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독 :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출연 : 말론 브란도, 로버트 듀발, 마틴 쉰
간만에 나타난 과 친구 녀석이 영화 한 편 때리잔다. 무언가 육중한 걸로. 온갖 육중한 영화를 고르고 고르다 결국 다 대여된 것에 실망하면서 선택한 영화는 ‘지옥의 묵시록’. 제목부터 묵직하다. 말론 브란도라는 이름도 꽤나 그 무게를 더하고 있다. 베트남의 열대숲을 비추는 화면으로 서서히 빠져들어간다. 그 육중함을 짊어지고.
베트남전 영화를 볼 때 항상 유념하는 것이 있다. 보통 전쟁 영화가 그러하듯 전쟁의 참상을 담아내고 전쟁을 일으키는 인간 본성의 경계를 암묵적으로 설파하지만 베트남전을 다룬 영화는 그 전쟁의 특성상 피해자와 가해자, 특히 가해자임에도 일종의 허무함을 느끼며 괴로워하는 미국인들의 입장이 요주의 대상이 된다. 그리고 대개의 베트남전 영화는 양키들의 허무함과 죄의식으로 겉 포장을 한 것 같지만 실제 잘 씹다보면 뭔가 캥기는 게 나오기 쉽상이다. 물론 내가 그렇게 인지하면서 영화를 봐 온 것은 아니지만 미국에서 베트남전 영화를 만든다는 그 사실 자체가 가해자의 눈으로 보는 입지의 취약성을 항상 담지하는 것이리라 생각한다.
이 영화도 그러한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못한 것 같다. 태생적으로 가해자의 눈이란 자신의 입장에 대한 변명이나 반성 말고, 진정으로 피해자인 타자의 입장이 되어 볼 수는 없는 아닌가. 그러나 이유없이, 정말 이유없이 민간인을 죽이는 장면이나 전장에서 사치스런 서핑을 즐기려는, 제정신이 아닌 것 같은 장교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그들의 오만방자하고 광기같은 잔인성에 대해 애둘러 사죄하는 듯 하다. 또 하나 철학적인 전쟁 영화라면 빠질 수 없는 전쟁을 통한 인간 본성의 성찰. 그것에 대한 심각하고 진지한 표현이 빠진다면 전쟁 영화는 골 텅 빈 스펙터클의 광기 말고 무엇이 남겠는가. 이 영화에서 군이라는 Fucking할 곳의 기계적 위계질서 속에서 명령에 죽이고 명령에 죽으며 명령에 사는, 개인의 자유의지는 망가지고 짓밟히며 산산조각 나는 참상(모든 조직은 그 올가미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 할지도 모를 일이다)을 검은 그림자 속의 한 인간을 통해 드러내는 장면은 인상적이다.
뛰어난 능력을 소지한 군인이었지만 이중 스파이 베트남인 3명을 살인하고 군 계통의 명령 체계를 무시하고 단독 작전을 감행한 커츠 대령을 제거해야 하는 임무를 띄고 기나긴 지옥의 여정을 시작하는 마틴 쉰이 거쳐가는 지옥의 뒤안길에서, 수많은 질문을 낳고 공감을 하고 이해를 하게 되는 커츠라는 인물은 서서히 검은 그림자에서 얼굴을 드러낸다.
그는 군인이었고, 명령에 사람을 죽였지만 그 살인이 가져다 주는 개인에 대한 떨쳐낼 수 없는 죄의식마저 군이, 국가가 대신할 수 없었고 남을 죽이는 것만큼의 자기학대를 할 수밖에 없었음이 마틴 쉰이 처한 현실과 맞닿는 지점이었다. 그리고 그것은 60년대 베트남이라는 공간에 있었던 젊은이들이 함께 고스란히 안고 가야 할 지옥이었다. 결국 지옥이란 내가 나일 수 없고 사람이 의식을 위해 제단에 오른, 무참히 살이 잘려 나가는 소만도 못한 그 순간의 자신에 대한 공포인 것이다. 나는 왜, 무슨 이유로 이 지옥 속에 떨어져 스스로를 죽여가고 있는가.
이같은 육중한 물음에도 불구하고, 형식적으로 완벽하게 느껴짐에도 불구하고 나는 이 영화를 보면서 욕구불만의 분노를 느낀다. 자유민주 진영 수호라는 광기의 다른 이름을 한 구호 아래 저질러 놓은 전쟁을 놓고 전쟁의 참상과 인간의 자유를 말하면서도 타자의 눈에서 본 그들의 몰골은 없는가. 양키 자신이 비루하고 잔인한 야수임을 왜 직접화법으로 고백하지 않는가. 자유의지의 상실과 그 지옥의 순례를 통한 회복의 노력을 하는 공간에는 왜 아메리칸만이 존재하고 베트남인은 존재하지 않는가. 왜 아직도 양키 새끼들은 스스로를 세계의 치안을 담당하는 경찰 국가로 자임하며 세계를 주무르고 있으며 우리는 찍소리도 못하고 있어야 하는가. 운운…
그러나 어쩌겠는가. 내가 볼 수 있는 베트남전 영화는 양키들이 만든 것뿐인 작은 미국의 한 주에서 살고 있는 것을. 베트남에서 만든 베트남전 영화는 없는가. 그 영화들에서 묘사할 잔인한 괴수의 얼굴을 한 번 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