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에게 지금까지 연애담이라면 고교 시절 짝사랑과 대학 초년 지루하게 지속된 만남 뿐이다.
홀로 속앓이하다가 끝내 이루지 못한 짝사랑은 지울 수 없는 후회가 되었고, 바보 같은 홀로 사랑은 사랑이 아니라는 자기 비판을 할 수밖에 없었다 : ‘사랑은 혼자 하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새로이 호감이 싹트게 된 한 사람과는 실패하고 싶지 않았다.
하지만 역시 나의 관념 또는 나르시시즘이 앞서 나가서였을까 아니면 인연이 아니어서였을까.
호감에서 더 나가지 못하고 그녀는 영원히 베일에 가려져 버렸다.
내 장래가 미덥지 않아서였거나, 알고 보니 내가 단순히 마음에 안 들어서였거나 등등, 마지막으로 이유라도 알고 싶었지만 그렇게 덮어 버렸다.
그리고는 그 애가 ‘인간’에 대해 무관심한 것이 한탄스러울 따름이라고 여겨 버렸다.
웃기는 연애담이다.(사실 연애담도 아니다.)
결국은 모든 것이 실패였고 남은 것은 나만의 관념들 아닌가.
하지만 지금 나는 누웠다 일어나 내 관념들을 내 관념으로 회고하고 정리하려 하니 다른 딴지는 일단 피하자.(오늘 많은 일이 있었던 관계로 심신이 피로하다. 딴지는 다음에 하라. 나든, 다른 사람들이든.)
어쨌든 짝사랑을 통해 키워진 사랑에 대한 내 이론은 책 ‘사랑의 기술’을 빌어 완성됐고, 지루한 만남을 통해 비로소 그것이 나만의 조급한 이상에 지나지 않을 수 있다고 의심하게 되었다(고 믿는다).

그리고 얼마 전 나는 위의 경험들과 도저히 맞지 않는 일을 하나 겪었다.
내가 사랑을 거부한 것이다.
웃긴다.
사랑을 찾던 녀석이 ‘한 여자’를 (결과적으로) 자신에게서는 사랑의 예외로 만들지 않았는가.
나는 이상적으로 완벽한 사랑이란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반증을 스스로 내 놓으면서 내 사랑 이론을 재고할 완벽한 기회를 맞은 것 같다.
사랑에 대한 애타는 목마름이 사랑에 대한 두려움과 공존할 수는 없지 않은가.
인간의 근원적인 공포는 ‘분리에 대한 불안’이며 그것을 이겨낼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일체감은 오직 진정한 의미의 사랑뿐이라고, 그리고 이 사랑은 관심을 통해 앎이 생기고 이것이 농익어 이해가 되며 이 이해가 존재의 깊은 차원에까지 가 닿을 때 가능하다는(헉헉) 에리히 프롬의 말이 나를 울렸던 적이 있었다.
하지만 내게서 일어난 이같은 불일치는 그 울림을 분열시킨다.
그 분열 속에서 나는 어줍짢게 요즘 사로잡힌 생각에 기댄다.(물론이것은 내 관념과 경험의 불일치에 대한 정당화의 성격을 띤다. 이기적인 시도인 것은 분명하지만 그른 것은 아니길 바란다.)
사랑은 보편적이면서 동시에 특수해야 한다.
사랑은(적어도 나에게 있어서 사랑은) 그런 개념적인 모순을 안고 있다.
그 모순을 봉합하는 것은 오직 사랑에 대한 환상뿐이다.
우리가 환상을 투사하는 것들은 대체로 모든 희열을 담지하지만 동시에 어떤 설명할 수 있는 의미도 것도 담기지 않은 것이다.
소위 ‘텅 빈 기표’라고 부르는 이것 중에 하나가 바로 사랑이다.
심지어 사랑은 (정상적인) 성교의 부재를 의미한다고도 한다.
정상적인 성교란 내가 알기로는 말 그대로 본능에 따른 성교이며, 인간에게 본능은 없거나 적어도 고장 났기 때문에 사랑이라는 말에 환상을 부여함으로써 (어떻게든) 종족 보존을 도모하는 것이다.
몇 명의 이론가들이 한 말이 뒤섞였지만 썩 들어맞는 여기에서 내가 염두에 두는 것은 사랑은 말, 즉 상징계의 한 기표라는 사실이다.
인간은 상징계로써 살 수밖에 없지만 상징계 때문에 분열하기도 한다.
아니, 상징계 때문에 인간은 항상-이미 분열되어 있다.
설명할 수 없는 것이 언제든지 끼어들어 오기 때문이다.
설명할 수 없는 것은 인간이 고깃덩어리라는 사실, 우리가 시선을 던질 때(에도 그렇지 않을 때도) 대상은 항상-이미 우리를 응시하고 있다는 사실, 신이나 행운 또는 불행은 항상-이미 나를 기다리고 있다는 사실, 나도 죽는다는 사실 등등……, 우리가 혐오하거나 두려워하는 것들, 우리가 설명할 수 없어서 신의 섭리나 초자연적인 현상이라 규정짓는 그 모든 ‘말들의 오류 또는 구멍’이다(라고밖에 내 ‘설명력’은 허용치 않는다).
분열되어 있음을 알려 주는 증상들이 나에게도 발견된다.
사실 이 말을 하려고 미친 짓거리들을 했다(아직도 부족하기는 하지만.).
내가 지닌 사랑에 대한 환상은 예전부터 이미 큰 타자로서의 어머니 또는 정상적인 성교에 대한 공포와 같이 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 말함으로써 그 증상들을 자기규정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이러한 위험을 감수하고 말하자면(보는 이에 따라 상당히 위험할 수도 있다) 그 환상이 만들어 내는 완벽성에 금이 가해져 예외가 출현했을 때, 다시 말해 구애에 실패하거나 구애를 거부한 경험에서 나는 내 징후를 읽는 셈이 된다. 사실 나는 거부하는 그 순간에도 사랑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사랑이 아니면 증오라는 양자택일의 위험이 내재한, 위험을 넘더라도 여전히 상징계가 수여하는 배신감에 짓눌릴 수밖에 없는 이 사랑이라는 말의 환상), 두려워하고 있다는 것을 믿기 어려웠을 것이다.
어쨌든, 나는 지금 내 별 볼 일 없는 기억에 기대어 나를 분석하는 정신 나간 정신분석가다.
이것이 의도하는 바는 나만의 진실을 캐내는 것이고, 웃기지만 또 흉내 내자면 ‘나보다 더 나인 것’을 바로 알기 위함이다.
짐작컨대 이 분석이 끝난 후에도 나는 여전히 ‘나보다 더 나인것’보다는 덜 나인 것으로서 살아갈 것이다(이 말놀이, 썩 괜찮다).
그런데, 이 미친 짓거리는 베일에 가려진 그 사람에 대한 썩을 놈의 기억에서 비롯된 듯하다.
욕망은(그러고 보니 여기서 빠뜨린 것이기도 한데) 불가능을 동력으로 한단다.
그렇게 보면 실패의 기억이 욕망으로 화한 것으로 봐도 될 것이다.
그리고 그 우라질 욕망을 해소하고자 하는 욕망으로 이 글이 어떻게든 여기까지 온 것이다(글도 못쓰는 넘이 뭐하러 이런 짓을 하겠는가).
그럼 욕망은 충족되었냐고?
욕망은 불가능을 동력으로 한다고 하지 않았는가.
이제, 자자. 으아~~~~~.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