으로 되지 않는다는 걸 알고 그는 자기 조수에게 도움을 청한다. 이 ‘조교’의 결정적인 협력을 받고서야 조물주는 간신히 인간을 얻게 된다.

이 이야기를 여기 소개하는 것은 ‘조교 예찬’을 위해서가 (물론 조교는 예찬받을 만하지만) 아니라 사람 만드는 일 앞에서는 조물주도 쩔쩔맸다는 소식을 환기하기 위해서다. 인간을 처음 만든 것은 조물주겠지만, 이 창조 사업을 이어받은 것은 인간 그 자신이다. 우리가 ‘교육’이라고 부르는 것은 인간이 인간을 만드는 사업의 일부이다. 그 인간 만들기가 붕어빵 찍어내기 정도의 작업이라면 사회는 교육이라는 문제 때문에 고민할 필요가 없다. 젊은이들은 “나는 어떤 인간이 될까”로 밤잠 설치지 않아도 되고 어른들은 “내 아이를 어떻게 키울까”로 머리싸매지 않아도 된다. 붕어빵 잘 찍어내기도 쉬운 일은 아닐 테지만, 교육의 가장 큰 고민은 붕어빵 인간을 어떻게 잘 만들어내는가에 있지 않고 “어떻게 붕어빵을 만들지 않을까”에 있다. 그런데 지금 우리 사회는 교육의 이 정당하고도 필요한 고민 때문에 고민하는 것이 아니라 붕어빵 만들기의 효율성 문제- 어떻게 하면 붕어빵을 잘 찍어낼까라는 문제로 더 노심초사하고 있다.

대학의 경우, 한국에 와 있는 외국인 교수들은 한국 대학생들에게 두번 놀란다고 곧잘 피력한다. 학생들의 ‘게으름’에 놀라고 ‘놀고 보자’ 주의에 또 놀란다는 것이다. 우리가 보기에 이 게으름과 놀고 보자는 그리 놀라운 것이 아니다. 신입생들에게서 거의 공통으로 발견되는 안쓰럽고 측은한 특징의 하나는 십리 파도를 간신히 헤엄쳐 나와 해안에 상륙한 난파선 생존자와도 같은 탈진상태이다. 젊은 육체는 이 탈진을 감추고 있지만 정신은 기진맥진해서 파김치가 되어 있다. 대학 들어오느라 기진하고 맥진한 이 정신들에 대학은 우선 쉬고 노는 곳 같아 보인다. 게다가 한국의 대학들은 유흥가로 완전 포위되어 있어 노는 데는 그만한 환경이 지구상에 없다. 가장 두려운 것은 이 파김치가 된 정신들로부터는 지적 호기심, 상상력, 도전적 비판력이라는 에너지가 나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학점이나 잘 챙겨 ‘무사히’ 졸업장 받아 쥐고 나가자는 것이 이 탈진한 정신들의 일반적인 정신상태이다. 중·고교 6년 동안 교과서와 참고서 외에는 다른 책이라곤 접해볼 겨를 없이 시킨 대로 입시과목에 매달리고 학력고사에 목매단 끝에 대학에 들어온 정신의 붕어빵들은 그렇게 해서 정신의 붕어빵 상태 그대로 대학을 나서고자 한다(붕어빵이기를 거부하는 소수의 젊은 지성들에는 갈채를!).

현실론자들, 특히 학부모들은 대학 입시의 경쟁을 뚫는 데 다른 무슨 방법이 있느냐고 묻는다. 학생들 자신도 이 고도 취업경쟁 시대에 무슨 다른 묘수가 있는가하고 질문한다. 이것이 지금 우리 사회의 현실적 고민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이건 교육이 아니고 인간 만들기가 아니라는 사실이다. 인간의 몸은 작은 자루에 불과하지만 그 정신은 작은 상자가 아니다. 그 정신은 마음놓고 춤출 수 있을 때에만 커지고 넓어져 무서운 탄력을 발휘한다. 정신을 작은 상자에 가두는 교육을 어떻게 고칠 것인가- 지금 우리 사회가 진정으로 고민해야 할 교육의 문제는 이것이다. 체제에의 기술적 적응력 키우기만이 교육의 목표는 아니다. 수동적 적응이 있다면 틀을 깨고 나가는 창조적 비판적 적응도 있다. 교육의 힘이 발휘되어야 하는 것은 이 후자이다.

교육제도와 방법이 문제의 전부는 아니다. 우리 교육이 자잘한 조무래기 감자 생산작업 이상의 것이 되자면, 대학교육을 포함한 교육의 전 영역에서 국가 및 사회의 투자규모는 최소한 지금의 다섯배는 되어야 한다. 지금의 교육투자로는 우리에게 작은 감자의 미래만 있을 뿐이다.

도정일/ 경희대 영어학부 교수 jidoh@khu.ac.kr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