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redian.org/news/articleView.html?idxno=11414

뜸하게 찾아보는 박노자의 글이 요즘 점점 좋아집니다.
제가 과연 소위 맑시스트나 좌파 뭐 이런 수사적 범주에 포함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그런 생각들이 일면 옳다고 생각하고는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제게는 원하고 노력한다면 최소한 중산층 언저리에 낄 수는 있을 만한 사회적인 조건이 조금이라도 있기는 하고
그것이 주는 최소한의 안정성을 또 원하기도 하거든요.
그래서 관념적으로는 자본주의의 극복을 위해 혁명이라는 것이 필요하다고는 생각하지만
이것이 현실적으로는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편입니다.
객관적인 존재로서 제게 있어서조차도 혁명은 간절함과 동시에 두려움이나 불안함으로 다가오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봐 온 혁명을 보면 또한 혁명을 쉽게 말하기 힘들어집니다.
박노자의 지적처럼 지금까지 혁명은 권력과 부의 철폐가 아니라 이동으로 귀결됐으니까요.
저는 혁명을 낭만적인 형태로 바라보는 편입니다.
어떤 변화의 양상들이 축적되어 시간이 흘러 돌아봤을 때 돌이킬 수 없는 질적인 단절이나 이동이 발생했음을 뒤늦게 알게 될, 즉 자신들이 무엇을 했는지 뒤늦게 알게 될 그런 긴 호흡의 혁명.
(지구상의 몇몇 국가나 지역에서가 아니라, 즉 변화의 전위가 아니라 전체가 바뀌는 것이 혁명이라고 한다면 긴 호흡일 수밖에 없을 것 같기도 하고)
그런데 과연 이런 긴 호흡의 시기를 지나고 난 후에는 과연 모순이 종식될 수 있는 건지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심지어 혁명 자체에 모순이, 모순 자체에 혁명이 내재하고 있다는 생각마저 들 정도입니다.
내게 사회적 변화는 그래서 혁명보다 급진적 개혁에 가까운 것이 오히려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집니다.
방금 떠올린 엉터리 가설인데 혁명은 무의식의 형태에, 개혁은 의식의 형태에 가까운 것이 아닐까요?
진보적 또는 급진적 의식이 사회 개혁을 주도해 가면서 서서히 무의식의 영역을 바꾸어 나가는 것도 충분히 가능한 것 아닌지…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