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킬러>

영화 <더 킬러>의 세계는 안으로 꽉 닫혀 있다. 모든 장면이 잘 통제되고 조직된 이미지라는 느낌이 든다. 음향도 허투루 구성된 것이 없다. 킬러가 지겹도록 듣는 The Smiths의 노래가 생활 소음 속 이어폰의 미세한 소리에서 전경 사운드로 전환되는 것이, 파리 도시의 부감 쇼트가 킬러의 시선임을 규정하는 형식적 기호로 작동하는 것처럼 말이다. 영화는 관객이 이 가상 세계의 중력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나는 이 영화의 중력장이 만드는 실제성을 믿지 않을 도리가 없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강한 영화적 실제성이 킬러 인물을 소실점으로 향하기 때문에 영화 내내 읊어 대는 킬러의 독백을 그대로 믿기 쉽다. 영화가 끝나고 나서 나는 이 킬러가 자신을 해치려는 세력의 정점, 살인을 의뢰한 자본가를 죽이지 않고 돌아선 것을 이해하기 힘들었다. 킬러는 목표를 향해 최단거리로 직진하는 인물이 아니었나. 절대 망설이지 않고, 두려움 없이, 공감의 약점을 만들지 않고, 뒤돌아 볼 것 없이 계획한 대로 수행하는 것이 그가 지닌 원칙이 아니었나. 그런 원칙을 쉼 없이 말하던 그가 복수를 완수하지 않고 경고 몇 마디로 퉁치는 결말을 납득할 수 없었다.

내가 이를 이해할 방법은 단 한 가지다. 자본가를 대면하고 킬러가 급작스럽게 마음을 바꿨다는 가설이다. 자본가는 육체적으로 대결하기에는 너무나도 미약한 존재, 그러나 말 한마디로 이 청부 살인의 세계를 작동시키는 존재, 그러면서 자신의 말로 인해 실제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어떤 대가를 치러야 하는지는 알지 못하고 관심도 없는 존재로 묘사된다. 자기 세계의 토대가 보이는 이 순진무구함이, 또는 순진무구한 악이 냉혹한 킬러를 복수로부터 물러서게 만들었다고 보는 것이다.

그런 가정을 품고 영화를 두 번째 보고서야 나는 내가 그의 독백을 너무 믿었음을 알아 챘다. 근엄하게 되뇌는 완전무결한 철칙과 달리, 킬러는 (살인 의뢰를) 실패했고, (도주하면서는) 당황했고, (암살당할까봐 또는 결투에서 질까봐) 두려워 했으며, (복수 대상의 부탁에) 공감하고 응해 줬다. 그리고 종착지에서는 망설이거나 비굴해졌다. 그렇게 보였다.

그렇다면 킬러의 독백은 흔들리는 자신을 다잡기 위한 자기 암시, 또는 약점을 드러내는 자신을 보지 못하게 만들기 위해 관객에게 던지는 위장된 거짓말은 아닐까. 이미지가 항상 진실을 담지하는 것은 아니겠지만 우리는, 아니 적어도 나는 이미지가 어떤 감각보다 진실에 가깝다고 믿는 경향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는 독백 목소리가 장악하고 있는 영화 세계의 실제성이 눈으로 지켜보는 사실을 어떻게 가릴 수 있는지 보여 준다.

내가 킬러를 이해해 보려는 노력은 여기까지다. 나는 그의 불안과 두려움, 그리고 그것이 은유하거나 암시하는 바를 더 궁구하고 의미화하고 싶지 않다. 그것은 이 냉혹하고 비굴한 살인마의 세계에 대해 과잉인 것 같기 때문이다. 그럴싸하게 내뱉는 명상적 독백을 두 시간 동안 듣는 고행은 그의 독백이 조성하는 실제성이 결코 진실되지 않다는 깨달음을 위한 것이다. 그리고 단 하나 기억에 남는 진실된 말은 그저 엘리베이터에서 마주치는 어느 남자의 농담 한 마디다. “시체 처리 도와 드릴까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