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연의 영화음악에서 이상용이 재미있는 얘기를 해 줬다. 영화 초기 필름을 영사해서 단체 관람을 가능케 한 뤼미에르의 시네마토그래프가 산업의 기반이 되었는데, 현대에는 움직이는 영상을 혼자 즐기는 에디슨의 키네토스코프가 다시 각광 받고 있다는.

암실에서 집단적으로 움직이는 영상을 즐기는 경험의 황홀함을 영화의 본령으로 여기는 이들에게 이 변화는 영화의 본질을 훼손하는 흐름으로 받아들여질지도.

영화의 집단성은 집단 관람이라는 행위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닐테다. (당연히 창작의 과정에서 찾을 수도 있지만) 영화 관람의 집단성은 매체의 무한한 복제 가능성에 기반한 것이다. 우리는 이미 다른 시간, 다른 공간에서 영화를 함께 관람하고 있다.

기술은 점점 더 우리의 관람 행위를 파편화시킬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가 사회적이라 할 수 있을까. 분명한 것은 영화는 파편화된 채 총체를 이루는 예술이라는 거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