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독 : 장이모…(Zhang Yi Mou)
연출작 책상 서랍 속의 동화 (有話好好說: Not One Less) 1999년 중국
집으로 가는 길 (俄的父親母親: The Road Home) 1999년 중국
키프 쿨 (有話好好說: Keep Cool) 1997년 중국/홍콩
트라이어드 (搖?搖, 搖到外婆橋: Shanghai Triad) 1995년 중국/프랑스
인생 (人生 / Lifetimes) 1994년 중국/대만
귀주 이야기 (秋菊打官司: The Story Of Qiu Ju) 1992년 중국
홍등 (大紅燈籠高高掛: Raise The Red Lantern) 1991년 중국/홍콩/대만
국두 (菊豆: Judou) 1990년 중국
대호 미주표 (代號 美洲豹: Codename Cougar) 1989년 중국
붉은 수수밭 (紅高梁 / Red Sorghum) 1988년 중국
제작작 용성정월 (龍城正月: Dragon Town Story) 1997년 홍콩
촬영작 노정 (老井: Old Well) 0000년 중국
출연작 키프 쿨 (有話好好說: Keep Cool) 1997년 중국/홍콩
진용 (秦俑: A Terra-Cotta Warrior) 1991년 홍콩
제작 : 쟈오 위
각본 : 바오 쓰
촬영 : 호유 용
음악 : 싼 바오
주연 : 장쯔이, 순홍레이, 쩡 하모, 쟈오 위에린

나우누리 시네프리에서 연 시사회에 당첨되어 ‘집으로 가는 길’이라는 영화를 개봉도 하기 전에 보게 되었다. 나같이 게으른 놈에게 이런 경험은 처음이었다.(부지런했으면 얼마든지 그러한 기회를 만들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한 중년 남자가 차를 타고 급하게 한가로와 보이는 시골 눈길을 가로질러 온다. 그 남자 아버지의 비보를 듣고 달려온 것이다. 어머니는 먼저 간 아버지의 장례를 전통 장례로, 멀리 도시 병원의 영안실에서 산골 구석 마을까지 긴 행렬로 걸어오기를 바라지만 마을 사람들과 아들의 생각은 그렇지가 못하다.
그러다 우연히 보게 된 아버지, 어머니의 결혼식 사진은 마을 전체에 알려진 아버지, 어머니의 사랑 이야기를 떠올리게 하고, 아들은 결국 어머니의 마음을 이해하게 되고 아버지의 구천 돌아가는 길을 집으로 돌아오는 길을 따라 마중하게 된다.

영화는 아버지의 비보를 듣고 급하게 달려오는 아들의 시간, 즉 현재로부터 시작하여 부모의 시간, 즉 과거로 갔다가 다시 현재로 돌아오는 구성을 취한다. 보통 흑백이란 과거를 떠올리게 하고 컬러란 현재를 떠올리게 하는 것인데 여기서는 반대의 경우로 적용한다. 나는 이 영화가 과거 부모 세대의 삶과 사랑의 모습에 무게가 있다고 느껴지므로, 현재를 잠시 벗어나 과거를 현재처럼 한번 보아 달라는 의미가 아닌가 억측해 본다.

산골 마을에 열여덟의 아릿다운 처녀가 있다. 처녀는 마을에 새로 온 스무살의 젊은 선생에게 호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순박한 처녀가 사랑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는 학교 건물을 만들 때 공밥을 정성스레 지어 선생이 자신의 밥을 먹어주기를 바라거나 학생들과 함께 노래부르며 걸어가는 길목에서 자주 마주치거나 학교에서 강의하는 선생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애써 집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우물까지 와서 물을 떠 가는 정도 밖에 없다.
선생은 처녀의 집에 밥을 얻어먹으러 갔다가 찜해 놓았던 그녀를 다시금 확인하고 표현하지는 못하지만 조금씩 그녀에 대한 애정을 쌓아간다. 문화혁명이라는 격동이 밀려오면서 선생 역시 어지러운 세상에 이끌려 잠시 이별을 해야 하지만 머리핀을 자신의 마음의 징표로 전하고 영원히 그 마음을 지킬 것을 약속한다.

이 둘의 사랑은 요즘 흔히 보는 로맨틱 영화만큼 화려하지도 세련되지도 못하다. 촌스럽기 그지없고 소박하기 그지없지만 손수 짠 붉은 천이나 이별과 만남을 잊지 않으려는 머리핀은 몇 천 송이의 꽃보다 절박하고 진실되게 보인다. 사랑을 확인하려 키스를 하지도 몸을 섞지도, 하다못해 사랑한다는 말을 하지도 못하지만 하찮게 보이는 사건과 몸짓도 진실된 사랑을 품는 것 같다. 머리핀을 쥐어주고 떠나는 선생에게 먼길 가며 먹으라고 찐 만두를 전하려 필사적으로 달려가고 잃어버린 머리핀을 찾으려 몇일을 헤매고 텅빈 학교를 예쁘게 단장하고 선생을 기다리다 앓아눕는 처녀는 요즘 사람들 눈에는 순진하다 못해 어리석게 보일 정도이다.

그러나 장예모는 그것이 어리석을 망정 진실된 마음은 담겨 있다는 말을 하려는 것 같다. 중국 역사가 부정했던 부모세대는, 봉건적이고 전근대적인 세대라 부정되었던 당신들은 이제는 그들조차 중국의 모습으로 받아들여야 하지 않는가라고 감정을 흔들면서 말하는 듯하다. 그런 의미에서 집으로 가는 길이란 과거를 보듬는 공간으로 가는 길을 뜻할 것이다.

장예모의 작품은 ‘책상 서랍 속의 동화’ 밖에 본 것이 없다. 거기서 장예모는 교육, 즉 계몽을 강조한 것 같았다. 이 영화에서도 그러한 측면이 보인다. 아버지(선생)는 죽는 순간까지 시골 마을에서 아이들을 가르치고 일깨우려 했으며(강의하는 문구도 ‘알아야 한다’라는 강한 의지가 드러난다) 심지어 학교 건물에는 ‘敎育是建設祖國的武器'(교육은 조국건설의 무기이다)라는 선동적인 문구가 붙어 있다 – 물론 당시 사회상이 그러했겠지만 감독의 의도도 들어가 있으리라 생각한다.
그러나 나는 그의 계몽주의적인 의식은 잘 들어오지 않고 오로지 아버지와 어머니, 처녀와 선생의 사랑과 부모 세대와 자식 세대의 화해, 과거 역사와 현재의 화해 같은 측면에 몰입되기만 했다.
장예모는 시끌벅쩍하게 미사여구를 늘어놓으며 ‘자, 감동해라’가 아니라 ‘그 이야기가 이렇단다’라고 차분히 풀어주는 것만으로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힘이 있는 것 같다.

장쯔이의 그 진실된 미소와 눈물이라니!!!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