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맨스 조>

이 영화는 아슬아슬하다. 아마도 이 영화에 대해 말하려면 여성을 대하는 방식이 여성 혐오적이라고 비판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할지도 모른다. 이 영화에 등장하는 남자들이 모두 그렇지 않을지는 몰라도 적어도 영화는 여자를 여성 혐오적 전형성을 떠올릴 법한 위험한 지점에 놓고 있다. 이 영화에서 여성은 억압적 가부장의 그늘에 자리한 어머니이거나 자신을 성적 대상으로 삼아야 하는 일을 한다. 그러면서 동시에 남성의 욕구 불만을 해소하는 구원자의 역할까지 해야 한다.

<로맨스 조>에서 이 유구한 여성 혐오적 전략의 폐해를 얼마간 상쇄하는 것은 개별 여성 캐릭터의 성격이다. 그들은 짓궂고 능청스러우며 생활력 강한 면모를 지니고 있다. 손목에 새겨진 상처 만큼이나 치명적인 사연을 가지고 있지만 그들은 남자들처럼 자신의 이야기에 침잠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영화 속 여자들은 남자들을 침잠으로부터 끄집어 낼 수 있기도 하다. <로맨스 조>가 보이는 여성 혐오적 전형성이 이데올로기적이기보다 징후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그것은 이 캐릭터에 대한 태도 덕분일 것이다.

여성 캐릭터에 대한 태도를 전제로 선해할 수 있다면, <로맨스 조>는 이 전형성의 함정을 인식하면서도 의식적으로 선택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시골 여관에서 시나리오 작업은 하지 않고 다방 커피를 주문한 감독이 바지를 추려 입고 커튼을 닫을 때, 그리고 그렇게 찾아 온 다방 레지가 흥정 끝에 소위 티켓을 끊고 겉옷을 벗을 때 일어나는 불온한 성적 긴장감을 이 영화는 이야기에 대한 욕망으로 전치시키려 한다. 여성 인물이 다방 레지이어야 할 타당함이 어디에 있는지는 여전히 의문에 부쳐야 하겠지만, 이 영화의 주제라고 할 만한 것, 이야기, 서사에 대한 욕망은 이 여관에서의 거래를 통해 리비도, 성충동의 에너지와 동일시되고 이를 대체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야기가 중반에 이를 무렵 다방 레지와 로맨스 조가 동침했음을 보여 주는 장면은 다시금 서사에 대한 욕망이 리비도와 다르지 않다는 생각을 상기시키려는 것처럼 보인다. 이 영화는 인간에게 이야기에 대한 욕망은 본질적이라고 말하고 싶어 한다.

로맨스 조와 초희에 대한 이야기, 다방 레지와 엄마를 찾아 다방까지 찾아 온 한 꼬마의 이야기가 그 자체로는 특별하게 매료될 법하지 않다고 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혹적으로 느끼게 만드는 것은 이 이야기를 궁금해 하는 욕망이 영화 안에서 연쇄적인 매개 작용으로 증폭되기 때문이다. 정확히 말하면 이야기를 전달하는 방식이 매혹적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화자로부터 청자로, 청자로부터 다른 청자로, 그리고 청자로부터 우리 관객으로 이야기를 궁금해 하는 그 욕망이 전달되면서 에너지는 구르는 눈덩이처럼 커진다. 이 같은, 욕망의 오각형이라 불러도 될 만한 욕망 증폭 장치가 이 영화를 지탱하는 물적 기반이다.

이야기를 매혹적으로 보이게 만드는 욕망의 경제학에 대한 고찰 만큼 유념해야 할 것은 그것을 통합하려는 시도다. 이 영화는 그야말로 누군가가 전하는 누군가에 대한 이야기의 나열이다. 로맨스 조의 친구가 전하는 로맨스 조와의 술자리 일화, 그 친구가 구상하고 있는 다방 레지와 꼬마의 이야기, 다방 레지가 여관방에서 감독에게 전하는 어린 시절 로맨스 조와 초희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영화가 전하는 로맨스 조에 대한 이야기는 각자가 분절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가 이 영화가 로맨스 조를 둘러싼 하나의 이야기인 것처럼 믿게 되는 것은 각 이야기 속 남자와 여자가 각각 동일 배우로 통합되어 재현되고 있기 때문이다. 화자가 어떤 이야기를 꺼내면 그것을 재현하는 시퀀스가 따라 붙는 것으로 구성된 영화는 인물의 동일성이 익숙해질 즈음부터 아예 화자의 도입부를 생략하고 각 재현 시퀀스를 직접 붙여 놓기도 한다. 영화는 화자의 현실과 재현의 환상 사이 경계를 점점 지워 나가고, 인물과 이야기를 통합하려 한다.

이것이 영화의 욕망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좀 더 나아가 이야기 자신의 욕망에 대한 영화의 응답이라고 할 수도 있지 않을까. 내적 타당성의 원리 아래 분산된 것을 통합하고 끝내 지속하고자 하는 이야기라는 대타자의 욕망이 이 영화로 하여금 위와 같은 선택을 이끌고 있다고 말이다. 그렇게 볼 때 “우리는 왜 이야기를 해야만 합니까? 이야기가 없는 나는 왜 죽어야 합니까? 이제 그놈의 이야기 좀 그만 하려구요.”라는 로맨스 조의 토로는 영화가 이야기의 욕망에 대해 던지는 영화 자신의 존재론적 질문을 대변한다고 생각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말에 따르면 영화는 이야기의 욕망을 실현하기 위해 인물과 이야기의 분절 사이에 통합적 질서를 부여하고 환상의 에너지를 끌어 올리며 애쓰고 있지만, 동시에 이야기의 욕망을 원망하고도 있다. 로맨스 조의 말이 영화의 내적 진심이라면, 이 히스테리적 발언을 곱씹어 보는 것이야말로 이 영화의 흥미로운 지점이 될 것이다.

이야기에 대한 영화의 저항. 다방 레지와 초희가 영화적 저항의 수단이라고 할 수는 없을까. 배우 김영필과 이다윗이 동일한 한 남자 로맨스 조를 표상함으로써 이야기의 통합적 세계에 편입되는 동안, 신동미와 이채은은 끝내 다방 레지와 초희로 각자 남아 이야기의 욕망을 거부하고 있는 거라면.이야기의 욕망이 그 둘 모두의 손목에 칼자국을 남겨 놓았음에도 불구하고 영화가 이 둘을 묶지 않고 유예시키는 선택을 한 거라면. 그러나 우리는 이것을 이야기에 대한 영화적 승리라고 단정 지을 수 없다. 이야기의 욕망은 언제나 영화가 지닌 균열과 공백을 채우거나 지우려 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혹시 다방 레지와 초희가 같은 사람일 수도 있다는 상상을 하고 있지는 않은가. 이야기의 욕망은 영화가 끝난 후에도 지속된다. <로맨스 조>는 이처럼 인간의 이야기에 대한 욕망과 이야기 자신의 욕망을 대하는 영화의 곤란함을 말하려는 것처럼 보인다.

<로맨스 조>를 유심히 보면 의아한 장면을 하나 발견할 수 있다. 엄마 찾아 다방에 온 소년이 먼 산을 보고 나면 초희가 어머니에게 자신의 아이를 맡기고 떠나려는 장면이 이어진다. 이 때 초희의 어머니는 앞서 나온 초희의 자살 소동 장면에 나온 배우 서영화가 아니라 신연숙이다. 영화 촬영 과정에서 어떤 캐스팅 문제가 있었던 것인지, 아니면 감독의 의지에 따른 것인지 사정은 알 수 없지만 영화는 여기에도 이야기의 통합에 균열을 일으키는 흔적을 남겨 놓았다. 배우라는 뚜렷한 육체적 실체 만큼 이야기 바깥, 그 이상의 것인 예는 없을 것이다. 나는 다만 지금 이 또한 이야기의 결을 거치지 않으면 드러낼 수 없는 인간의 곤란함을 느낀다. 영화 첫 쇼트로 등장한 허상 같은 말 그림이 영화의 심연을 끊임없이 바라보는 이야기의 응시라면, 우리에게 허락된 순수한 영화적 경험의 표현이란 과연 가능한 일인지 의심하게 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